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graf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자가슬괵건, 혼합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실시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임상결과 및 이차관절경 검사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and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Mixed 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 조진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26
    • /
    • 2011
  • 목적: 단일 다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에서 동일한 고정 방법 하에 사용된 이식건 종류에 따른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을 통한 치유 상태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6예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고 동반인대 손상환자를 제외한 16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6예는 자가 슬괵건을, 42예는 자가슬괵건과 동종 경골건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61예는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과 최종 추시 시 Lysholm 점수와 IKDC 평가 기준, Lachman, Pivot shift test, Telos 기구 검사를 이용하여 세 군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차 관절경을 통한 이식건의 치유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 Telos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상에서 환측과 건측의 전방 전위 차이는 자가 슬괵건 군은 평균 $7.5{\pm}1.0$ mm에서 $1.6{\pm}1.0$mm로, 혼합건 군은 $7.6{\pm}1.1$ mm에서 $1.4{\pm}1.1$ mm로, 동종 경골건 군은 평균 $7.4{\pm}1.3$ mm에서 $2.5{\pm}1.3$ mm로 세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세 군 간 차이는 없었다(p>0.05).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자가 슬괵건 군은 58.6점에서 92.3점으로, 혼합건 군은 60.6점에서 92.6점으로, 동종 경골건 군은 55.3점에서 91.5점으로 세 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세 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p>0.05). 나사 제거술시 시행한 이차 관절경에서 인대의 이완 정도나 활액막의 재형성 정도는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군과 혼합건 군이 동종 경골건 군보다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자가 슬괵건, 혼합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단일 다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모두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 없이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고 이차 관절경에서 자가 슬괵건과 혼합건을 사용한 경우에서 우수한 활액막 재형성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자가 슬괵건이 가늘거나 길이가 짧은 경우 채취한 건에 동종 경골건이 보강된 혼합건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경부 식도협착 재건술에 있어서 유리공장 이식편의 이용 (Reconstruction of the Cervical Esophagus Using the Free Jejunal Graft)

  • 지청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232-1237
    • /
    • 1991
  • The cervical esophageal stricture has various surgical modalities and difficulties in reconstruction.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the cervical esophageal restenosis using the free jejunal graft, on 30 year old man had had esophageal stricture after ingestion of lye. He had undergone colon interposition[esophagocologastrostomy] with left colon feeding gastrostomy. But restenosis was occurred just above of the cervical esophagocolostomy site several times of balloon dilatation were failed. So, we decided to use of the free jejunal graft. The free jejunal graft was isolated about 15cm length with it`s vascular arcades. The graft was irrigated with the mixed solution as isotonic saline, heparin and papaverine chloride. The artery of graft was anastomosed to the branch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in end to side with continuous sutures of the 8.0 Prolene. The vein of the graft was anastomosed to the branch of the anterior facial vein in end to end with continuous sutures of the 8.0 prolen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removal of the tracheostomy cannula and gastrostomy tube.

  • PDF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국소 자가골 및 골 이식 대체재 혼합 이식에 의한 골유합률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one Union Rates Using a Local Autobone and Bone Graft Substitute Mixed Graft in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 고영철;홍성확;박만준;허정욱;박준형;이우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목적: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자가골과 혼합 이식하는 골대체재의 종류에 따른 골유합률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혼합 이식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측방 유합술 시행 후 최소 2년 추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유합술 시 국소 자가골에 혼합하여 사용한 이식 재료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대퇴 골두 동종골을 사용한 48예, II군은 β-tricalcium phosphate를 사용한 38예, III군은 이상인산칼슘을 사용한 92예, IV군은 이상인산칼슘 및 자가 골수를 사용한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2년째 단순 방사선 검사를 추시하여 유합 여부와 임상결과로 판단하였으며, 단순 방사선 소견상 양측 상하 횡돌기간에 뚜렷하게 형성된 골괴와 함께 굴신 방사선 소견상 각 운동 범위가 2도 미만이면서 전위 소견이 보이지 않을 때 유합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술 후 2년째 단순 방사선을 추시한 결과 이상인산칼슘 및 자가골수를 국소 자가골과 혼합 이식한 IV군에서 가장 높은 유합률을 나타냈다. 결론: 생체흡수성이 높아지고 기계적 강도가 보완된 골전도성 대체재인 이상인산칼슘과 골유도 및 골형성이 가능한 자가 골수의 물질적 특성이 골유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이상인산칼슘, 자가 골수 및 국소 자가골의 혼합 이식이 자가골 이식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 온병훈;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23-3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골증대술과 동반된 이식된 골의 3차원적인 형태를 평가하고 골이식 재료 및 임플란트의 종류, 수술 방법과 골흡수 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 골증대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차트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골이식재의 부피 및 부위의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잔존 골 이식재의 비율로 측정된 부피 재생은 이식 재료의 형태 및 수술 방법과 연관성이 있었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병원에서 15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과 동반하여 53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6개월 후 촬영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P<0.05). 그리고 수술 방법에 따른 골흡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 비해 지연된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한 그룹에서 더 높은 골이식재의 부피 변화율을 보였다.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Puros^{(R)}$ 와 다른 여러 가지 골이식재를 혼용한 그룹에 비해 $Puros^{(R)}$ 이식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그룹에서 더높은 골흡수 정도를 보였다. 또한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에서 지연 식립한 그룹보다 더 낮은 흡수율을 보여주었다.

