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olvent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7초

혼합용매에서의 용매화 (제3보). 이성분 혼합용매 중에서 용매효과에 대한 분광용매화 분석 (Solvation in Mixed Solvent (III). Solvatochromic Analysis for the Solvent Effect of Binary Mixed Solvent)

  • 이익춘;나상무;이본수;손세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0-216
    • /
    • 1984
  • MeOH-MeCN 혼합용매의 Taft용매 파라미터인 ${\pi}^{\ast}$(용매의 polarity-polarizability), ${\alpha}$(용매의 수소결합 주게 산도) 그리고 ${\beta}$(용매의 수소결합 받게 염기도)를 여러 지시약을 사용하여 분광용매화 비교법으로 구하였다. 또한 Swain의 용매 파라미터인 A(음이온을 용매화 시키는 척도)와 B(양이온을 용매화 시키는 척도)를 반응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 자승법으로 구하였다. 용매 상수 ${\beta}$는 용매의 염기도에 의존하며 혼합용매의 MeOH 함량이 증가할 수록 $(MeOH)_n$의 기여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는 용매의 쌍극자 모멘트에 의존하며 혼합용매의 MeCN 함량이 증가할 수록 ${\pi}^{\ast}$값도 커지며 ${\alpha}$는 MeOH의 수소결합주게 효과에 의해 혼합용매의 MeOH함량이 증가할 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다. 앞서 보고된 반응들에 용매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반응상수를 구하였으며 Taft의 반응상수 a, s와 Swain의 반응상수 a, b사이에는 용매 척도의 차이 때문에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그들의 비인 a/s와 a/b는 서로 좋은 직선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이들 반응상수 비를 이용하여 반응 메카니즘이나 치환기 변화 및 이탈기 변화에 미치는 용매효과를 논의 하였다.

  • PDF

열장 흐름 분획법에 의한 폴리스티렌의 머무름에 미치는 혼합용매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Effect of Mixed Solvents on the Retention of Polystyrenes Using Thermal Field-Flow Fractionation)

  • 이대운;전선주;박원철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53-462
    • /
    • 1993
  • 본 연구는 열장 흐름 분획법을 이용하여 혼합 용매에서의 폴리스티렌의 머무름을 측정하고 용매의 조성이 시료의 머무름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료는 분자량이 35,000, 110,000, 200,000, 470,000인 폴리스티렌을, 이동상은 테드라히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CHL), 시클로헥산(CH), 그리고 벤젠(BZ)의 단일용매 및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분자량과 혼합용매의 조성의 변화에 따라서 시료의 머무름비와 열확산계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값들을 시료와 용매의 물리화학적인 성질과 연관시켜 설명하였다. 즉, 시료의 머무름비는 이동상의 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동상의 밀도가 클수록 머무름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동상에 포함된 poor 용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 PDF

Morphology control in PVDF membranes using PEG/PVP additives and mixed solvents

  • Rajabi, Shima;Khodadadi, Foroogh;Mohammadi, Toraj;Tavakolmoghadam, Maryam;Rekabdar, Fatemeh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1권4호
    • /
    • pp.237-245
    • /
    • 2020
  • The effects of the mixed two solvents, Dimethylacetamide (DMAc) and Dimethylformamide (DMF), and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vinylpyrrolidone (PVP) as additives on performanc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s were studied. Initially, PEG200 was used as a primary additive at fixed percentage of 5% wt. PVP was then blended with PEG200 in different concentrations. PVDF and DMAc were used as polymer and solvent in the casting solutions, respectively. To control the diffusion rate of PVP in the presence of PEG200 and PVP blend, mixtures of DMAc and DMF were used as the mixed solvent in the casting solutions. Asymmetric PVDF membranes were prepared via phase inversion process in a water bath and the effects of two additives and two solvents on the membrane morphology, pure water flux (PWF), hydrophilicity and rejection (R) were investigated. Attenuated Total Reflec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a (ATR-FTIR) analysis was used to show the residual PVP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s. Atomic Force Microscopy (AFM) was utilized to determine roughness of membrane surface. The use of mixed solvents in the casting solution resulted in reduction of PVP diffusion rate and increment of PEG diffusion rate. Eventually, PWF and R values reduced, while porosity and hydrophilicity increased.

1,1,1-TCE, CFC-113 대체세정제를 이용한 스크린인쇄 세정연구 (Study on the Cleaning Screen Printing using Alternative Cleaning Solvent of 1,1,1-TCE, CFC-113)

  • 이기창;윤철훈;황성규;오세영;이석우;류정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5-122
    • /
    • 1997
  • The field of printing use to pressurization ink using screen gassamer that is called screen printing. Existing cleaning solvent using screen printing are the organic solvents including aromatic compounds carried with poisonous and stench. Besides, cleaning method of current screen printing are for the most part mixed cleaning method of dipping and polish. Using 1,1,1-TCE, CFC-113 alternative system cleaning solvent be substituted for existing cleaning solvent against screen printing ink measured the cleaning efficiency according to gravimetric analysis method and property change of gassamer according to Image Analyzer. Also, Cleaning process system carry with excellent cleaning efficiency studied which was proposed new cleaning process including ultrasonic and vibration cleaning process be substituted for existing mixed cleaning method of dipping and polish.

