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omycin c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6초

합성화학물질들의 유전독성평가(XV) -마우스의 말초혈의 망상적혈구를 이용한 17종 합성화학물질들의 생체내 소핵시험-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s (XV) -In vivo Peripheral Blood Reticulocytes Micronucleus Assay of 17 Synthetic Chemicals in Mice-)

  • 김미순;김연정;류재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3호
    • /
    • pp.209-218
    • /
    • 2006
  • 합성화학물질들이 환경으로의 유입은 인체에는 물론 환경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의 유해성 검증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화학물질들의 유전적 손상 유발유무는 유해성검증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산업체 공정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17종의 합성화학물질에 대해 마우스의 말초 혈의 망상적혈구를 이용한 in vivo 소핵시험을 수행하여, 소핵형성 유발유무를 관찰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mitomycin C는 음성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소핵을 유발하는 반면, 비교적 마우스에서 높은 50% 치사량을 보이는 benzoyl chloride, p-toluene sulfonic acid 및 4,4'-sulfonyldianiline 등의 합성물질들을 포함한 총 17종의 물질들은 본 실험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소핵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Preventive Effect of Ecklonia Stolonifera on the Frequency of Benzo(a)pyrene-Induced Chromosomal Aberrations

  • Lee, Ji-Hyeon;Hye- Young Oh;Park, Jae-Su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64-68
    • /
    • 1996
  • Chromosomal aberration tests in vitro using Chinese hamster lung(CHL) cell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 of the MeOH extract of Ecklonia stolonifera in modulating the chromosomal damage induced by Mitomycin C(MMC) and Benzo(a)pyrene(B(a)P), respectively. The MeOH extract of Ecklonia stolonifera(260$\mu\textrm{g}$/ml) reduced significantly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aberration induced by treatment with B(a)P by 80%. The suppressive effect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beta$-carotene, which is well known antimu-tagen. However, there was no marked decrease in the chromosomal aberration induced by MMC. In the tests involving chromosomal aberration induced by the treatment of the MeOH extract of Exklonia stlolnifera alon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negative control. The results would seem to indicate that. at least under the conditions examined, the MeOH extract of Ecklonis stolonifera decreased the chromosomal aberrations induced by B(a)P in the CHL cells, but had little effect on the chromosomal aberration induced by MMC.

  • PDF

Characterization of Prophages in Leuconostoc Derived from Kimchi and Genomic Analysis of the Induced Prophage in Leuconostoc lactis

  • Kim, Song-Hee;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333-340
    • /
    • 2022
  • Leuconostoc has been used as a principal starter in natural kimchi fermentation, but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ts phages. In this study, prophage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in kimchi-derived Leuconostoc strains were investigated, and phage induction was performed. Except for one strain, 16 Leuconostoc strains had at least one prophage region with questionable and incomplete regions, which comprised 0.5-6.0% of the bacterial genome. Based on major capsid protein analysis, ten intact prophages and an induced incomplete prophage of Leu. lactis CBA3626 belonged to the Siphoviridae family and were similar to Lc-Nu-like, sha1-like, phiMH1-like, and TPA_asm groups. Bacterial immunology genes, such as superinfection exclusion proteins and methylase, were found on several prophages. One prophage of Leu. lactis CBA3626 was induced using mitomycin C and was confirmed as belonging to the Siphoviridae family. Homology of the induced prophage with 21 reported prophages was not high (< 4%), and 47% identity was confirmed only with TPA_asm from Siphoviridae sp. isolate ct3pk4.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euconostoc from kimchi had diverse prophages with less than 6% genome proportion and some immunological genes. Interestingly, the induced prophage was very different from the reported prophages of other Leuconostoc species.

