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ly

검색결과 1,086건 처리시간 0.028초

Thoracic Duct Embolization for Treatment of Chyle Leakage After Thyroidectomy and Neck Dissection

  • Sungmo Moon;Juil Park;Gyoung Min Kim;Kichang Han;Joon Ho Kwon;Man-Deuk Kim;Jong Yun Won;Hyung Cheol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1호
    • /
    • pp.55-61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nodal lymphangiography and thoracic duct embolization (TDE) for chyle leakage (CL) after thyroi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who underwent intranodal lymphangiography and TDE for CL after thyroid surgery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mong the 14 patients, 13 underwent bilateral total thyroidectomy with neck dissection (central compartment neck dissection [CCND], n = 13; left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MRND), n = 11; bilateral MRND, n = 2), and one patient underwent left hemithyroidectomy with CCND. Ten patients (76.9%) had high-output CL (> 500 mL/d). Before the procedure, surgical intervention was attempted in three patients (thoracic duct ligation, n = 1; lymphatic leakage site ligation, n = 2). Lymphangiographic findings,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Technical success was defined as the successful embolization of the thoracic duct after access to the lymphatic duct via the transabdominal route. Clinical success was defined as the resolution of CL or surgical drain removal. Results: On lymphangiography, ethiodized oil leakage near the surgical bed was identified in 12 of 14 patients (85.7%).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TDE was 78.6% (11/14). Transabdominal antegrade access was not feasible due to the inability to visualize the identifiable cisterna chyli or a prominent lumbar lymphatic duct.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 technically successful TDE, the clinical success rate was 90.1% (10/11). The median time from the procedure to drain removal was 3 days (with a range of 1-13 days) for the 13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drainage. No CL recurrence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ing from 2-44 months; median, 8 month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except for one case of chylothorax that developed after TDE. Conclusion: TDE appears to be a safe and effectiv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ption for CL after thyroid surgery, with acceptable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Association of Ultrasonography Features of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With Tumor Invasiveness and Prognosis Based on WHO Classification and TERT Promoter Mutation

  • Myoung Kyoung Kim;Hyunju Park;Young Lyun Oh;Jung Hee Shin;Tae Hyuk Kim;Soo Yeon Hah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1호
    • /
    • pp.103-112
    • /
    • 202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ultrasound (US) features of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FTC) with tumor invasiveness and prognosis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 and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promoter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54 surgically confirmed FTC patients with US images and TERT promoter mutations (41 females and 13 males; median age [interquartile range], 40 years [30-51 years]). The WHO classification consisted of minimally invasive (MI), encapsulated angioinvasive (EA), and widely invasive (WI) FTCs. Alternative classifications included Group 1 (MI-FTC and EA-FTC with wild type TERT), Group 2 (WI-FTC with wild type TERT), and Group 3 (EA-FTC and WI-FTC with mutant TERT). Each nodule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US patterns of the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and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TIRADS (ACR-TIRADS). The Jonckheere-Terpstra and Cochran-Armitag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mong 54 patients, 29 (53.7%) had MI-FTC, 16 (29.6%) had EA-FTC, and nine (16.7%) had WI-FTC. In both the classifications, lobulation, irregular margins, and final assessment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l Ps ≤ 0.04). Furthermore, the incidences of lobulation, irregular margin, and high suspicion categor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umor invasiveness and worse prognosis (all Ps for trend ≤ 0.006). In the WHO groups, hypoechogenic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P = 0.01) and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as tumor invasiveness increased (P for trend = 0.02). In the alternative group, punctate echogenic foci were associated with prognosis (P = 0.03, P for trend = 0.03). Conclusion: Increasing tumor invasiveness and worsening prognosis in FTC based on the WHO classification and TERT promoter mutation resul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US features that indicate malignant probability according to both K-TIRADS and ACR-TIRADS.

