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ld heat treatment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Fumaric Acid with Mild Heat to Inactivate Microorganisms on Fresh Spinach during Storage)

  • 손현정;강지훈;오덕환;민세철;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69-74
    • /
    • 2016
  • 시금치에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시금치에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를 접종한 후 각 단일처리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Fumaric acid (0.1, 0.3, 0.5%)와 mild heat (40, 50, $60^{\circ}C$)의 각 단일처리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병합처리를 위한 fumaric acid의 최적농도는 0.5%, mild heat 처리조건으로 $50^{\circ}C$에서 5 min으로 선정하였고, 병합처리 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2.53, 2.62 log CFU/g 감소하였다. 그리고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금치의 초기 미생물 수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병합 처리구에서 총 호기성 균을 2.77 log CFU/g 감소시켰다. 특히, 저장 12일 후 병합 처리구의 총 호기성 균 수는 4.84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1.82 log CFU/g의 감균 효과를 가졌다. 또한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 및 비타민 C 함량에 있어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유지에 효과적인 처리라고 판단된다.

후춧가루에 인위접종된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UV-C와 mild heat의 살균 효과 (Combination Effect of UV-C and Mild Heat Treatment Against Artificially Inoculate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on Black Pepper Powder)

  • 곽승해;김진희;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5-499
    • /
    • 2018
  • 후춧가루에 존재하는 식중독 균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UV-C와 mild heat를 병합 처리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35150)와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9585)를 후춧가루에 각각 $10^6$, $10^7CFU/g$ 수준으로 인위접종하여 $2.32W/cm^2$의 UV-C와 $60^{\circ}C$의 mild heat을 10분에서 70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미생물 분석 및 후춧가루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UV-C를 단독으로 70분 동안 처리했을 때 E. coli O157:H7과 S. Typhimurium는 각각 1.89, 2.24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UV-C와 mild heat을 70분 동안 병합처리 했을 때는 각각 2.46, 5.70 log CFU/g으로 감소하였다. E. coli O157:H7 보다는 S. Typhimurium의 저감효과가 더 컸다. 색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UV-C와 mild heat 병합처리는 후춧가루에 존재하는 식중독 균을 사멸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산업적인 살균처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토리박 추출물과 푸마르산 및 중온 열 병합처리에 의한 적근대의 미생물 제어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Acorn Pomace Extract, Fumaric Acid, and Mild Heat for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on Red Chard)

  • 박신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96-170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같은 염소계 살균세척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 살균세척제로서 도토리박 추출물(APE)을 개발하기 위해 적근대에 Listeria monocytogenes를 접종한 후 APE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최적 세척처리 조건을 수립하고자 APE, FA, $50^{\circ}C$에서의 mild heat를 병합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 중 0.5% APE/$50^{\circ}C$ mild heat/0.5% fumaric acid(FA) 병합 세척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L. monocytogenes 수를 대조구에 비해 3.36 log CFU/g 감소시켰다. 병합처리된 적근대 시료의 저장 8일 후 총 호기성균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2.89 log CFU/g 감소하였고, 색도 측정 결과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PE/mild heat/FA 병합처리 방법은 수확 후 적근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압연 클래드된 Ti/Mild steel/Ti 재의 계면확산층과 접합력에 미치는 후열처리온도의 영향 (Effect of Po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on Interface Diffusion Layer and Bonding Force in Roll Cladded Ti/Mild steel/Ti Material)