생약의 간암세포에 대한 항종양효과와 항암제와의 상승작용 (Studies on Antitumor Effect and Synergistic Action of Natural Products with Anticancer drugs against Hepatic Tumors)

  • 박경식;김성훈;김병탁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1-223
    • /
    • 1995
  • 연구배경: 간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의 사망율 중 2위인데 한방임상에서 간암의 치료에 인진, 포공영, 시호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한약의 간암세포에 대한 항종양효과와 간암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와의 상승작용을 실험적으로 입증할 필요가 있어 실험에 착수하였다. 방법: in vitro에서 시호, 인진, 포공영 및 포공영 EE층의 인체 간암세포인 PLC(hepatoma), Hep 3B(hepatocellular carcinoma) 및 Hep G2(hepatocellular carcinoma) 등에 대한 세포독성과 간암치료에 다용되는 mitomycin C(MMC), cisplatin(CPT), 5-fluorouracil(5-FU) 등의 항암제와의 상승효과를 MTT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 인진은 비교적 PLC와 Hep 3B에 대하여 항종양효과가 있고, 시호는 Hep G2에 대해 보다 효과적이고, 항암제중 MMC와의 상승적 작용이 뚜렷하여 앞으로 인진으로 부터 항암활성물질의 분리가 필요하며 한약과 항암제와의 병용투여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사료된다.

  • PDF

수술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의 역할 (Role of Radiotherapy in Unresectable Pancreatic Carcinoma)

  • 신현수;성진실;오원용;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19-126
    • /
    • 1993
  • From 1988 to 1991, nineteen patients with unresectable localized pancreatic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nd/or hyperthermia or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Radiation dose of 4500-5000 cGy with or without additional 500-1000 cGy was administered over 5 to 6 weeks to the pancreatic tumor area using 10 MV linear accelerator. Five of 19 patients were given chemotherapy, either neoadjuvant or maintenance setting with FAM regimen (5-FU, adriamycin and mitomycin C), which was repeated every 4 weeks for one year or until progression. Symptomatic palliation was achieved in 17 among 19 patients ($89{\%}$) and objective response (complete or partial response in CT finding) was achieved in 5 among 11 patients ($45{\%}$).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9 months and one-year survival rate, $32{\%}$. Local-regional failure was documented in 10 among 13 patients ($77{\%}$) and distant failures were found in the liver (3 patients) and carcinomatosis (2 patients). Prognostic significa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age, sex, performance status, tumor location, stage, etc. were assessed. Any factors did not hav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n univariate analysis. Treatment was well tolerated in most of the patients with only mild to moderate toxicity.

  • PDF

Antitumor Effects of Camptothecin Combined with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on the Cervical and Uterin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SiHa

  • Ha, Sang-Won;Kim, Yun-Jeong;Kim, Won-Yong;Lee, Ch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2호
    • /
    • pp.115-121
    • /
    • 2009
  • Functional defects in mitochondria ar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cell death in cancer cells. We assessed the toxic effect of camptothecin against the human cervical and uterine tumor cell line SiHa with respect to the mitochondria-mediated cell death process, and examined the combined effect of camptothecin and anticancer drugs. Camptothecin caused apoptosis in SiHa cells by inducing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changes that lead to the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creased Bcl-2 levels, cytochrome c release, caspase-3 activation,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depletion of GSH. Combination of camptothecin with other anticancer drugs (carboplatin, paclitaxel, doxorubicin and mitomycin c) or signaling inhibitors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 and ERK inhibitor) did not enhance the camptothecin-induced cell death and caspase-3 ac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mptothecin may cause cell death in SiHa cells by inducing changes in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ty, which leads to cytochrome c release and activation of caspase-3. This effect is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depletion of GSH. Combination with other anticancer drugs (or signaling inhibitors) does not appear to increase the anti-tumor effect of camptothecin against SiHa cells, but rather may reduce it. Combination of camptothecin with other anticancer drugs does not seem to provide a benefit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and uterine cancer compared with camptothecin monotherapy.

