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d rice quality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4초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막편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pyeon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 조윤주;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5-2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pyeon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The makpyeon samples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and various amount makgeolli (0% (CON), 25% (M25), 50% (M50), 75% (M75), 100% (M100)), and analyzed for moisture content, pH, Hunter's color value, TPA and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content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akpyeon samples. The L-value, a-value resulted in that CON showed the highest and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The b-value of makpyeon samples showed that CON was the lowest and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TPA resulted in that M100 showed the highest hardness and the lowest adhesive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makpyeon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 Based o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he score of brightness, moistness, particle size and gloss of showed higher in CON that in makpyeon samples, firmnes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Flavor attributes of liquor odor, sour odor, fermentation odor of makpyeon was stronger in makpyeon samples that in CON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Acceptance test resulted in makpyeon made with CON, 100% of makgeolli (M100)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st score in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품종과 제분 방법 및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based on variety, milling method and fermentation time)

  • 박지원;박기훈;최선영;김민영;이윤정;이춘기;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7-1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가공용 설갱 품종의 건식분쇄 쌀가루의 증편에 대한 가공적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밥쌀용 삼광 품종의 습식 및 건식분쇄 쌀가루를 대조구로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색도 중 L값은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6시간에서 68.59-69.85로 높았다. 수분함량은 2시간 발효에서 42.79-43.70%로 낮았고 그 밖의 시간에서는 유사하였다. pH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팽창률은 6시간 발효 시 삼광습식분쇄가 160.66%, 삼광 건식분쇄가 149.73%, 설갱 건식분쇄가 159.52%로 높았다. 비체적은 팽창률과 유사하게 각각 1.12, 0.96, 1.12 mL/g이었다. 증편의 경도는 2시간 발효에서 1324.27-1871.98 g으로 높았으며, 6시간 발효에서 475.57-550.40 g으로 낮았다. 품종별로는 설갱 건식분쇄가 475.57 g으로 삼광에 비해 낮았다. 기공수 관찰 결과, 6시간 발효에서 105-170개로 많은 기공 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식 분쇄한 가공용 설갱 품종으로 증편을 제조하였을 때 습식 분쇄한 쌀가루로 제조한 증편과 품질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증편제조에 있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 저온저장이 쌀과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Temperature Storage of Brown Rice on Rice and Cooked Rice Quality)

  • 최윤희;김선림;정응기;송진;김정태;김재현;이춘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9-186
    • /
    • 2008
  • 현미저장 중 저장온도에 따른 쌀과 밥의 품질변화를 구명하고자 추청벼 등 14품종의 현미를 $15^{\circ}C$$35^{\circ}C$에 10주간 저장 후 현미 및 백미, 밥의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15^{\circ}C$저장이 $35^{\circ}C$에 비하여 현미의 Tz값이 높아 배아 활성 정도가 높았으며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이 높아 $15^{\circ}C$ 저장 쌀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2. $35^{\circ}C$에 비하여 $15^{\circ}C$에 저장한 현미에서 쌀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나, 밥 색도 b 값, 밥 경도, 호화점도(최종점도, 강하점도)가 낮아 밥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3. 밥 색도 b값은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높았고, 밥 경도는 조생종이 낮았으며, 저장 현미의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은 $15^{\circ}C$에서 78%, $35^{\circ}C$에서 70%이었으며 $35^{\circ}C$에서 화성벼, 추청벼, 남평벼는 82%이상을 나타냈다. 4. $15^{\circ}C$ 저장에서 밥 색도 b값은 pH와 $-0.693^{**}$, 윤기치와 $-0.823^{**}$, L값과 $-0.772^{**}$, 지방산도와 $-0.548^*$, 백미 완전미율과 $-0.576*$, L값과 $-0.772^{**}$, a값과 $0.557*$ 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백미 완전미율은 밥색도 L값과 $0.638*$, 밥색도 b값과 $-0.576*$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Response of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Timing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 Nguyen, Hung The;Kim, Min-Ho;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13
    • /
    • 2006
  • Response of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N) timing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is critical for quantifying real-time N requirement for target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Two split-split-plot experi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one in 2004 and the other in 2005, were conducted in Experimental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Korea. The experiments included three N rates at tillering stage (TS), three N timing treatments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and two rice cultivars. The N rates at TS, N timing at PIS, and rice cultiv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main plot, sub plot, and sub-sub plot,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the delayed N application at PIS reduced grain yield in 2004 and increased milled-rice protein content in both years significantly at 0.05 probability level. The calculated optimum N timing at PIS from pooled data by N rates and rice cultivars in two years was at 28 days before heading (DBH). However, real-time of N timing at PIS was dependent on plant growth and N status around PIS that in turn was dependent on applied N rates at TS. The optimum N timing at PIS was at 30 DBH for no N treatments at TS while at 27 DBH for 3.6 and 7.2 kg N/10a treatments and at 27 and 29 DBH for Hwaseongbyeo and Daeanbyeo, respectively. In general, earlier applied N at PIS resulted in lower milled-rice protein content but the highest grain yield was expected to be obtained when N topdress at PIS was applied at the time when shoot N concentration started to drop below about 23 mg/g due to dilution effect after transplant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imply that the currently recommended N topdress time (24DBH) at PIS in Korea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higher grain yield and the better quality of rice.