인쇄회로기판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동폐액의 용매추출에 의한 재활용 (Recovery of Copper from Spent Copper Solu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 문영환
    • 청정기술
    • /
    • 제2권1호
    • /
    • pp.47-52
    • /
    • 1996
  •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동폐액을 재활용, 재이용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유기용매로 Lix 64 N을 사용하였다. 산성인 동폐액과 염기성인 동폐액을 혼합하여 pH=2에서 부피 비율로 30%인 Lix 64 N은 17.1gr/l의 동을 추출하였다. 벤치 규모의 연속공정에서 추출단 4단, 세척단 4단, 역추출단 2단이 사용되었다. 회수된 동은 유산동으로 재활용되고 추잔액은 동부식액으로 재이용되었으며 동의 회수율과 유산동의 순도는 모두 99.9% 이상이었다.

  • PDF

N-Benzoylaspartame의 효소적 합성을 위한 용매계의 선정 (Development of Solvent System for Enzymatic Synthesis of N-Benzoylaspartame)

  • 한민수;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4-510
    • /
    • 1992
  •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아스파탐 전구체의 하나인 N-Benzoylaspertame(BzAPM)의 합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수용성 유기용매가 함유된 용매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BzAPM 및 L-phenylalanine(Phe)의 용해도는 methanol 45%가 함유된 용매계에서 각각 1.84 및 1.79%로 가장 높았으며, dimethyl sulfoxlilde(DMSO) 25%와 polyethylene glycol(PEG) 200 20%가 함유된 혼합 용매계도 비교적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BzAPM의 용해도는 ethylene glycol류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하였으나, Phe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BzAPM의 합성역가는 methanol 45% 및 DMSO 45%의 난일 유기용매계와 DMSO 25% 및 PEG 200 20%가 함유된 혼합 용매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 합성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42일간 고정화 효소를 보관하였을 때, thermolysin은 DMSO 25%와 PEG 200 20%가 함유된 용매계에서 가장 안정하였다. L-phenyalanine methyl ester의 비효소적 가수분해 속도는 methanol함유 용매계에서 가장 낮았고, DMSO 25%와 PEG 200이 함유된 용매계에서는 이들의 중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BzAPM의 합성에 적합한 용매계로서 DMSO 25% 및 PEG 200 20%가 함유된 용매계를 선정하였다.

  • PDF

이상추출배양을 통한 Botryococcu braunii에서의 탄화수소 생산

  • 심상준;안진영;김병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112-11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균주의 배양과 동시에 생산물을 회수할 수 있는 동시추출공정을 건조질량의 $15{\sim}75$ %의 탄화수소를 생산한다고 알려진 B. braunii 배양에 적용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tow-phase 동시 추출공정의 적용시 B. braunii의 경우 생산된 탄화수소가 균주 외벽의 matrix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two phase 추출공정 적용시 bubble solumn내에서 단지 폭기에 의한 교반만으로는 충분한 탄화수소의 회수율을 얻을 수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액과 유기용매층의 접촉기회를 증대시킨 two-stage 동시추출 공정을 개발하여 기존의 two-stage 동시추출 공정보다 2배 이상 높은 57 %의 탄화수소 회수율을 얻을 수가 있었고, 이를 회분배양후 후속분리공정으로 이용할 경우 6시간 추출후 62 %의 회수율을 얻을 수가있었다.

  • PDF

고추 Oleoresin의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인자 (Effect of Some Factors on Oleoresin Extraction from Red Pepper)

  • 조길석;김현구;박무현;남은숙;강국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1
    • /
    • 1992
  • 고추 oleoresin의 적정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인자들을 대상으로 oleoresin의 수율, capsanthin 및 capsaicin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Ethyl alcohol 용매로 추출한 oleoresin은 수율 및 capsanthin 함량이 높고, Ethylene dichloride 용매의 경우는 capsaici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혼합용매의 경우는 단일용매의 경우보다 수율은 증가하나 capsanthin 및 capsaicin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추출에 사용한 3가지 품종 중에서 진솔에서 추출한 oleoresin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적정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20^{\circ}C$$3{\sim}5$시간이었다. 장기 저장한 고추일수록 고추분말의 입도가 클수록 추출되는 oleoresin의 품질은 저하되고, 함량도 적었다 고추의 과피에는 capsanthin이 씨에는 capsaicin이 가장 많았다. 고추분말과 추출용매의 적정혼합비는 $1\;:\;3{\sim}1\;:\;4(w/v)$였다.

  • PDF

크라운에테르 카르복시산과 크라운에테르 포스포닉산을 포함한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혼합물의 경쟁적 용매추출 (Competitive Solvent Extraction of the Mixture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 containing Crown Ether Carboxylic Acid and Crown Ether Phosphonic Acid)

  • 정용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9-227
    • /
    • 2005
  • Competitive solvent extraction of the mixure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cation from water into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crown ether carboxylic acid and anlogous crown ether phosphonic acid was investigated as follows. The lipophilic group is found to strongly influence to the selective extraction in the mixed systems from only alkali metal cation for sym-(n-decyldibenzo)-16-crown-5-oxyacetic acid $\underline{1}$ to mostly alkaline earth metal cation for sym-bis[4(5)-tert-butylbenzo]-16-crown-5-oxyacetic acid $\underline{3}$. Monoethyl sym-(n-decyldibenzo)-16-crown-5-oxymethylphosphonic acid $\underline{2}$. and monoethyl-sym- bis]4(5)-tert-butylbenzo]-16-crown-5-oxymethylphosphonic acid $\underline{4}$ showed good selectivity for $Na^+$ over $Mg^{2+}$, the second extracted ion. Structural variation in the crown ether phosphonic acid somewhat was influenced to the extraction selectivity in the mixed systems. when variation of the ionized group is influenced in the mixed systems, the selectivity of $Na^+$ as the second extracted ion was much better crown ether carboxylic acid $\underline{1}$ than crown ether phosphonic acid $\underline{2}$, while the efficiency of $Na^+$ extraction was better $\underline{2}$ (83% total loading) than $\underline{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