이종골 이식을 이용한 양성 골 종양 치료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with Xenograft)

  • 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9-193
    • /
    • 1995
  • 저자들은 1980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양성골 종양으로 서울대학교 병원 정형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49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성 골종양을, 소파술과 화학적 처리한 이종골 및 이종골과 자가 해면질골을 혼합 이식하여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2. 화학적 처리한 이종골 이식은 자가골 이식시보다 수술 시간, 수술중 출혈 및 수혈양을 줄여 수술 및 수혈 합병증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3. 이종골 이식은 자가골 이식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염두에 둘 때 고려할 만한 골 이식 대치물로 사료된다.

  • PDF

자가치아뼈이식재를 이용한 상악동증강술: 일차 보고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eeth: Preliminary Report)

  • 정경인;김수관;오지수;임성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3호
    • /
    • pp.256-26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utogenous tooth graft materials after maxillary sinus bone grafts. Methods: The study involved 23 implants in 22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nd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08 and received autogenous tooth graft materials for maxillary sinus bone grafts. Results: For eight patients with maxillary bone graft materials prior to implant placement, the healing period averaged five months. For eleven patients with simultaneous maxillary bone graft and implant placement, eight patients received a second surgery, with an average healing time of six months. Three patients had a longer observation period with only a fixture implanted. Three patients who received only a bone graft required more time to implant placement because of the lack of residual bone and also for personal reasons. Only 5 patients had biopsies performed an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dehiscence healed well. The application of autogenous graft materials to the maxillary bone graft sites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ccess rates. When a mixture of graft materials was used, the post-surgical bone resorption rate was reduce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new bone formation and remodeling were initiated during the three-to-six month healing period. Bone formation capacity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six months after the maxillary bone graft.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analysis, excellent stability and bone-forming capacity were seen in cases where autogenous materials were used alone or mixed with other materials. Autogenous tooth graft materials may be substituted instead of autogenous bones.

Construction, and In Vitro and In Vivo Analyses of Tetravalent Immunoadhesins

  • Cho, Hoonsik;Chung, Y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8호
    • /
    • pp.1066-1076
    • /
    • 2012
  • Previous observations demonstrated that various immunosuppressive agents and their combination therapies can increase allograft survival rates. However, these treatments may have serious side effects and cannot substantially improve or prolong graft survival in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To improve the therapeutic potency of divalent immunoadhesins, we have constructed and produced several tetravalent forms of immunoadhesins comprising each of 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antigen-4 (CTLA4), CD2, and lymphocyte activation gene-3 (LAG3). Flow cytometric and T cell proliferation analyses displayed that tetravalent immunoadhesins have a higher binding affinity and more potent efficacy than divalent immunoadhesins. Although all tetravalent immunoadhesins possess better efficacies, tetravalent forms of CTLA4-Ig and LAG3-Ig revealed higher inhibitory effects on T cell proliferation than tetravalent forms of TNFR2-Ig and CD2-Ig. In vitro mixed lymphocytes reaction (MLR) showed that combined treatment with tetravalent CTLA4-Ig and tetravalent LAG3-Ig was highly effective for inhibiting T cell proliferation in both human and murine allogeneic stimulation. In addition, both single tetravalent-form and combination treatments can prevent the lethality of murine acute GVH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blockade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MHC)II:T cell receptor (TCR) and CD28:B7 pathways by using tetravalent human LAG3-Ig and CTLA4-Ig synergistically prevented murine acute GVHD.