  • 이상목;김수민;위세나;배동현;이근안;이종섭;김용배;배동수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6-32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 heat treatment on bonding properties of roll cladded Ti/MS/Ti materials. First grade Ti sheets and SPCC mild steel sheets were prepared and then Ti/MS/Ti clad materials were fabricated by a cold rolling and post heat treatment process. Microstructure and point analysis of the Ti/MS interfaces were performed using the SEM and EDX Analyser. Diffusion bonding was observed at the interfaces of Ti/MS.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layer increased with po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diffusion layer was verified as having $({\epsilon}+{\zeta})+({\zeta}+{\beta}-Ti)$ intermetallic compounds at $700^{\circ}C$ and an $({\zeta}+{\beta}-Ti)$ intermetallic compound at $800^{\circ}C$, respectively. The micro Knoop hardness of mild steel decreased with po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however, those of Ti decreased at a range of $500{\sim}600^{\circ}C$ and showed a uniform value until $800^{\circ}C$ and then increased rapidly up to $900^{\circ}C$. The micro Knoop hardness value of the diffusion layer increased up to $700^{\circ}C$ and then saturated with post heat treatment. A T-type peel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bonding forces of Ti/Mild steel interfaces. The bonding forces decreased up to $800^{\circ}C$ and then increased slightly with post heat treatment. The optimized temperature ranges for post heat treatment were $500{\sim}600^{\circ}C$ to obtain the proper formability for an additional plastic deformation process.

Clove Bud Essential Oil과 Mild Heat 병합처리에 의한 Red Oak Leaf에 접종된 Escherichia coli O157:H7 제어 효과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Clove Bud Essential Oil and Mild Heat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onto Red Oak Leaves)

  • 박수종;박준범;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65-12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항균 효과가 있는 clove bud essential oil(CBEO)과 mild heat(MH) 처리를 병합 처리하여 Escherichia coli O157:H7이 접종된 red oak leaf의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0.2% CBEO와 $50^{\circ}C$ MH 병합 처리구는 단순 물세척 처리구보다 1.45 log CFU/g 더 낮은 미생물 수를 나타내어 모든 병합 조건 중 가장 높은 미생물 제어 효과를 보였다. 또한, 본 병합 처리구는 비 세척 처리구와 비교하여 9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1.67~2.25 log CFU/g 더 낮은 미생물 수를 나타내어 미생물 제어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CBEO와 MH의 병합 세척 처리는 저장 중 red oak leaf와 같은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복합열처리(複合熱處理)한 연강(軟鋼)의 표면경화(表面硬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face Case Hardening of Blend Heat Treated Mild Steel)

  • 정인상;전해동;신석목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31
    • /
    • 1992
  • It is investigated that Fe-C-N compound layer, defusion layer, and induction hardened layer produced by nitrocarburizing blend heat treatment in austenitic temperature with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of mild steel specimen sprayed sursulf salt-bath. As the temperature of blend-heat treatment got increased, the thickness and hardness of compound layer and diffusion layer were increased. Compound layer(max. $35{\mu}m$), diffusion layer (max. 2.5mm) and induction hardened layer were gained in the shortest time 10 sec and in the case of $1000^{\circ}C$ total hardness depth of those was about 3.5mm. When the blend-heat treated specimen was reheated, maximum hardness of compound layer was dropped more than that of the reheated compound layer after sursulf treated, whereas hardness of diffusion layer was increased.

  • PDF

연강-스테인리스강의 확산접합에 관한 연구 (Study on Diffusion Bonding of Stainless Steel to Mild Steel)

  • 김승태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6
    • /
    • 1998
  • Cladding of stainless steel on mild steel was prepared by diffusion bonding process. The bond strength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bonding temperature and time. It was also found that the bond strength increased as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d. After the diffusion bonding of stainless steel-mild steel, the mild steel part near the bonded interface showed higher strength than the base steel due to the migration of chromium and nickel from stainless steel to mild steel. Carbon migration from mild steel ga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hromium carbides at grain boundaries of stainless steel, the fractograpohic features of the imperfectly bonded interface showed rather coarse dimples in the mild steel part and very fine dimples in the stainless steel part.