MILLING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USING A CONTINUOUS TYPE CONDITIONER

  • Song, D.B.;Han, K.Y.;Kim, S.T.;Choi, B.J.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
    • /
    • pp.423-429
    • /
    • 2000
  • The water conditioning experiments of brown ric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f brown rice conditioner and to decide the optimum operating variables for the conditioner. The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13-14%(wb) brown rice were used as experimental samples. The flow rate of brown rice passing through the conditioner was 2,940 kg/hr and water was supplied proportionally from 80 cc/min to 240 cc/min. The differences between expected and measured moisture contents were neglected except 0.25%(wb) of the maximum differences at 0.2920((cc/min)-water/(kg/min)'%-brown rice) of water supply rate. For the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13-14%(wb) brown rice, it was found that a proper water supply rate was 0.2415((cc/min)-water/(kg/min).%-brown rice) and the increments of whole rice was 2.3% compared to non conditioned on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ditioning process did not influence the whiteness of milled rice because the whiteness differences between conditioned and non-conditioned milled rice were negligible.

  • PDF

이앙시기가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33-36
    • /
    • 2005
  • 재배시기가 중산간지에서 생산된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중산간지에 추천된 품종(삼천벼,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을 대상으로 5월 10일부터 6월 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cdot}$재배한 3년간의 결과를 분석한 쌀품질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미치 분석결과 재배시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5월 1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화영벼가 삼천벼와 주남벼에 비해,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에 비해 식미치가 높았다. 따라서 상미벼가 4처리의 모든 이앙기에서 식미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미로스 함량도 재배시기와 품종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된바, 5월 10일과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품종간의 아미로스함량에 유의차가 없었고,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주남벼보다,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 보다 아미로스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3. 단백질 함량은 이앙시기 중 6월 9일 이앙이, 품종 중에서는 주남벼가 가장 낮았다. 4. 완전미의 수량은 이앙시기 및 품종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5. 백미의 수량은 5월 20일 이앙이 5월 30일과 6월 9일 이앙재배보다 높았고,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6. 본 실험 처리 중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가장 유리한 이앙기는 5월 20일, 품종은 상미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미(古米)의 품질변이 특성 (Variation of Rice Quality of Milled Ric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 김대중;오세관;홍하철;윤미라;이정희;최임수;김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42-348
    • /
    • 2011
  • 본 연구는 쌀의 생산년도별(2005년, 2006년, 2009년) 품질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평벼와 동진벼에 대한 다양한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수록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amylose 함량 및 Toyo 윤기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방산도(KOH mg/100 g)는 2006년산 남평벼와 동진벼가 각각 7.79와 4.79를 나타내었고 2005년산 남평벼와 동진벼가 각각 15.95와 15.68를 나타내어 저장기간이 길수록 2009년산에 비하여 지방산도가 월등히 증가되어 고미취 발생과 산패가 진전된 것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색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L값, a값, b값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점도 측정 결과에서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최저점도, 최종점도 및 치반점도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강하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잘 부숴지는 경향을 보였고 식미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쌀은 수확 후 저장기간이 5년이상 경과되면 신선도와 품질이 저하되고 지방산도가 증가되어 고미취 및 이취가 발생하고 쌀자체의 호화 및 취반특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 밥맛과 관련하여 품질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식품원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품종 및 입자크기별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Using Dry-Milled Rice Flour Prepared from different Varietie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 박사라;김경미;김희선;라하나;한귀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88-596
    • /
    • 2018
  • In this study, dry-milled rice flour from different varieties (Samgwang, Boranchan, Hanareum, Dasan, Hangaru) and different particle sizes were used to manufacture Jeung-pyun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Jeung-pyun produced from Samgwang, Dasan and Hangaru milled rice flour showed highly dense pores. The Jeung-pyun produced from Hanareum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Samgwang, Boranchan and Dasan varieties with a particle size of 150 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volume (p<0.05). Samgwang showed the lowest pH at all particle sizes (p<0.05). The sweetness of Samgwang varieties was the highest at $3.27-3.63^{\circ}Brix$ (p<0.05). The hardness of Jeung-pyun increased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p<0.05). The highest acceptance of Jeung-pyun in terms of volume and bitter taste was observed with Hanareum at a particle size of 50 m. When the particle size was 50 m, the overall acceptance was highest for Jeung-pyun made from Samgwang followed by Hanareum. The acceptance of all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as high when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 was 50 m. When the appearance of Jeung-pyun was measured, Samgwang showed a dense structure and low hardness. Hanareum showed an increasing volume and springiness. Overall Samgwang and Hanareum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Jeung-pyun.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아미노산 조성 (Amino Acid Composition of Milled and Brown Rices)

