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seedi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초

수도상자육묘용(水稻箱子育苗用) 상토자재개발(床土資材開發) (Development of soil media for raising rice seedlings in trays)

  • 신제성;최두회;성기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1-305
    • /
    • 1986
  • 수도육묘용(水稻育苗用) 상토(床土)의 자가제조이용(自家製造利用)을 목적(目的)으로 상토개발(床土開發)을 연탄재를 활용(活用)하여 수행(遂行)하였으며 일반(一般) 논양토(壤土) 및 산양토(壤土)를 대조(對照)로 하여 육묘시험(育苗試驗)을 한 결과(結果) 연탄재 단독(單獨)에서는 건물중(乾物重)이 다소 떨어졌으나 연탄재+제오라이트, 연탄재+규조토(硅藻土)에서는 대조(對照)와 대등(對等)하였다. 한편 상토(床土)의 pH는 연탄재단독(單獨)과 토양(土壤)에 퇴비(堆肥)를 혼합(混合)한 상토(床土)에서 높아 립고병(立枯病)이 발병(發病)되었다. 토양(土壤)에 퇴비(堆肥)를 혼합(混合)하지 않고도 양묘(良苗)의 육성(育成)이 가능(可能)하였으며 특(特)히 연탄재를 이용(利用)하여 제조(製造)한 상토(床土)에서도 양묘(良苗)의 육성(育成)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참깨묘 양성조건이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ry Condition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Growth of Sesame Seedling)

  • 이정일;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86-389
    • /
    • 1983
  • 참깨 이식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육묘이식방법에 대한 일연의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깨솎음묘의 이식은 묘의 측근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솎음할 때 뿌리가 절단되어 활착이 잘 안되고 생육이 부진하여 활용성이 없었다. 2. 참깨육묘이식은 이식시 뿌리의 절단이 적은 육묘방법(종이 pot, 비닐 pot, 연상 및 개량상)으로 했을 때 활착은 문제되지 않았으나 묘의 생육이 개량상 육묘 즉, 비닐위에 상토를 3cm로 하여 4방 5cm로 파종함으로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고 측근발생도 많을 뿐 아니라 노력도 절감되었다. 3. 6월 10일 파종 6월 30일 이식은 6월 15일 직파에 비해 개화기가 4일이상 빨랐으며 비닐 pot육묘나 개량상육묘는 주당삭수도 많아 수량이 비닐 pot 육묘가 10% 개량상육묘는 18% 증수하였다. 4. 참깨육묘에 적합한 상토는 흙, 모래, 퇴비를 1:1:1의 객적비로 하는 것이었다. 5. 상토의 깊이는 3cm정도로 하고 묘대시비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4-2-4g/$m^2$로 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 PDF

濟州 地域에서 개망초의 發芽 習性 및 耐陰性과 群落特性 (Germanition, Shade Toarance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emph{Erigeron annuus}$ L.in Cheju)

  • Lee, Ho-Joon;Kim, Tae-Sung;Byun, Doo-W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03-115
    • /
    • 1992
  • This dissertation, which has been prepared in the region of cheju(33o31'N, 126o32'E) from may,1987 to appril, 1989, is to elucidate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early stages in secondary succession, by examining the life history of erigeron annuus for the seeding depth of a seed was dependent upon the degree of shading. That is, on the area of ocm,the more tense the shading was, the more germination percentage was increased, while, in the case of 1.5cm, it was somewhat increased, when shading bwcame ess and less tense. The rosette of e. annuus, through its relative light intensity was decreased by shading, up to 5% of natural light, showed some strong shade tolerance, which had no difficulty in matter production. The species diversity of mixed-species community was the highest in the middle of April, the lowest in the last of may.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the late may, the lowest in the middle of April. Toward the end of may, the occupation rate of dominance species was the highest. There was a neutral relationship between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ow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its niche, temporally and spatially. Productive structure of the community revealed a narrow leaf type which was concentratively distributed in the mid part of community height. The relative light intensity of community ground surface was 6.1%, the leaf inclination 60o,the extinction coefficient(k) 0.4, biomass of community 1,045.6 g.d.w./m2,T/Rratio 9.3, C/Frate 7.0 and sumgermanition, shade toarance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erigeron annuus l.in chejumed leaf area index 3.88. through the various life cycles o e.annuus, we can say that it decreases mortality of seeding caused by some stress and disturbance, for germination lasts for a long time at any opportunity available, and it promotes population growth. The strong shade tolerance of a rosette and the variableness of a life from differentiate the niche between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within the community, and avoid the direct competition between them, thus poromoting community growth.