  • PDF

열처리가 신선편이 감자 가공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Mild Heat Treatments for Quality Improvement of Fresh-cut Potatoes)

  • 임정호;최정희;홍석인;정문철;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2-557
    • /
    • 2005
  • 열처리가 절단 감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원형감자를 건열 및 습열처리하거나, 박피절단한 후 습열처리 하였다. 감자의 열처리조건은 원형감자의 경우 각각 $45^{\circ}C$에서 60분이었으며, 절단후 열처리한 감자의 경우$55^{\circ}C$의 열수에 45초간 침지하였다. 각각 열처리하여 제조된 감자절편은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필름봉지(LDPE, $30{\mu}m$, 15 cm x 20 cm)에 약 200 g씩 포장하여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는 전반적으로 호흡률을 저하시켰으며, hunter L값의 변화도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건열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호흡률이 $20\%$ 정도 낮았으며, hunter L값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경도와 유리형 페놀화합물 함량의 변화는 시료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Vitamin C 함량은 대조구가 처리 직후 가장 높았으나, 그 감소율은 절단 후 열처리한 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관능적 품질 면에서 경도와 냄새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표면색에 있어서 열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특히 CH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열처리는 감자 절단면의 갈변발생을 억제시켜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절단 후 열처리(CH)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살모넬라 균주들에서 열처리에 의한 항생제 내성 연구 (Antibiotic Resistance of Salmonella spp. After Exposure to Mild Heat Treatment)

  • 김수진;방우석;김세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24
  • Salmonella spp. 11 strains에 대해 저온 열처리(50℃) 3, 6, 9분 후 MIC값을 측정하여 항생제 내성을 알아보았다. Chloramphenicol에 대해 대조군과 열처리한 strains 대부분에서 감수성(S)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열처리한 strains의 MIC값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지되거나 감소하였다. Ciprofloxacin에 대해 대조군과 열처리한 strains는 대부분 감수성(S)이 있거나 중간(I)을 나타냈다. Tetracycline은 모든 strains에서 감수성(S)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 Gaminara BAA 711에 대해 열처리 후 MIC값이 증가하였다. Gentamicin에 대해 대조군 strains들에서 감수성을 나타낸 strains가 3 strains, 중간을 나타낸 strains 2 strains, 내성을 가진 strains가 6 strains였으며, 이 중 S. Heidelberg ATCC 8326는 MIC값을 측정했을 때 대조군에서 MIC값이 8 ㎍/mL로 MIC break point가 중간이었으나, 3분과 9분 열처리 후 MIC값이 16 ㎍/mL로 증가하여 break point가 내성을 나타냈다. 본 실험결과 Salmonella spp. 11 strains에 대해서 저온 열처리 후 열내성 효과에 의한 항생제 내성을 알아봤을 때 ciprofloxacin에서 S. Montevideo BAA 710을 3, 6분 열처리한 경우, gentamicin에서 S. Enteritidis 109 D1을 3분 처리한 경우와 S. Heidelberg ATCC 8326을 3, 9분 처리한 경우, tetracycline에서 S. Gaminara BAA 711을 6, 9분 처리한 경우 MIC값이 증가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Salmonella spp. strains에 대해 열처리 후 열내성 효과를 나타내는 병원성 유전자의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강의 열처리 온도와 두께 변화에 따른 피로균열성장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by the Variation of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hickness in Mild Steel)

  • 오환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0-44
    • /
    • 2000
  • The fatigue and tensile test were carried out with Mild steel using the Dump Frame of commercial car. The specimens were heat-treated at $810^{\circ}C$ and $930^{\circ}C$ and worked 4.5, 6.0, 8.0mm thickness in order to look over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atigue life by heat treatment and thickness from the tensile test result, the yield strength of the heat treated specimens was increased about 35% more than that of the non-heat treated specimen. The fatigue life of non-heated specimen was decreased 15% but that of heat treated specimens at $870^{\circ}C$ and $930^{\circ}C$ were decreased 16.38% and 13.16% respectably according to increasing the thickness from 4.5 to 8.0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