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ral insufficienc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7초

Optimal Tricuspid Annular Size for Tricuspid Annuloplasty in Patients with Less-Than-Moderate Functional Tricuspid Regurgitation

  • Choi, Jae Woong;Kim, Kyung Hwan;Lim, Su Chan;Kim, Sue Hyun;Sohn, Suk Ho;Lee, Yeiwon;Hwang, Ho 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325-331
    • /
    • 2020
  • Background: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ricuspid annular dila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tricuspid regurgitation (TR).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e optimal tricuspid annular dilatation threshold to use as an indicator for tricuspid annuloplasty in patients with less-than-moderate functional TR (FTR). Methods: Between August 2007 and December 2014, 227 patients with less-than-moderate TR underwent mitral valve surgery without a tricuspid valve (TV) procedure. The TV annular diameter was measured via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he TV annular index (TVAI) was calculated as the TV annular diameter divided by the body surface area. The mean duration of echocardiographic follow-up was 42.0 months (interquartile range, 9.3-66.6 months). Results: Eight patients (3.5%) developed moderate or severe TR. The rate of freedom from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TR at 5 years was 96.2%. TV annular diameter, left atrial diameter, pre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and TVAI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TR in the univariate analysis. A cut-off TVAI value of 19.8 mm/㎡ was found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TR,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evelopment of TR of this severity based on this cut-off (p<0.001). Conclusion: The progression of TR was not infrequent in patients with untreated lessthan-moderate FTR. An aggressive treatment approach can be helpful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FTR for patients with risk factors, especially TVAI greater than 19.8 mm/㎡.

성인에서 발견된 좌관상동맥의 폐동맥 이상기시증 - 1예 보고 - (Anomalous Origin of the Left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in an Adult - A case report -)

  • 김건우;최창휴;박철현;전양빈;이재익;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7호
    • /
    • pp.503-507
    • /
    • 2007
  • 좌관상동맥-폐동맥 이상기시증(anomalous origin of the left coronary artery from pulmonary artery, ALCAPA)은 적절한 외과적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90%에서 생후 1년 이내에 심근 허혈로 사망하므로, 성인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심부전 증상으로 내원한 41세 ALCAPA 환자 1예를 경험하였고,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ignificant Tricuspid Regurgitation after Isolated Aortic Valve Replacement

  • Minsang Kang;Jae Woong Choi;Suk Ho Sohn;Ho Young Hwang;Kyung Hwan K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5호
    • /
    • pp.304-310
    • /
    • 2023
  • Background: The late progression of tricuspid regurgitation (TR) after mitral valve surgery is well known.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progression of TR after aortic valve surgery.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ignificant TR after isolated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Methods: This study analyzed patients with less than moderate TR who underwent isolated AV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18. Significant TR was defined as moderate or higher. Echocardiographic follow-up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The Fine-Gray model was used to identify clinical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ignificant TR. Results: In total, 583 patients (61.7±14.2 years old) were included. Operative mortality occurred in 9 patients (1.5%), and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10, 20, and 25 years were 91.1%, 83.2%, and 78.9%, respectively. Sixteen patients (2.7%) developed significant TR during the follow-up period (13 moderate; 3 severe). The cumulative incidence of significant TR at 10, 20, and 25 years was 0.77%, 3.83%, and 6.42%, respectively. No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or reintervention of the tricuspid valve. Hemodialysis or peritoneal dialysis for chronic kidney disease (hazard ratio [HR], 5.188;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4-23.322) and preoperative mild TR (HR, 5.919; 95% CI, 2.059-17.017)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ignificant TR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TR progression after isolated AVR in patients with less than moderate TR is rare. Preoperative mild TR and hemodialysis or peritoneal dialysis for chronic kidney disease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R.

판막첨 연장술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성형술의 중기성적 평가 (Aortic Valvuloplasty Using Leaflet Extension Technique)

  • 안혁;김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56-662
    • /
    • 1997
  • 대동맥판막 질환에 대한 판막 성형술이 판막 치환술의 대치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서을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5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14명의 환자에서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한 판막첨 연장 술로 대동맥 판막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4.8$\pm$15.3세이었으며, 남자가 11명, 여자가 3명이었다. 수술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 및 심도자 검사에서 협착증을 동반하지 않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환자로 폐쇄부전 정도는 평균 3.4$\pm$0.65였으며, 이중 4명의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하고 있었다. 수술은 0.625% glutaraldehyde 용액에 15분간 고정시킨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하였으며, 12명의 환자에 서는 세 개의 판막첨을 모두 연장시켜 주었으나, 2명의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판막의 판막첨만을 연장 시켜 주었으며,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4명에서 승모판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주었다. 14명 모두에 서 수술중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쇄부전이나 협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술 후 평균 7.4 $\pm$2.1일에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경도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3명에서 나타 돛만\ulcorner 승모판 성형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명에서 경한 정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이 나타났다. 좌심실의 수축기말과 확장기말 구획 은 수술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p<0.05)의 감소를 보였다. 수술 직후의 사망 환자는 없었다. 수술 후 평균 7.9$\pm$5.9개월간 추적 조사 기간 중 만기 합병증은 2명에서 나타났다. 심내막염 및 대동맥 판막의 증식물이 수술 후 7개월 째 발견되어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가 1명 있었으며, Behcet증후군 환자에서 수술 후 3개월 째 갑작스런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이 나타나 Ross수술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대동맥 판막의 판막첨 연장술의 조기 성적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젊은 연령의 폐쇄부 전증 환자에서 판막치 환술의 대치술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가 심방편의 비후,석회화,또는 파열 등의 내구성에 대한 오랜 기간의 추적 검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

