• 제목/요약/키워드: mobility test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24초

일 지역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가간호역량 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of Activity in Daily living and Self-care Agency Among Elderly in Chunchon Province)

  • 김춘길;장희정;김성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0-52
    • /
    • 2001
  •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growing due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better medical services. As the average life-span of the Korean elderly becomes longer,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Therefore, the elderly need to sustain a high quality of life. However, all these factors, such as sensory loss, decreased endurance, mobility limitation, and a loss of independence, act to diminish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t is necessary for elders to adapt themselves to aging, to maintain their physical functions and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keep their independence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self car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degree of activity in daily living and exercise of a self-care agenc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self-care agency. Also, this research aimed to contribute to nursing interventions that maintain and promot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enable themselves to live independentl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60 elders, over age 65, who were sampled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from May,1999 to December, 1999. The measurement tools were Barthel Index(1979), Lawton & Brody(1969) for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Kearney & Fleischer(1979) for self-care agency. Data were analyzed by SAS PC+ package and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of ADL and IADL was 96.09 and 16.38, respectively. The score described activity of daily living among the elders in C province as moderate. Particularly, in the items of IADL, the item of medication was the highest score. 2. The mean for exercise of self-care agency was 76.48, a moderate degree. 3. The degree of ADL and IAD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pocket money, the presence of diseas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in occupation, pocket money, family type, the presence of disea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espectively. 4. The dagree of selt-care agenc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and pocket money.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in daily living and self-care agency.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to discover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self-care agency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car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mong the elderly.

  • PDF

한국 차량공유사업의 성공요인 사례분석 (The Case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Korean Car Sharing Business)

  • 김지예;한인구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1-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카셰어링 기업(쏘카, 그린카)의 핵심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의 특수한 경제, 규제 환경 속에서 형성된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장과 관련하여 자동차 제조사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쏘카와 그린카 모두 창업기에는 '적시의 시장 진입', 초기 성장기에는 '외부자원의 활용'이 핵심성공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고도성장기의 핵심성공요인은 두 회사의 사업방향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독립 벤처기업으로 B2C 사업으로 외형성장에 집중한 쏘카는 '고객밀착형 마케팅'과 '충분한 자본조달'이, 대기업 계열사로 편입되어 내부 자원활용에 집중한 그린카는 '진입전략(B2B시장 확대)'이 핵심성공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고도성장기의 공통적 핵심성공요인으로 '외부자원의 활용'과 '대기업과의 공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현대자동차그룹의 카셰어링 대응 전략은 크게 협력, 투자 그리고 직접운영(딜카)의 형태로 나타났다. 대응전략의 목적은 단기적으로는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테스트베드 운영 등으로 나타났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이용자 데이터 수집, 이를 통한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기획 등과 함께 미래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선점이 중요한 목적으로 파악되었다.

국도유출부 안전진단을 위한 시선유도시설의 유형별 기능검토 (A Study on Function of the Delineation System by Pattern for Safety Audit on Road Exit Ramp)

  • 금기정;김홍상;민경태;양계승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1
    • /
    • 2006
  • 현재 국도개량사업으로 국도의 이동성이 향상되었으나 유출부에 설치된 도로안전시설인 시선유도시설은 일관성 없이 설치되거나 미설치된 경우가 많다. 유출부의 시선유도시설은 유출부의 안전성을 높이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각 유출부마다 서로 다른 유형으로 설치되어 그 기능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조사된 시설유형별로 설치기준의 적합성을 검토한 후 운전자 인지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시설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D-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보다 객관적인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시설유형 간 비교변수는 운전자 인지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현저성, 시인성으로 선정하여 시설유형에 대한 각각의 특성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인지 특성변수로 채택된 시인성의 실험에 대한 피 실험자의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초점기록계(Eye Marker Recorder)를 이용하여 실험함으로서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주시빈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대한 시설유형 간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저성은 시설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출부를 인지하는데 안전표지, 장애물표적표지, 시선유도등, 시선유도봉이 설치된 시설유형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인성의 효과척도로 주시빈도를 측정한 결과 시설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현저성과 동일한 시설유형이 설치되었을 때 유출부를 인지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안전표지, 장애물표적표지, 시선유도등, 시선유도봉의 시설이 가장 유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혈관질환자와 관련된 간호진단 및 간호진단별 특성 규명과 타당성 조사연구 - 가정간호 대상자를 중심으로 - (Validation of Nursing Diagnose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for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 Home Health Care Nursing)

