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impla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초

인조골에서 식립 방법이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s of different pilot-drilling methods on the mechanical stability of a mini-implant system at placement and removal: a preliminary study)

  • 조일식;추혜란;김성균;신윤섭;김덕수;김성훈;정규림;존황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4-360
    • /
    • 201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ilot-drilling methods on the biomechanical stability of self-tapping mini-implant systems at the time of placement in and removal from artificial bone blocks. Methods: Two types of artificial bone blocks (2-mm and 4-mm, 102-pounds per cubic foot [102-PCF] polyurethane foam layered over 100-mm, 40-PCF polyurethane foam) were custom-fabricated. Eight mini-implants were placed using the conventional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and another 8 mini-implants were placed using a novel manual pilot-drilling method (using a manual drill) within each of the 2-mm and 4-mm layered blocks. The maximum torque values at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mini-implants were measured, and the total energy was calculat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ximum insertion torque was similar regardless of block thickness or pilot-drilling method. Regardless of the pilot-drilling method, the maximum removal torque for the 4-mm block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for the 2-mm block. For a given block, the total energy at both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mini-implant for the manual pilot-drilling method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for the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Further, the total energies at removal for the 2-mm block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4-mm block, but the energies at insertion were not influenced by the type of bone blocks. Conclusions: Dur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mini-implants in artificial bone blocks, the effect of the manual pilot-drilling method on energy usage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악 제2, 3대구치의 전방이동 : 증례보고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 protraction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case report)

  • 최성권;강경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11호
    • /
    • pp.654-663
    • /
    • 2019
  •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management of a 30-year-old woman with hopeless mandibular first molars and right maxillary second premolar. The treatment plan included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 protraction after extr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s. Mini-implants were placed between roots of first and second premolar. Sliding mechanics with lever arm was used to prevent inclination of molars. A good functional occlusion was achieved in 38 months without clinically significant side effects. Most of the extraction space of mandibular first molar was closed by protraction of second and third molars. The skeletal Class II pattern was improved by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through reduction of wedge effect. Mandibular molar protraction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in adequate cases would be a great alternative to prosthetic implant and reduce the financial and surgical burden of patients.

  • PDF

미니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악의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보고 (Mandibular Mini-Implants Supported Overdentures: A Case Report)

  • 박진홍;이정열;신상완
    •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6-152
    • /
    • 2015
  • Mini-dental implants for overdenture applications are increasingly popular due to their ease in placement with simplified, less traumatic surgical protocols in limited-width alveolar ridges. However, the clinical decisions including implant number, position, and loading protocol must be based on a thorough evaluation and evidence-based diagnosis. Herein, we reported a case treated with the current method of mandibular mini-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의 세균 동정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the peri-implant sulcu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 임성훈;김광원;유소영;국중기;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1-262
    • /
    • 2006
  • 교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는 가동성 점막인 치조점막 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미니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의 증식을 동반한 염증이 빈번히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세균총과 동일 환자의 인접한 건강한 치은 열구의 세균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 구치부의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한 미니임플랜트 및 이에 연결된 결찰선 주위 열구의 세균막과 미니임플랜트에 인접한, 치은 염증이 없는 제2대구치의 치은열구의 세균막을 멸균된 paper point로 채취한 후,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동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로부터 304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으며, 치은열구로부터 238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다. 클론의 9.2%에 해당하는 24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에서만 검출되었고, 이들은 Haemophilus aphrophilus, Sphingomonas species, Capnocytophaga species, Prevotella melaninogenica, Lachnospiraceae species, Porphyromonas species, Neisseria flava 등이었다. 전체 클론의 80.4%에 해당하는 29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 및 건강한 치은 열구 모두에서 검출되었다. 이들 중 특히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더 많은 클론이 분리된 세균들은 Prevotella species, Atopobium rimae, Veillonella species, Streptococcus intermedius/constellatus, Streptococcus salivarius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검출된 세균들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연조직 염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악 4전치 상실시 치료 계획 (Treatment plan for missing mandibular 4 incisors)

  • 한광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34
    • /
    • 2016
  • 상실한 하악 4전치에서의 치료 계획은 어느 다른 부위보다 수술의 성공률이나 보철치료시 유리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고 흔히 생각되는 부위이다. 하지만 하악 전치들의 M-D 사이즈나 crowding으로 인한 공간적 제한, 임시치아 문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생기는 심미적인 문제 등 의외로 까다로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부위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하악 4전치 상실 시의 치료 계확에 대해서 케이스를 통해 알아 보겠다. 하악 4전치 상실시 가능한 옵션들: 하나 혹은 4전치중 일부 상실의 경우나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거의 없어 임플란트 위치 관계가 심미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면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들을 원래 발치와 중앙에 식립(Narrow type 이나 One body mini implant type) 최종 보철물 형태가 Pink porcelain을 포함하는 이미 광범위한 치조골의 흡수가 일어난 경우 즉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덜 중요한 상황이라면 regular size의 임플란트들을 측절치와 중절치의 사이 Interseptal bone위치에 식립 4전치중 하나 혹은 일부가 상실됐고 남아 있는 전치들의 예후가 불량하다고 의심되나 환자가 당장 나머지 전치들의 발치에는 동의하지 않을 때 남아 있는 전치들이 발치 될 때까지의 Tentative restoration로서 Resin Bonded Bridge(Resin Retained Bridge/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의 적용.