대동맥륜대동맥확장(Annuloaortic Ectasia)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을 보존하면서 시행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 치환술의 단기 성적 (Early Results of Aortic Valve-sparing Procedures in Patients with Annuloaortic Ectasia)

  • 성기익;박계현;이영탁;전태국;양지혁;김수완;김진선;조성우;김시욱;최진호;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83-488
    • /
    • 2005
  • 대동맥판막을 치환하지 않고 보존하면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치환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인공판막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여줄 수 있지만, 수술과 관련된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일반적으로 잘 시행되지는 않는다. 이에 본 병원의 이 수술과 관련된 위험도를 중심으로 단기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7월까지 26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으며 남녀비는 17:9, 평균연령은 $37.9\pm19.2$세(범위: 6개월$\~74$세)로 말판증후군환자는 15명, 베체트 질환자가 1명이었다. 상행대동맥 박리가 있었던 환자는 10명이었으며, 중등도(moderate) 이상의 대동맥판막 역류가 있었던 환자가 18명이었다. 판막보존방법으로 재이식수술(reimplantation) 및 재형성수술(remodeling) 방법이 각각 14명과 12명에서 시행되었다. 동반된 수술로 대동맥판막 성형술이 6명, 승모판막 성형술이 5명, 부분대동맥궁치환술(hemiarch replacement)이 4명, 전대동맥궁치환술(total arch replacement)이 2명, 관상동맥우회술과 Maze수술이 각각 1명 등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4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벤탈수술 등으로 전환하였으나, 모든 환자에서 수술 및 재원기간 내 사망은 없었고,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3명, 박동기 삽입이 필요한 경우가 1명에서 있었다. 모든 환자의 중환자실 체류시간의 중간 값은 45.5시간이었으며, 재원기간의 중간 값은 10.5일이었다. 수술 중 전환한 환자를 제외한 22명 중, 수술장에서 시행한 경식도 심초음파를 시행한 모든 환자에서 경도(mild) 이하의 대동맥판막 역류를 보였으며, 수술장에서 경식도초음파를 시행하지 못했던 초기 한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중등도(moderate)의 판막 역류가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1.2\pm27.4$개월로 타과 수술 중 사망한 1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생존을 확인하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대동맥판막 역류가 재발하였으나 재수술은 없었다. 결론. 대동맥륜대동맥확장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을 보존하면서 대동맥근부 및 상행대동맥을 치환하는 수술이 선별된 환자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대한 삼첨판후판륜주름술(Davila Technique)의 중장기결과 (Mid-term and Long-term Outcomes of Posterior Plication Annuloplasty(Modified Davila Annuloplasty) for Functional Tricuspid Regurgitation)

  • 이미경;김종헌;김민호;조중구;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80-585
    • /
    • 2008
  • 배경: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의 수술치료에 여러 방법의 판륜성형술이 이용된다. 저자들은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삼첨판후판륜주름술(posterior annular plication technique; Davits technique)을 이용하고 그 중장기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기능성 삼첨판부 전정도가 2도(판막부전 범위, $1{\sim}4$도) 이상이거나 판막부전증이 2도 미만이더라도 삼첨판판륜이 직경 5.0cm 이상으로 늘어난 58예의 성인환자들(남, 22예; 여, 36예)에서 후판륜주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26예(44.9%)가 3도 이상의 기능성 삼첨판부전증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승모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고 이 중 20예(34.5%)는 대동맥판막치환술도 같이 시행되었다. 결과: $101.4{\pm}51.6$개월의 추적기간 동안에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은 28예(49.1%)에서 거의 완전히 소실되거나 흔적만 보였고, 8예(14.0%)에서 2도 이상 3도 미만을 보였으며, 2예(3.5%)에서는 3도의 삼첨판막부전을 보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삼첨판막 부전정도는 평균 $2.66{\pm}0.73$에서 $0.82{\pm}0.89$로 호전되었다(p<0.0001). 삼첨판막에 대한 재수술이나 판막부전 정도가 수술 전보다 더 악화된 예는 없었다. 결론: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대한 변형식 Davila 후판륜주름술은 의의 있는 중장기적 결과를 보였으며 유용한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