유효체적 방법과 임상분석을 통한 방사선에 의한 정상 폐조직의 부작용 확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NTCP) for Radiation Pneumonitis by Effective Volume Method)

  • 안승도;최은경;이병용;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43-249
    • /
    • 1997
  • 목적 : 방사선에 대한 정상 폐조직의 부작용에 관한 확률은 폐암의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됨에도 닥구하호 잘 알려져 있지 안다. 더구나 표적 부위와는 달리 정상 폐조직의 방사선량 분포는 매우 불균일하므로, 대표 선량값을 찾아 내는 것조차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Dose Volume Histogram(DVH)과 유효체적방법(Effective Volume Method)을 통하여 정상 폐조직의 선량을 정량화하고 정상 폐조직 부작용 확률(Normal Tl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을 구하여 임상결과와 비교하므로서 이 방법이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로서 가능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8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비세포성 폐암으로 방사선과 복합항암약물요법을 병행하여 치료받은 환자 중에서 36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DVH 분석을 통한 정상 폐조직의 NTCP를 구하였다. 36명의 환자는 Mitomycin C, Vlnblastlne, Clsplatln을 사용한 2회의 복합항암 약물요법과 동시에 다분할 방사선추료(120cBy11x, bld)를 6480c0y까지 병행 치료하였다. 각 환자의 치료전 CT scan을 사용하여 우측폐, 좌측폐 그리고 전체폐 각각의 DVH를 구하였다. Kutcher등의 Effective Volume Method로 Nonuniform Histogram을 Uniform Histogram으로 변환시켰고, $TD_{50}$은 Emaml 등의 자료에 의거하여, Lyman 공식을 이용하여 NTCP를 구하였다. 방사선 폐렴의 Grade는 SWOG의 Toxlcity Criteria에 따랐다. 결과 : 대상환자 36명중 6명이 Grade 1, 2명이 Grade II의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였다.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군의 NTCP와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NTCP는 전체폐를 대상으로 28.4와 23.4, 병소 부위의 폐를 대상으로 66.0과 2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으나 치료 전후에 시행한 폐기능 검사 소견에서는 두 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찾지 못하였다. 결론 : 부작용이 있는 관과 부작용이 없는 군의 NTCP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NTCP와 임상적인 부작용 확률은 정량적으로 일치하였다. 그러나 NTCP는 순수하게 방사선의 효과만을 고려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약물요법을 병용하였다는것과 다분할(Hyperfractionaltion) 방사선 치료에 의한 방사선 생물학적 변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연구결과 유효체적 방법을 이용한 NTCP는 향후 입체조형 치료에서의 선량증가(Dose escalation) 가능성에 대한 부작용 예측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 3 기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 복합 항암 용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 -추가 항암 요법에 대한 임의 선택- (MVP Chemo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Stage III Un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Randomized for Maintenance Chemotherapy vs. Observation; Preliminary Report)