  • PDF

혼파방목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생산성과 질병 비교 연구 I. 조성후 1차년도의 초지에서 방목가축의 증체량 , 채식량 및 사료효율 (Study on Animal Production and Disease Affected by Different Varieties of Tall Feacue and White Clover in Mixed Grazing Pasture I. Liveweight gain, herbage intake and forage conversation efficiency of grazing animal in pasture 1 year after seeding)

  • 정창조;김문철;김규일;장덕지;김중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2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ood livestock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3 different pasture mixture (Control : TI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Fawn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2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3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Roa tall fescue + Tahora white clover) by grazing experiment used 45 dairy calves (about lOOkg liveweight)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1994 at the Isidole farm, Cheju. Daily liveweight gains of calves graz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331${\pm}$29, 352${\pm}$4, 356${\pm}$18g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but did not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period investigated, the period which was high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early grazing season b m May to June while the period shown to be lowest in daily liveweight gain was between late July and late August. Hehage intake rate did not ge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with results shown as 67${\pm}$1.2, 62${\pm}$5.1, 60${\pm}$9.6% in treatment 1, 2 and 3 respectively. And efficiency of conversation into animal product was high in treatment 2. It is considered that good results were not obtained in this study because tall fescue and white clover, important species in this trial did not cover the pasture well with slow establishment in 1st year after seeding.

  • PDF

몇몇 지피식물의 비탈면녹화공사 활용성 연구 - 억새, 톨훼스큐, 수크령, 한국잔디 - (Pratical Use of Several Ground Covers on a Slope Revegetation Construction -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estuca arundinacea, Pennisetum alopecuroides, Zoysia japonica -)

  • 조성록;김재환;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7-107
    • /
    • 2015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a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of ground cover plants mixed with herbeceous and woody plants on a cut slope. 4 different ground cover plant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nnisetum alopecuroides, Festuca arundinacea and Zoysia japonica) were seeded at the same rate of $10.0g/m^2$ with herbaceous plant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oreopsis drummondii L) at the total seeding rate of $7.5g/m^2$ and native woody plants (Lespedeza bicolor Turcz,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lbizzia julibrissin) at the total seeding rate of $7.5g/m^2$,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treated with 3 replications on a randomized block design. Data such as surface coverage rate(%), the germinating number, plant height and visual quality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e soil hardness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ennisetum alopecuroides plot when compared with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lot,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and the Zoysia japonica plot, respectively from the viewpoint of ground covers. Especially, the surface coverage rate was considerably low in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However,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is treatment from the viewpoint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Also, both of the plant height and visual quality were high in the Pennisetum alopecuroides plot when compared with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lot,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and the Zoysia japonica plot,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Pennisetum alopecuroides was the optimum plant from the treated ground covers mixed with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the balanced emerg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cological slope vegetation.

초지개량(草地改良)에 미치는 가리시비(加里施肥)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 I 보(報)) (Studies on the Effect of K2O Fertilization for the Pasture Improvement (Part I))