Relationship between 18F-FDG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Classification in Lung Adenocarcinomas

  • Lihong Bu;NingTu;Ke Wang;Ying Zhou;Xinli Xie;Xingmin Han;Huiqin Lin;Hongyan Fe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호
    • /
    • pp.112-123
    • /
    • 2022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8F-FDG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IASLC/ATS/ERS)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 including histological subtypes, proliferation activity, and somatic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419 patients (150 males, 269 females; median age, 59.0 years; age range, 23.0-84.0 years) who had undergone surgical removal of stage IA-IIIA lung adenocarcinoma and had preoperative PET/CT data of lung tumors.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max), background-subtracted volume (BSV), and background-subtracted lesion activity (BSL) derived from PET/CT were measured. The IASLC/ATS/ERS subtypes, Ki67 score, and epidermal growth factor/anaplastic lymphoma kinase (EGFR/ALK) mutation status were evaluated.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umor subtypes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or the Kruskal-Wallis test. The optimum cutoff values of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for distinguishing the IASLC/ATS/ERS subtypes were calcul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and pathological parameters was analyz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SUVmax, BSV, and BS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vasive adenocarcinoma (IA) than in minimally IA (MIA), and the values were higher in MIA than in adenocarcinoma in situ (AIS) (all p < 0.05). Remarkably, an SUVmax of 0.90 and a BSL of 3.62 were shown to be the optimal cutoff values for differentiating MIA from AIS, manifesting as pure ground-glass nodules with 100%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abolic-volumetric parameters (BSV and BSL) were better potential independent factors than metabolic parameters (SUVmax) in differentiating growth patterns. SUVmax and BSL, rather than BSV, were strongly or moderately correlated with Ki67 in most subtypes, except for the micropapillary and solid predominant groups. PET/CT parameters were not correlated with EGFR/ALK mutation status. Conclusion: As noninvasive surrogates, preoperative PET/CT semi-quantitative parameters could imply IASLC/ATS/ERS subtypes and Ki67 index and thus may contribute to improved management of precise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Effect of Mixture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ic Protein-2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in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 Jun Ik Son;Young-Seok Lee;Myeong Jin Ko;Seong-Hyun Wui;Seung Won Par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3호
    • /
    • pp.354-363
    • /
    • 2024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recombinant-human bone morphogenic protein-2 (rhBMP-2) for successful bone fusion in minimally invasive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MIS LLIF). Previous studies show that rhBMP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autologous iliac crest bone graft, but the optimal dose remains uncertain. The study analyzes the fusion rates associated with different rhBMP doses to provide a recommendation for the optimal dose in MIS LLIF. Methods : Ninety-three patients underwent MIS LLIF using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or a mixture of rhBMP-2 and DBM as fusion material. The group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hBMP-2 usage : group A, only DBM was used (n=27); group B, 1 mg of rhBMP-2 per 5 mL of DBM paste (n=41); and group C, 2 mg of rhBMP-2 per 5 mL of DBM paste (n=25). Demographic data, clinical outcomes,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fusion were assessed. Results : At 12 months post-surgery, the overall fusion rate was 92.3% according to Bridwell fusion grading system. Groups B and C, who received rhBMP-2, had significantly higher fusion rates than group A, who received only DB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fusion rate when the rhBMP-2 dosage was increased from group B to group C. The groups B and C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ck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compared to the group A. The incidence of screw loosening was decreased in groups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other complications. Conclusion : Usage of rhBMP-2 in LLIF surgery leads to early and increased final fusion rates, which can result in faster pain relief and return to daily activities for patients. The benefits of using rhBMP-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at received 1 mg/5 mL and 2 mg/5 mL of rhBMP-2.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1 mg of rhBMP-2 with 5 mL of DBM, taking both economic and clinical aspects into consideration.

국내의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에 대한 교육: 현황 및 미래 전망 (Training of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yroid Nodules in Korea: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 )