  • 최은경;장혜숙;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최철준;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삼현;손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15-219
    • /
    • 1991
  • 제3기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항암 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전향성 임의선택 연구(prospective randomized study)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제III기의 비소세포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VP 항암요법(Mitomycin C 6mg/$m^2$, Vinblastine 6 mg/$m^2$, Cisplatin 60 mg/$m^2$)을 3회 시행한 후 다분할 방사선치료 (120 cGy/ft BID)를 6500 cGy까지 조사하였다. 방사선치료가 끝난 1개월 후 관해정도를 확인하여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계속 관찰하는 군으로 임의 분류하였다. 1991년 8월까지 18명의 환자가 등록 되었으며 이중 2명은 2cycle의 항암요법 후 치료를 포기하여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MVP항암요법에 대한 관해율은 $62.5\%$$50\%$에서는 부분관해 $12.5\%$에서는 minimal response를 보였다.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인 3명중 1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항암요법으로 병이 진행된 6명의 환자중 4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에도 역시 병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환자는 다분할 방사선 치료를 잘 견뎠으나 한 환자가 방사선 치료 한달 후 항암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아직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대상 환자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은 있으나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 대한 MVP 복합화학요법의 효과 (The Effect of Mitomycin-c, Vinblastine, and Cisplatin(MVP) Combined Chemo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영우;박능화;지상근;최현묵;이신화;이금희;장태원;정만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76-83
    • /
    • 1995
  • 연구방법: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수술을 거부한 40예의 병기 3기와 4기의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서 MVP 복합화학요법을 2회이상 시행하였다. 결과: 1) 반응률에 있어서는, 부분 관해를 보인 예는 9예(23%)였으며, 23예(57%)에서 불변이었고, 8예(20%)에서 진행성 병변을 보였다. 완전 관해를 보인 예는 없었다. 2) 전체적인 중앙생존기간은 36주이었으며, 반응군에서의 중앙생존기간은 60주로서 비반응군의 31주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었다(p=0.03). 3) 여성에서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었다(p=0.01). 그외 예후인자인, 나이, 활동도, 조직형, 병기, LDH치, 혈색소치, 혈청 CEA치 등에 따른 반응률과 생존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활동도가 양호한 군에서 반응률이, stage IIIa군에서 반응률 및 생존 기간이 높았음이 관찰되었다. 4) 화학 요법만을 받은 군과 고식적인 방사선 요법을 받은 군간의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5) 부작용은 2예(5%)에서 지속적인 백혈구 감소증, 5예(12.5%)에서 말초 신경염이 관찰되었으나, 대다수 예에서 부작용 정도는 가역적이었고, 수용할만 하였다. 결론: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MVP 요법은 반응률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데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나, 반응군에서는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연장 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화학요법의 개발과 아울러 대규모의 대상으로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과의 병용치료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Lactobacillus casei Bacperiophage의 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s of Lectobacillus casei)

  • 김영창;박민철;강국희;윤영호;이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5-178
    • /
    • 1979
  • Phages of Lactobaciilus casei (PLC) isolated from plant drainage were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On the basis of host range pattern, phages could be divided into 2 groups (PLC-B and PLC-C). PLC-B group phag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5 sub-groups $(B_1, \;B_2, \;B_3, \;B_4, \;and\;B_5)$. Although PLC-C group phages had the same host range, they could be also divided into 2 sub-groups $(C_1\;and\;C_2)$ by morphlogical type. 2. It was $B_3$ group phages that represented a major proportion (44.4%) of phages tested. However, $B_1$ group phages were shown to have the widest host range. 3. Electron micrographs revealed that the phages fell into three different morphological types. $(B_1, \;B_2, \;and\;B_3)$ group phages hd a hexagonal head (52nm in diameter) and a sheathless noncontractile (245 nm in length). $B_4\;and\;C_2$ group phages had a hexagonal head (56 nm) and a short flexible tail (169nm) having no sheath. $B_5\;and\;C_1$ group phages were shown to have a hexagonal head (81 nm) and a contractile tail (140 nm) having a sheath, a base plate and tail fibers. 4. The inactivation of the phages by antisera indicated that serological relationships correlated completely with morphological types. 5. $B_1, \;C_1\;and\;C_2$ group phages produced a large (1, 2 mm in diameter) plaque with a clear ring. The morphology of plaques of $B_3\;and\;B_5$ group phages was the same as those produced by the above, but the average plaque sizes for $B_3\;and\;B_5$ were 0.8 mm abd 0.5 mm, respectively. $B_2\;and\;B_4$ group phages produced a small (0.5 mm) turbid plaque with an irregular edge. 6. The latent period and the average burst size of $B_1\;and\;B_3$ group phages were 90 min and 100, respectively. These phages reuqired calcium ions for their miltiplication. 7. $B_3$ group phages could not be absrobed to R-variant $KC_1$. 8. The order of resistance of phages to heat was $B_2\;>\;B_1, B_4\;and\;B_5\;>\;B_3\;and\;C_2, \;B_5$ group phages were more stable than $B_3$ in various pH values. $C_2$ group phages were more sensitive to UV irradiation than $B_1\;and\;B_3$ group phages. 9. Strains YIT9018 and IAM 1043 were induced by mitomycin C treatment. Phage particles detected in the lysates had a hexagonal head (38 and 49 nm, respectively), but no tail. Any sensitive indicator strain could not be isolated in spite of repaeated t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