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uptak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9초

$^{99m}Tc$-MDP 골스캔에서 골다공증을 시사하는 소견 ([ $^{99m}Tc$ ]-MDP Bone Scintigraphy Findings Representing Osteoporosis)

  • 남대근;문태건;김지홍;손석만;김인주;김용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1-167
    • /
    • 2001
  • 목적: 골스캔은 다양한 골격계 질환을 평가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검사방법이다. 골격계를 침범하는 대사성 골질환은 골대사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스캔을 시행한 정상 여성에서 골스캔상의 섭취 증가와 골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밀도와 골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79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동반 여부와 골스캔 소견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각 부위별 골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스캔의 7가지 소견 중 장골과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는 증가하였고, 늑연골 접합부의 섭취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들 소견중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 증가 소견은 요추와 대퇴경부 골밀도의 감소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여성에서 골스캔상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증가 소견은 요추와 대퇴경부의 골밀도 감소와 관련이 있었고 이러한 사실은 폐경 후 여성에서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을 시사하는 소견이 될 수 있다.

  • PDF

벼의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pH 의 영향 (The Effect of pH on the Mineral Nutrient Uptake in the Rice Seedlings)

  • Chang, Nam-Kee;Bok-Se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4호
    • /
    • pp.243-249
    • /
    • 1983
  • Absorption pattern of potassium, calcium, phosphate and nitrate ions, and the pH change during ion-absorption at pH 3.0-11.0 by Oryza sativa L. were studied to investigate indirectly the evidence of H^+-efflux by ATPase. The rice seedlings which were grown either in $L^{\circ} -dark or in L^+-sunlight$, were used both in each ion-absorption to compare with one another. The uptake rate of these ions appeared to favor more in $L^+than in L^{\circ}$, over all range in pH, nearly with the same pattern. The absorption of potassium resulted in bell shape and that of calcium increased linearly to the alkali range. The shape of phosphate-absorption showed nearly the t-distribution curve with high value in acid range and the uptake of nitrate resulted in the dual peaks, but higher in acid range. The pH of the external solution changed from the range of 3.5-11.0 to 3.5-7.0 after lhr-absorptioin, and further acidified after 3hr-absorp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H change of the external solution be affected by $ H^+-efflux$ which may be caused by the ATP-hydrolysis.

  • PDF

Transcription Factor OsDOF18 Controls Ammonium Uptake by Inducing Ammonium Transporters in Rice Roots

  • Wu, Yunfei;Yang, Wenzhu;Wei, Jinhuan;Yoon, Hyeryung;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3호
    • /
    • pp.178-185
    • /
    • 2017
  • Nitrog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neral elements for plant growth. We studied the functional roles of Oryza sativa DNA BINDING WITH ONE FINGER 18 (OsDOF18) in controlling ammonium uptake. The growth of null mutants of OsDOF18 was retarded in a medium containing ammonium as the sole nitrogen source. In contrast, those mutants grew normally in a medium with nitrate as the sole nitrogen source. The gene expression was induced by ammonium but not by nitrate. Uptake of ammonium was lower in osdof18 mutants than in the wild type, while that of nit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utation. This indicated that OsDOF18 is involved in regulating ammonium transport. Among the 10 ammonium transporter genes examined here, expression of OsAMT1;1, OsAMT1;3, OsAMT2;1, and OsAMT4;1 was reduced in osdof18 mutants, demonstrating that the ammonium transporter genes function downstream of OsDOF18. Genes for nitrogen assimilation were also affected in the mutant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OsDOF18 mediates ammonium transport and nitrogen distribution, which then affects nitrogen use efficiency.

토양침적에 의한 $^{137}C_s$ 농작물 오염평가 모델 (Model for predicting the $^{137}C_s$ contamination of an agricultural plant following a soil deposition)

  • 전인;금동권;강희석;최용호;이한수;이창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65-372
    • /
    • 2006
  • [ $^{137}C_s$ ]의 토양침적으로 인한 농작물 오염 평가를 위한 동적격실모델이 제시되었다 토양침투(percolation), 쟁기질에 의한 토양혼합(soil mixing), 뿌리흡수(plant uptake), 용출(leaching to a deep soil), 토양고착(fixation to a clay mineral)이 모델에서 고려된 $^{137}C_s$의 주요 이동경로이며 $^{137}C_s$의 토양이동에 대한 토양특성(pH, 점토함량, 유기물함량, 이온교환성 K 농도)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Absalom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다른 토양특성을 가진 17종류의 논토양에서 2년 연속 벼를 재배하면서 수행한 $^{137}C_s$ 모의침적실험으로부터 구한 벼에 대한 $^{137}C_s$ 전이계수를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측정된 벼의 $^{137}C_s$ 전이계수는 pH와 점토함량 변화에는 뚜렷한 경향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유기물함량의 증가 또는 이온교환성 K 농도의 감소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측정된 전이계수는 모델에 의한 예측치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값을 가졌다.