  • 안혜신;정소령;백정환;성진용;김지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009-1016
    • /
    • 2023
  •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은 미세 침습 치료술의 한 방법으로 양성 갑상선 결절과 갑상선 재발암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대신하여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2년 세계 최초로 갑상선 결절에 대한 고주파 절제술을 시작하여, 2008년에는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09년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Korean Society of Thyroid Radiology)는 고주파 절제술에 대한 첫 권고안을 만들었으며, 2012년과 2018년에 이를 개정하였다.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의 지침서는 갑상선 결절의 고주파 절제술에 대한 세계 최초의 지침서로 국내 및 국외에서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을 시행하는 시술자들을 위한 지침이 되었다. 이 지침서들은 한국 및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고주파 절제술의 확립 및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대한 갑상선영상의학회는 2015년부터 참가자 수준에 맞춘 고주파 절제술의 심화 실습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에서 실시한 고주파 절제술 교육의 역사를 소개하고, 고주파 절제술의 학습 곡선 및 현재 한국에서의 교육 프로그램을 기술한 후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12 Fr. 흉관삽입술을 이용한 원발성 자연기흉의 치료 (Efficacy of 12 Fr.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in Manage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박상현;지현근;김응중;김건일;박종운;신윤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983-986
    • /
    • 2004
  • 배경: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술의 적응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크기의 흉관을 삽입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가지 수술 수기에 대한 보다 최소한의 침습적인 치료방법들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연구되는 경향이 있다.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슬에 있어서 기존의 24 Fr. 흉관을 12 Fr. 흉관으로 대신해 새로운 치료 지침에 따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진단 받고 흉관삽입술을 시행한 30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24 Fr.흥관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 19예는 A군, 2003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12 Fr.흉관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 20예는 B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흉관삽입 시술시간, 흉관 거치기간, 재원일수, 합병증, 수술여부, 재발여부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남녀 비는 A군은 16 : 3, B군은 18 : 2였고, 나이는 A군은 21.7$\pm$4.0세, B군은 20.0$\pm$3.7세 였다. 흉관삽입 시술시간은 A군은 21.6$\pm$2.9분, B군은 10.8$\pm$1.9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흉관 거치기간은 A군은 3.8$\pm$1.7일, B군은 4.3$\pm$2.2일이었으며, 재원일수는 A군은 5.6$\pm$9일, B군은 5.2$\pm$1.5일이었다. 흉관 삽입술에 따른 합병증은 두 군에서 모두 없었으며, 기흉의 재발과 지속적인 공기 누출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A군은 6예(35%), B군은 5예(25%)였다. 결과적으로 흉관삽입 시술 시간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발성 자연기흉의 흉관삽입술시 12 Fr. 흉관으로도 24 Fr. 흉관과 비교하여 효용성에 차이가 없다는 점과, 보다 시술이 쉽고 용이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

하지정맥류 치료를 위한 2세대 고주파 열폐쇄술($VNUS^{(R)}Colosure$ fast)과 기존의 고주파 열폐쇄술($VNUS^{(R)}Closure$ plus)의 임상치험 비교 분석 (Clinical Experience of $VNUS^{(R)}Closure$ fast in Treatment of Varicose Ve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Radiofrequency Ablation)