  • 김미숙;정진일;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85-1389
    • /
    • 2003
  • 본 연구는 표준 경작법으로 재배한 육성 품종 5종(광안, 대안, 대진, 수라, 화성)의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화학적 질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현미에서는 대진벼(7.98%)>대안벼ㆍ화성벼(7.46%)>수라벼 (7.03%)>광안벼(6.70%)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대진벼(7.52%)>대안벼(6.90%)>화성벼(6.78%)>수라벼(6.64%)>광안벼(6.08%) 순으로 대진벼가 단백질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총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을 보면, 현미는 36.8∼38.3%이었으며, 백미는 35.8∼37.7%으로 화성벼가 가장 높았고, 대안벼가 가장 낮았다. 쌀의 모든 품종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인 Glx(glutamate+glutamine)은 현미에서 900.5∼965.9 mg/g N, 백미에서 1003.3∼1058.5 mg/g N으로 분석되었다. 현미와 백미의 아미노산 함량은 Glx>Asx>arginine>leucine>valine순이었다. A/E비 화학가는 현미에서 수라벼>화성벼>대진벼>대안벼>광안벼 순이었고, 백미에서 수라벼>광안벼>대안벼>대진벼>화성벼 순이었다. A/T비 화학가는 현미에서는 화성벼>대진벼>수라벼ㆍ광안벼>대안벼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광안벼>대진벼>수라벼>화성벼>대안벼 순이었으며, 제 1제한 아미노산은 lysine으로 판정 되었다. Protein score와 amino acid score에서 제 1제 한 아미노산은 lysine이었고, 제 2제 한 아미노산은 threonine, 그리고 제 3제한 아미노산은 isoleucine이었다.

저장미 도정과 포장에 따른 고미화 및 식미 변화 (Grain Aging and Sensory Changes influenced by Milling and Packaging in Rice Storage)

  • 이호진;김태훈;전우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6-270
    • /
    • 1991
  • 미곡의 장기보관에서 보관면적과 소요비용을 절약하려면 정조보관보다 현미 또는 백미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미곡의 고미화와 식미 악화가 우려되어 본 연구에서는 20개월간 정부창고에서 보관된 벼품종들을 정조, 현미, 백미로 가공하고 각각 지대, PP대, PE대에 포장하여 수확 후 32개월째에 발아력, 지방산도, 식미를 검정하였다. 1. 발아율은 장기 보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밀양 2003보다 추청의 감소가 심하였다. 가공상태에 따라 현미로 제현하여 보관하면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고 포장재질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TTC검정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발아력의 간접검정법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2. 지방산도는 정조<백미<현미 순으로 높아졌고 포장재료에 따라서는 PP대<지대<PE대 순으로 증가되었다. 특히 현미 보관은 지방산도가 KOH 30mg 이상에 달하여 고미화 특성을 보였고 이를 방지하려면 정조를 지대 또는 PP대에 보관하거나 백미는 지대, PP대, PE대에 보관하여 도 무난하였다. 3. 저장미곡의 식미는 도정보관에 따라 악화되었고 특히 현미보관에서 백미보관 보다 불량하였는데 호분층에 포함된 지방의 산패 때문이었다. 또 품종별로 지방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미는 불량하여 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