  • PDF

포장재배수도(圃場栽培水稻)의 무기영양(無機營養) -III 수량등급별(收量等級別) 양분(養分)(N. P. K Si) 흡수량(吸收量), 양분효율(養分効率) 및 전이율(轉移率) (Mineral nutrition of field-grown rice plant. -III. Uptake, efficiency and percent translocation of N.P.K. and Si at various yield classes)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9-125
    • /
    • 1974
  • 삼요소시험(三要素試驗)(1967~69)을 중심(中心)으로 정조수량등급별(正租收量等級別)로 N, P, K, Si의 흡수량(吸收量)과 이들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 및 전이율(轉移率)을 본결과 다음과 같다. 1) 수량증가(收量增加)에 따른 각양분(各養分)의 요구도(要求度)는 유사(類似)한 비율(比率)로 증가(增加)하였으나 규산(珪酸)이 가장 변화(變化)가 컸다. 2) 질소효율(窒素効率)이 낮은(46kg/Nkg) 삼요소(三要素)시험에서는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효율(効率)과 전이율(轉移率)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질소(窒素)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이 감소(減少)하였으며 이감소정도는 비종(肥種) 및 품종(品種)에 따라 크게 다르다. 질소효율(窒素効率)은 식질(埴質)에서보다 수량(收量)이 높은 사양토(砂壤土)에서 높았다. 4) 질소(窒素)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은 질소(窒素)의 인으로의 전이율(轉移率)과 정상관관계(正相關關系)였다. 5) 다수확(多收穫)은 질소효율(窒素効率)이 50정도에서 머문채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만을 증가(增加)시켜 이루어지고 있다. 6) 질소효율(窒素効率)의 저하(低下)가 저수(低收)의 큰요인(要因)으로 보였다. 7) 삼요소시험(三要素試驗)에서 인산(燐酸)의 정조생산(正租生産) 효율(効率)이 상당히 낮은 편인데 인산(燐酸)의 토양환원(土壤還元)에 의(依)한 과다흡수(過多吸收)에 기인(基因)하는 것 같다.

  • PDF

양액의 Na 및 Cl 농도가 방울토마토의 생육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 and Cl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Mineral Uptake of Hydroponically Grown Cherry Tomatoes(Lycopericicum esculentum $M_{ILL.}$))

  • 이응호;권지선;이재욱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15-116
    • /
    • 1994
  • 최근 양액재배 면적의 급격한 증가는 경기도 일원의 서울 근교에 한정되었던 양액재배 시설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작물 재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물론 재배 전에 철저한 수질검사를 거쳐야 하겠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수도물에 함유되어 있는 Cl의 농도는 30ppm정도라고 하며, 양액재배에 적합한 용수의 Na고 Cl의 농도도 30ppm 정도라고 한다. (중략)

  • PDF

논의 밭전환 연차간 우분시용에 의한 질소공급 및 밭사료 작물의 생산력 변화 (Changes of Soil Nitrogen Supply and Production of Upland Forage Crops by Cattle Manure during Conversion from Paddy to Upland Condition in Paddy Field)

  • 서종호;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87-393
    • /
    • 2005
  •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원의 작물과학원 논포장을 년차간 순차적으로 밭으로 전환하고 또 밭상태에서 우분을 누적투 입하면서 호밀과 옥수수의 윤작을 통하여 질소와 관련된 토양 특성, 작물의 건물수량 및 질소흡수량을 조사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의 밭전환 1년차에는 밭사료작물, 특히 답리작 호밀의 생육과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그에 따라 우분시용에 의한 무기태질소 등 양분의 이용효율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환년차의 증가와 함께 밭사료작물의 수량과 질소흡수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밭상태에서 전환3년차까지 우분의 누적투입은 토양에의 무기태 질소공급과 더불어 옥수수의 수량, 질소흡수량 및 우분질소 이용률을 계속적으로 증가시켰다. 그 증가는 전환년차 증가에 따른 논토양 자체의 질소공급보다는 주로 우분시용에 의한 토양물리성 개선, 토양탄소 및 무기화 가능한 지력질소(가급태질소) 증가 등 지력증진에 크게 기인하였다. 따라서 전환밭에서 정상적인 밭사료작물의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전환2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였으며, 이때 우분의 투입은 토양에 무기태질소 공급뿐만아니라 토양유기물 등 지력증진에도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그것이 누적적으로 투입될 때 그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