  • 김혜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35-51
    • /
    • 1995
  • This study was done to define nursing diagnose an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characteristics for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being seen at home by home health care nur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10 experts(professors and home health care nurses) who had had a variety of experience using nursing diagnoses in clinical practice, and 336 nurse progress notes for 18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First, 32 nursing diagnoses were defined by the analysis of 336 nurse progress notes, and ten nursing diagno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criteria of frequency and four nursing diagnoses from home health care clinical practice. Second,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an expert group which considered the sign / symtoms of the fourteen nursing diagnoses.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was a checklist for sign / symtoms based on the nurse progress notes and literature : Carpenito(1993), Kim Cho Ja et al (1994), Lee Sun Ok et al.(1994), Kim Mae Ja et al. (1992), Seoul University Hospital (1993) , Kim Mi Ja et al. (1991).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995 to April 1995.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Validity Incidence where if 80% or more of the expert group agreed,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s a major sign/symtoms, if between 50% and 79% of the expert group agreed with the characteristic it was defined as a minor sign / sym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irty-two nursing diagnoses related to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were defined. There was a high frequency for the following : 'Potential for disuse syndrome (61%)', 'Impaired physical mobility(50%)', 'Impaired skin integrity (44.4%)', Potential for aspiration(33.3%)', 'Potential for infection: respiration(33.3%)', 'Self-care deficit : bathing /hygine(27.8%)', 'Ineffective family coping(22.2%)', 'Potential for trauma(22.2%)', 'Alteration in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22.2%)'. The following diagnoses were also used in home health care clinical practice : 'Anxiety in family (50%)', 'Caregiver fatigue(27.8%)', 'Ineffective treatment behavior (22.2%)', 'Ineffective Levin tube management and Levin tube feeding(22.2%)'. Fourteen nursing diagnoses were selected. 2. Ten of the nursing diagnoses for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were listed as nursing diagnoses by NANDA but four nursing diagnoses were new nursing diagnoses used in home health care clinical practice. 3. Characteristics of the ten Nursing Diagnoses from NANDA were developed from the sign /symtoms in the literature and in the nurse progress notes. These characteristics was verified as major or minor sign / symtoms by the expert group. 4. Characteristics of the four nursing diagnoses used in home health care were not defined by the literature but only by the nurse progress notes and verified as major or minor signs /symtoms by the expert group.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 1. Continual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other signs /symtoms not verified in this study. 2. It is necessary to use verified signs /symtoms in home health care clinical practice. 3. It is necessary to define related factors which define each diagnoses in this study.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of standardized nursing are plans which include defined signs and symtoms. 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outcomes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 PDF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A Exploratory Study on Skill Form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Korea's Newspaper Journalists)

  • 최석현;안동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84-10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신문 노동시장의 변화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신문언론인의 전문성 형성과정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른 신문노동시장은 전형적인 기업내부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언론인은 조직구성원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신문 산업의 위기와 더불어 이러한 모순적인 언론인의 정체성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하고 있는지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신문언론인들의 숙련구조의 변화, 즉, 입직, 숙련, 이직의 과정에서 어떤 노동시장구조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언론인들의 전문직 정체성은 어떻게 변해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직 신문언론인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생산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언론인들의 숙련구조와 그 과정에서 정체성 형성을 추적했다. 조사 결과는 입직, 사내교육, 이직 과정에서 기업의 숙련에 대한 책임이 점차 언론인들에게로 옮겨가는 과정 중에 있어 기업내부 노동시장적 특성이 완화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동시장이동은 여전히 제한되어 주요 노동시장이동형태는 기업간 이동이 아니라, 기업내 이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업내부노동시장 변화는 그동안 기업내부 노동시장내에서나마 유지되던 언론인의 전문직적 정체성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내 숙련기술제도의 약화와 직업군내 이직의 한계는 언론인들의 전문적적 정체성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언론인의 타직업으로의 이동을 강화시켜 전체적 내부노동시장의 특성도 약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 PDF