  • 김우식;이정상;정성철;신용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35-641
    • /
    • 2010
  • 배경: 대복재 정맥의 역류로 인한 대퇴정맥 접합부 부전에 대한 치료로써 정맥내 시술인 고주파 열폐쇄술은 고전적 복재정맥 스트리핑과 비교해 부작용이 적고 우수한 방법이다. 기존의 대복재정맥에 대한 고주파 열폐쇄술의 단점은 시술 시간이 길다는 점이었으나 이를 보완한 2세대 고주파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fast)은 분절 소작법을 채택하여 시술시간이 짧아지고 치료 방법 또한 더 간편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하지정맥류에 대한 2세대 고주파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fast)을 이용한 치료 결과 및 합병증을 기존의 고주파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plus)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대퇴 정맥 접합부의 역류가 있는 경우만을 골라 정맥내 고주파 열폐쇄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고주파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plus)를 시행 받은 총 4 명 (59족)의 환자(이후 1세대군)와 2세대 고주파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fast) 시행 받은 67명 (76족)의 환자(이후 2세대군)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두 집단 사이의 환자의 성비, 평균 시술시간, 치료된 정맥직경, 동반한 치료방법, 시술 후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하지정맥류로 인한 증상이 있었고 CEAP class 2 이상으로 초음파상 대퇴정맥접합부의 역류가 있었다. 치료된 대복재 정맥의 평균직경은 1세대군과 2세대군 사이에 양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5.59{\pm}0.6mm$ vs.$5.65{\pm}0.6mm$, p=0.68). 평균 치료 시간은 2세대군이 유의하게 낮았다($17.0{\pm}6.5min$ vs. $62.7{\pm}9.8min$, p<0.001). 양 군에서 유의할 만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하지정맥류에 대한 치료로서 정맥내 시술인 고주파 열폐쇄술은 안전하며 효과적인 시술이며 2세대 열폐쇄술($VNUS^{\circledR}Colosure$ fast)은 시술시간의 단축과 조작의 용이함으로 의사 및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치료라 할 수 있겠고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이용한 유골 골종의 치료 (CT-guided Percutaneous Thermo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성기선;서재곤;하해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8-95
    • /
    • 2004
  • 목적: 통증을 동반한 유골 골종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절제로 이루어졌으나, 그 침습성으로 인하여 술후 통증 및 일정 동안의 회복 시간이 필요하였다. 최소 침습적인 방법인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이용한 유골 골종의 치료는 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재발은 수술적 방법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의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4월에서 2004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하여 유골 골종으로 진단된 환자 22명, 22례를 전산화 단층 촬영 도움 하에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26.5(7~55)세였고, 남자가 15명, 여자가 7명이었다. 이 중 2례는 외부에서 치료 받은 후 재발한 경우였다. 병변의 위치는 대퇴골 13, 경골 4, 비골 1, 상완골 1, 장골 1, 좌골 1, 천골 1례였다. 시술 전 3례에서 경피적 생검을 시행하여 확진 하였고, 나머지는 임상양상 및 방사선 소견으로 진단하였다. 전신 또는 척추 마취 하에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병소의 위치를 확인한 후 고주파 전극을 병소의 중심부에 위치한 후, 섭씨 80에서 90도로 평균 6(3~8)분간 가열하였다. 외래 추시 및 전화 통화로 증상 호전 여부 및 일상 생활 정도를 추적 관찰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0(4~62)개월 이었다. 결과: 추시 중 19례(86%)에서 통증이 소실되었고, 2례에서는 시술 후 각각 5개월, 12개월에 병변이 재발하였으며, 1례에서는 재발의 증거 없이 지속되는 통증이 있었다. 시술 후 4시간 정도 침상 안정 후 바로 보조기 없이 보행이 가능하였으며, 화상으로 인한 근육 손상이 발생한 1례를 제외한 21례 환자들은 합병증 없이 시술 후 평균 1.9일에 퇴원하였다. 재발이 확인된 2례는 다시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이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 유골 골종의 치료에 있어서 전산화 단층 촬영 도움 하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는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술후 통증이 적으며, 회복이 빠르고, 안전하면서, 이제까지 보고된 수술적 절제의 결과와 비교할 만한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 PDF

제3동맥 도관으로서의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사용하여 시행한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초기 및 중기 결과 (Off-Pump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Using the Skeletonized Right Gastroepiploic Artery as a Third Arterial Conduit; Early and Midterm Results)

  • 이현주;최재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59-665
    • /
    • 2003
  •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에서 골격화된(skeletonized) 양측 내흉동맥 이외에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함께 사용한 환자들에서 수술 직후와 1년째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골격화된 양측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을 이용하여 시행한 103예의 관상동맥우회수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우위대망동맥을 유근이식편(in situ graft)으로 사용한 것이 88예, 근위부를 다른 혈관 도관에 연결(composit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10예, 대동맥에 연결(fre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5예로 각각의 경우 수술 직후와 1년후 혈관조영검사를 통해 도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문합수는 3.8$\pm$0.7개였고 수술 직전 측정한 도관의 자유혈류량(free flow (ml/rnin))은 우위대망동맥이 130$\pm$95 ml/min로 좌내흉동맥(107$\pm$55 ml/min)과 우내흉동맥(113$\pm$57 ml/min)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수술 후 100명(97.1%)의 환자에게 평균 1.3$\pm$0.8일째에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내흉동맥은 98.6% (272/276),우위대망동맥은 97.0% (97/100)의 개통률을 보였다(p=ns). 퇴원 후에 평균 12.4$\pm$3.7개월째에 다시 88명(85.4%)의 환자에서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다 개통률은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이 각각 95.9%(234/244), 88.6%(78/88)로 내흉동맥이 조금 우세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 우위대망동맥과 자신의 관상동맥 사이 혈류경쟁(flow competition)의 소견은 수술 직후에 5예, 1년 뒤에 7예에서 관찰되었는데 TTFM (transit time flow measurement)을 수술 중에 시행하여 혈류경쟁이 의심되는 경우에서 교정을 시행한 이후에는 각각 1예와 2예로 유의하게 줄어듦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우위대망동맥은 내흉동맥에 이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3의 동맥 도관이며, 수술 중 혈류 측정, 대상 혈관의 정확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