Current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lveolar Cleft

  • Kang, Nak He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3호
    • /
    • pp.188-193
    • /
    • 2017
  • Alveolar cleft is a tornado-shaped bone defect in the maxillary arch. The treatment goals for alveolar cleft are stabilization and provision of bone continuity to the maxillary arch, permitting support for tooth eruption, eliminating oronasal fistulas, providing an improved esthetic result, and improving speech. Treatment protocols vary in terms of the operative time, surgical techniques, and graft materials. Early approaches including boneless bone grafting (gingivoperiosteoplasty) and primary bone graft fell into disfavor because they impaired facial growth, and they remain controversial. Secondary bone graft (SBG) is not the most perfect method, but long-term follow-up has shown that the graft is absorbed to a lesser extent, does not impede facial growth, and supports other teeth. Accordingly, SBG in the mixed dentition phase (6-11 years) has become the preferred method of treatment. The most commonly used graft material is cancellous bone from the iliac crest.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use of allogeneic bone, artificial bone, and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along with growth factors because of their ability to decrease donor-site morbidity. Further investigations of bone substitutes and additives will continue to be needed to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and to reduce complications.

그래프트형 실록산 폴리올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Hybrid Waterborne Polyurethane by Using Graft Type Siloxane Polyol)

  • 임재우;임진형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69-574
    • /
    • 2009
  • 수분산 PUD 필름의 내스크래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카보네이트(PCD), 에스터(PCL), 실옥산(PDSBP)형의 폴리올을 혼성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을 합성하였다. 선형구조(Linear type)의 PUD보다 그래프트형(graft type)의 PUD가 유화입경이 커지는 경향이며, 이는 소수성의 실옥산 그래프트 구조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합성 PUD의 열적성질은 linear type의 PUD는 P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T_g$)는 증가하였으며, 열분해온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graft type PUD는 PDSBP의 양이 증가할수록 $T_g$는 감소하였고, 열분해온도는 거의 유사하였다. Graft type PUD는 PDSB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스크래치 특성 및 hardness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9 wt%의 PDSBP 폴리올이 혼성된 경우, 3.3 N의 내스크래치 특성과 9 H 이상의 연필경도를 가지는 우수한 PUD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Comparative histomorphologic study of regenerated bon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 Kim, Se-Jung;Kim, Soung-Min;Kim, Ji-Hyuck;Park, Yo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1호
    • /
    • pp.28-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generative capacity of reconstruction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by comparing bone graft procedures and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DO) techniques. We performed the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GB group, 5 specimens in 3 patients), and the combination (Mixed group, 3 specimens in 3 patients) of the autogenous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Bio-Oss^{(R)}$, Geistlich Co., Switzerland) as the ratio of 2:1 in the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ADO procedures using $TRACK^{(R)}$ (KLS Martin Co., Germany) were also performed to augment vertical alveolar height in atrophied posterior maxilla (ADO group, 5 specimens in 4 patients). Newly generated bone tissues were obtained with the 2.0mm diameter trephine bur (3i Co., USA) during implant fixture installation after 5-7 months. Routine histolomorphological observation, immunodot blot assa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bodies to MMP-1, -9, -10, TIMP-1, -2, and BMP-2, -4 were all carried out. Lamellar bone formation was well shown in all specimens and new bone formations of ADO group increased than those of other procedures.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strong expression of BMP-2 was shown in all specimens, and immunodot blot assay showed that bone formation is accompanied by the good induc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and appeared more increased amount of osteogenic and angiogenic factors in ADO group. ADO i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r new bone formation compared to sinus floor elevation with autogenous or mixed bone graft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In the quantitative immunodot blot assay, the regenerated bone after ADO showed more increased products of VEGF, BMP-2, PCNA and MMP-1 than those after the other procedures, and these findings were able to be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