시설재배 토양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모니터링 및 지하수 용탈 가능성 (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 Residues in Greenhouse Soils and Evaluation of Their Leachability to Groundwater)

  • 노현호;이광헌;이재윤;박효경;이은영;홍수명;박영순;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41-452
    • /
    • 2011
  • 농경지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설재배 토양을 경기도 가평 등 전국 40개 지역에서 총 40점을 채취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분류한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 40종 중 등록되어 사용중인 alachlor를 포함한 16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GC-ECD 및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 및 개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는 0.0004-0.005 mg/kg이었으며, 각 시험농약의 회수율 72.69-115.28%의 범위였다. 조사대상 토양 40점 중 16점의 시료에서 cypermethrin 등 4종의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이 검출되어 37.5%의 검출율을 보였다. 그 중 endosulfna은 12지역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다. 또한 GUS로 판단할 때 대부분의 검출 농약은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었으나 살균제 vinclozolin은 약간의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수용성이 높고 토양 흡착성이 낮은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증진을 위한 침상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Ward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ho have Stroke)

  • 석소현;강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7-101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 of showing the importance of early rehabilitation an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who have stroke, of confirming the adavntage of ward exercise conducted by nurse, which had been conducted mainly by physical therapist only in physical thrapy room and of developing the exercise program as the independent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A total of 62 patients were selected as object from April, 5th, to May, 17th, 1995,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K medical center, and the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n ramdom assignment using a coin. It was ADL check list tool developed by Kang and Ward Exercise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at were used as a treatment. Ward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by the reseacher and the physical therapist measured ADL score before and after Ward Exercis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pearson correlation, Chi-Square test and the effect of Ward Exercise Program was analyzed by t-ta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eminent improvement of ADL compared with the counter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ting(t=6.10, df=60, p=.000), personal hygiene performing(t=4.86, df=60, p=.000), wearing(t=5.86, df=60, p=.000), elimination(t=7.89, df=60, p=.000), mobility on the bed(t=13.36, df=60, p=.000), moving(t=9.11, df=60, p=.000), walking(t=7.45, df=60, p=.000) 2. There was no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the significance of $p{\le}.05$. 3.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ondition and the difference of ADL, while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starting point of exercise and the difference of pre-exercise and post exercise ADL. As a resul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early rehabilitation and exercise therapy are important in patients who have strok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exercise therapy to the ward. Therefore, this Ward Exercise Program could be recommended as a independent clinical exercise nursing intervention in rehabilitation nursing of patients who have stroke.

  • PDF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Korea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방소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49-136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COPD 환자의 삶의 질 정도 및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변수, 폐기능검사 결과, 삶의 질(EuroQol-5Dimension) 자료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후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Q-5D Index는 COPD 환자 0.916점, 정상인 0.941점으로 COPD 환자가 정상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삶의 질 하부 영역인 이동, 자가간호, 일상활동, 통증/불편감, 불안/우울 모두 COPD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하여 문제 없음의 비율이 낮고 문제 있음의 비율이 높았지만, 기도폐쇄 정도에 따른 삶의 질은 자가간호 영역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9.50$, p=.013), COPD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당 수입, 흡연상태, 동반질환 수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PD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이동, 자가간호, 일상생활을 증진하고 통증/불편감, 불안/우울을 감소하는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노인장기요양 환자의 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 심미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9-389
    • /
    • 2014
  •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입원 가료중인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전신질환 및 우울감 상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11.22개였고, 우식치아 수는 1.17개, 동요치아 수는 0.93개였으며, 81.9%에서 구취가 확인되었다. 전신질환이 없거나 한 가지 미만인 경우는 29.70%에 불과하였고, 70.31%가 두 개 이상의 복합적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87.8%에서 우울감이 있었으며, 이 중 55.40% 는 심한 우울감을 나타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평균 2.62점이었고, 관련요인으로는 요양등급, 입원기간, 연령과 함께 잔존치아 수와 우식치아 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환자는 일반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전신질환 수와 우울감이 높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인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특히 요양시설 노인환자를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on Employment)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7-29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대졸자의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근로 경험 및 인턴 경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 취업 및 정규직 취업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과 근로 경험의 전공일치도가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인턴 경험이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면, 대학 재학 중 인턴 경험이 활성화되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전공과 직무 일치 비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능력중심 채용이 확대되도록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