  • 권순기;김용국;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12-118
    • /
    • 1979
  •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 관계(關係)가 목초(牧草)의 생산성(生産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해서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 및 혼파구(混播區)로 구분(區分)하여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달리하면서 1977년(年)부터 1979년(年)까지 2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는 영향(影響)이 없으나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는 월동성(越冬性)에 효과(效果)가 있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목초(牧草)의 초장(草丈)은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역시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효과(效果)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3. 목초(牧草)의 수량(收量)은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비효과(施肥效果)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傾向)이지만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목초중(牧草中)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시비량(施肥量)은 10a 당 화본과단파구(禾本科單播區)에서 20-20-30,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에서 8-20-20이 적당(適當)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향풀의 효과적인 묘 생산을 위한 육묘법 (Effective Techniqu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 이상인;연수호;조주성;김상용;조원우;정미진;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0-477
    • /
    • 2021
  • 정향풀[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은 전국에 자생지가 10곳 미만이고 한국적색목록에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체계적인 번식 및 재배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전자원보전 및 신 관상소재로 개발 가능한 정향풀의 효과적인 육묘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파종용기(72, 105 및 128구), 파종립수(셀 당 1, 2 및 4립), 토양종류(원예상토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추비농도(0, 250, 500 및 1000 mg·L-1) 및 차광정도(0, 55 및 75%)를 다르게 하여 육묘하였다. 연구의 결과, 파종용기의 셀 당 용적량이 많을수록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종립수에 따른 생육은 1립 파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추비는 Hyponex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묘의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00 mg/L처리구에서 생육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차광처리는 차광율에 관계없이 생육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단용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혼용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ingle-use of Kentucky Bluegrass and Mixed-use with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 이혜원;정대영;심상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
    • /
    • 2004
  • 한지형잔디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의 기후에 알맞은 한지형잔디를 선정하여 골프코스 및 경기장에 활용하기 위하여 2003년 3월 인천광역시 운서동에 잔디 시험 포지를 조성하여 시험을 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 단용구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혼용구를 시험한 결과 켄터키 블루그래스 단용구에서는 Midnight 품종이 가장 좋은 잔디 품질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잔디의 색상 면에서도 진한 녹색을 유지하여 잔디의 시각적 품질평가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2. 그 다음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잔디품종은 North Star 품종으로 Midnight와 유사한 색상을 띠고 있는 품종으로서 Midnight와의 혼용하여 활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좋은 품종 특성은 염분에 저항성이 강하다는 점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서는 유리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3.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의 혼용으로는 Brilliant, Midnight 두 품종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가지 품종을 혼용하여 시험하였다. 그중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준 품종든 Midnight + Brightstar SLT를 혼용으고서 우수한 잔디 품질을 유지하였다. 그다음이 Midnight+BrightstarII 혼용구로 Midnight이 지니고 있는 우수한 잔디의 특성에 의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시험결과에 의하면 켄터키 블루그래스 단용구에 비해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혼용구의 시각적 품질과 시각적 색상이 우수한 것으로 미루어 골프장 teeing ground와 fairway를 조성할 경우는 잔디를 혼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of mixed grass, Pyeongchang of South Korea)

  • 정종성;김종근;김현섭;지희정;최기춘;최기준;최보람;오승민;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7-223
    • /
    • 2018
  • 본 연구는 평창지역의 산지에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평창지역의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의 산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8월 13일 파종 T2: 8월 27일 파종, T3: 9월 10일 파종, T4: 9월 24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초지 식생구성을 보면 T1과 T2까지는 목초 식생비율이 98%이상으로 높은 식생밀도를 보였지만 T3이후부터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얼의 경우 T1과 T2에서 4.4개 이상으로 양호하였지만 T3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기 월동률의 차이는 이후 목초의 식생 및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연차별 식생변화를 보면 T1과 T2의 경우 목초 비율이 81%이상으로 우수하였지만 T4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전체 건물 수량의 경우 T2와 T1이 각각 $9,042kg\;ha^{-1}$$8,845kg^{-1}$로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T4의 경우 $5,086kg\;ha^{-1}$로 건물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평창지역에서 8월 말까지 파종을 완료 한 경우 목초 월동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다.

중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파종시기 이동이 겉뿌림 초지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ifting Seeding Dat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under the Climate Change in Oversown Mixed Pasture,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 정종성;최기춘;김원호;김현섭;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30
    • /
    • 2019
  • 본 연구는 천안지역에서 겉뿌림 초지조성 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천안시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개발부 구릉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8월 18일 파종, 9월 1일 파종, 9월 15일 파종, 9월 29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8월 18일 파종과 9월 1일 파종이 목초 93%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9월 29일 파종은 목초 75%, 잡초 25%로 약간 저조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의 경우 8월 18일 파종이 7.2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 29일 파종이 3.7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개체의 경우 9월 1일 파종과 9월 15일 파종에서 75개($30cm{\times}30c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월 18일 파종에서 49개($30cm{\times}30cm$)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전체적으로 87에서 92%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를 보면 9월 1일 파종이 목초 96%, 잡초 4%,로 가장 우수한 식생을 보였으며 9월 29일 파종은 목초 88%, 잡초 12%로 양호한 식생을 보였다. 2016년 1차 예취 시기에서 초종구성을 보면 일찍 파종할수록 톨 페스큐의 비율이 높았고 늦게 파종할수록 상대적으로 오차드그라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7년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의 식생비율이 87에서 95%로 양호하게 나타났지만 2차 예취시기부터 잡초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는 5월부터 7월까지 극심한 가뭄으로 목초가 크게 피해를 받아 상대적으로 잡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총 건물수량은 8월 18일($13,632kg\;ha^{-1}$)파종과 9월 1일($13,988kg\;ha^{-1}$)파종이 9월 15일($11,883kg\;ha^{-1}$)파종과 9월 29일($11,459kg\;ha^{-1}$)파종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는 되도록 9월 초까지 파종을 완료하는 것이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