치과용 콘빔CT영상에서 미니임플란트를 위한 협측피질골 두께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on CBCT for mini-implant)

  • 구종국;임성훈;이병진;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4호
    • /
    • pp.179-185
    • /
    • 2010
  • Purpose : Cortical bone thicknes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in mini-implant stabil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at every interdental area as an aid in planning mini-implant 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wo-dimensional slices at every interdental area were selected from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20 patients in third decade.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was measured at 2, 4, and 6 mm levels from the alveolar crest in the interdental bones of posterior regions of both jaws using the plot profile function of $Ez3D2009^{TM}$ (Vatech, Yongin, Korea).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by Mann-Whitney test. Results : Buccal cortical bone was thicker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The thickness increased with further distance from the alveolar crest in the maxilla and with coming from the posterior to anterior region in the mandible (p<0.01). The maximum CT value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with further distance from the alveolar crest and with coming from posterior to anterior region in both jaws. Conclusion : Interdental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varied in both jaws, however our study showed a distinct tendency. We expect that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for the selection and preparation of mini-implant sites.

임프란트 표면 처리에 따른 공명주파수 변화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BETWEEN VARIOUS SURFACE PROPERTIES)

  • 배상범;이성현;송승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07-111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tability between Mg-incorporated implant, TiUnite and Machined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Premolars of 3 Mini pigs (24 months) were extracted. After 2 months later, total 27 fixtures of implants (9 of each design : Machined/ TiUnite/ Mg-incorporated) were inserted into the mandible of 3 mini-pig. Implant stability was estimated by RFA in installation to 2, 4 & 6 weeks. Statistical analysis of RFA values was performed with time and between groups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and tur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In analyzing the mean value for the observation periods, three types of implants yielded a slight decrease in RFA mean value after 2 week, followed by increase at 4-6 weeks. Mg incorporated oxidized impla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FA mean values at 6 weeks comparing other groups. The difference of RFA value with time and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Mg implants may reduce failure rates of clinical implants In the early period of bone healing and Mg implants may shorten the bone healing time from surgery to functional loading.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pattern of mov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using a 3-D finite element method)

  • 정애진;김운수;이수행;강성수;최희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13
    • /
    • 2007
  •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건조 두개골을 전산화 단층 촬영에 의해 3차원 영상화한 유한 요소 모델 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의 시행 여부와 고정원, 힘의 작용점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8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통상적인 T-loop을 이용하여 공간폐쇄를 하는 경우 전치부는 후하방으로 경사이동 하였으며, 구치부에서도 약간 전방 이동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을 동반하여 전치부를 견인한 경우, 전치부 골편에서의 응력 분포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었으며, 전치부 경사의 정도가 적은 반면에 변위량은 훨씬 더 많았다. 협측에서의 견인 시 상악 협측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와 견치 Power arm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미니 임플랜트로 고정원이 강화된 제2소구치와 견치 브라켓 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적었다. 구개측에서 Powerarm에 대한 견인 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에 식립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상악 제1, 2대구치 간 구개면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써 치아이동 시 피질골 절단술의 효과와 저항중심에 대한 교정력 벡터 조정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stress distribution on the diameter of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 변나영;남은혜;김일규;윤영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8-187
    • /
    • 2006
  • 본 연구는 고정원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피질골 표면에 대한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15{\times}15{\times}20mm^3$의 육면체에서 식립되는 피질골의 두께를 1.0 mm로 하였으며, 미니임플랜트의 길이를 8.0 mm로 고정하고 직경은 1.2 mm, 1.6 mm와 2.0 mm, 식립각도는 피질골 표면에 대해 $90^{\circ},\;75^{\circ},\;60^{\circ},\;45^{\circ}$$30^{\circ}$인 3차원 유한요소 모델로 제작한 다음, 미니임플랜트 두부중심에 각도 변화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200 gm의 수평력을 가하여 응력 분포 양상과 크기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식립각도와 무관하게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응력이 감소하였고, 대부분의 응력이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또한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하고 식립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피질골과 접촉면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피질골에 나타나는 최대응력은 식립각도 보다 피질골 표면과 접촉하는 미니임플랜트 위치가 더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임플랜트 사용 시 골내 응력 분포는 식립각도의 감소보다는 미니임플랜트 직경 증가와 미니임플랜트와 피질골 표면의 접촉위치가 미니임플랜트의 유지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므로 미니임플랜트의 식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