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or elderly peopl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간의 관계 연구: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for, Attitude toward, and Performance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ocusing on Path Analyses)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정보화정책
    • /
    • 제27권3호
    • /
    • pp.39-55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동기, 디지털기기 이용태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요인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의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사용하였으며 55세 이상 전체 조사 대상자 2,303명 중 결측치를 제거하여 1,664명을 최종분석 하였다.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디지털기기 이용동기는 디지털기기 이용태도(표준요인 부하랑=0.847)에, 디지털기기 이용태도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표준요인 부하랑=0.74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 이용동기가 바로 디지털기기 이용성과를 높이지는 않으나, 디지털기기 이용태도를 높이고, 디지털기기 이용태도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 Comparison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Attitude Groups Regarding Elderly Lives and Living Arrangements

  • You Byung-Sun;Hong Hyung-Oc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17-1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opinions on elderly housing and attitudes toward the problems related to elderly lives, which were due to dependence or independence in later lif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ddle-aged people in their fifties, living in Seoul. The final sample included 498 respondents. Sin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focused only on independent and dependent groups, total cases for the analysis were 37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in later life tended to be healthier, lived with a husband or wife, had no children, and had more monthly income and assets. Second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in later life believed that they had the sole responsibility of resolving later life issues. The group that was more dependent believed that their family, not themselves, must resolve their later life problems. The independent group wanted to continue their work or enjoy leisure. Third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about elderly housing stated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it, while the other group stated that their family w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eral idea, and social interest. However, the independent group answered that mo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lderly housing were needed. The expected living arrangement in their later lives was similar.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ving with family or the demand for service from elderly housing.

전주지역 중년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추적연구 (Follow-up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an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in Chonju)

  • 이미숙;우미경;김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5-192
    • /
    • 2000
  • As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in the population increases, research to identify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m, and to delay aging have been done actively. It is necessary for these studies to be longitudin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change of health-related habits such as dietary behaviors and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ing habit, and health status between previous study(1991/1994) and post study(1998) for middle-aged men and women living in Chonju. For the present study, the data of 63 pairs(23 men and 40 women) were analyzed. They were 11 men and 12 women followed up from 82 men and 100 women surveyed in 1994. Mean ages in the 1991/4 and 1998 studies were 53.6y(range 42-63y) and 59.0y(range 46-72y) respectivel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habit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lood test for analyzing biochemical indices in 1991/4 and 1998. To understand these changes over time, $\chi$$^2$-statistics, t-test and paired t-test were analyzed with an SAS package program. As people age,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s in the proportions to eat lightly salted foods and drink alcohol. Significant longitudinal increases in triceps skin fold thickness, ${\gamma}$-GPT and HDL-cholesterol and significant decrease in hemoglobin value were noted over time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was noted over time in women. Weight, blood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in those had had breakfast regularly or those had not used more slat at the table in the past. From this study, were found 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relatively desirable health-related habits. But as improper health-related habits are likely to result in inappropriate health status(eg, increase in WHR,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t is recomme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in necessary as soon as possible to meet the health elderly.

  • PDF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Elderly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Career Barriers)

  • 장경미;조아랑;현영섭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679-698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영향에 대한 소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소득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D시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위해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평생교육에 참여하거나 참여한 노인은 능력을 발전시키고, 인정받음으로써 진로장벽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소득은 진로장벽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이 많을수록 진로장벽의 부적 관계가 강화됨을 확인했다.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by Life Cycle of Korean Adults)

  • 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0-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의료패널 2016년도 자료를 이용한 2차분석 연구이다. 만 19세 이상 성인 중 자살생각, 신체적 요인, 정신적 요인 등의 주요 자료에 결측치가 없는 14,538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청·장년기(19~39세), 중년기(40~64세), 노년기(65세 이상)로 구분하고 χ2-test와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장년기 2.9%(108명), 중년기 3.2%(181명), 노년기 3.7%(80명)의 대상자가 지난 1년간 자살생각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청·장년기 대상자는 불안, 우울, 약물 복용과 삶의 질이고, 중년기 대상자는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불안, 우울, 약물 복용과 삶의 질이며, 노년기 대상자는 체질량지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이었다. 따라서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애주기에 따른 자살 위험집단을 선별하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고, 위험집단의 자살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한 차별화된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와 관련요인 (Unmet Care Needs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in Korea)

  • 김수정;박연환;김홍수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195-209
    • /
    • 2011
  •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밝히고자 수행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전국의 45세 이상 일반가구 거주자를 대표하는 표본(n=10,254)을 표집하여 조사한 2006년 제 1차 고령화연구패널을 이용하였다. 미충족 돌봄요구는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에도 돌봐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모든 분석은 대상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추정 통계치를 구하고자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장년의 7.3%, 젊은 노인의 14.5%, 그리고 고령 노인의 41.8%가 돌봄을 필요로 하는 상태였으나, 이 중 각각 34%, 33%, 24%가 돌봄요구를 충족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돌봄요구 관련요인은 연령 그룹에 따라 달랐는데, 중장년에서는 교육과 소득수준이 미충족 돌봄요구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던 반면, 젊은 노인과 고령 노인층에서는 독거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중 상당수가 미충족 돌봄요구가 있으며, 그 관련요인은 생애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지역 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 재가서비스의 확충이 시급하며, 특히 교육수준이 낮은 중장년과 독거노인 대상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성인의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across the Lifespan)

  • 강미경;김명숙;강문희;오경옥;권종선;이선현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3-8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HRQoL) in adults across the lifespan. Methods: A total of 688 Korean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or self repor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HRQoL)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life cycle, especially showing a lower score in the elderly than others. In addition, elderly adulthood reported the highest stress and depression.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MHRQoL in young and middle aged people were stress,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Predictors of MHQoL in the elderly were stress and relig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MHRQoL of adult is associated with stress and depression. When the programs are developed to enhance mental health in elderly adulthood, religio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stress.

시니어세대의 연령에 따른 실내복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행동 연구 - 50대 이상 중.노년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enescent Female Consumer's Design Preferences for their Lounge Wear and Buying Behaviors - A Focus on Elderly Women over Fifty -)

  • 정삼호
    • 복식
    • /
    • 제59권4호
    • /
    • pp.143-1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elderly, middle-aged female consumers' design and material preferences for lounge wear and after understanding senescent women's propensity to purchase lounge wear.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to those living in the Seoul and capital region and 612, which did not comprise missing valu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es. All the age groups including those in their 50s and 60s prefer jacket and pants styles the most and these styles are the most favored as lounge wear as well. Those in their 50s and 60s prefer a round neckline the most while those in their 70s favor a V neckline the most. Analyses of sleeve styles of senescent women show that all the age groups favor a straight set, or a sleeve design, the most. Although the aged peopl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have relatively high purchasing power, it is found that they tend to buy low priced lounge wears. Reviewing all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prices of garments for senescent people will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ir economic level, so that good quality commodities may be produced and sold at different prices.

A Study on the Economic Preparation of Retired Women's Old Life

  • Lim, Ahn N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05-11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78 retir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7th data from the National Pension Service's KReiS. We used SPSS WIN 18.0,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highly educated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and those in their 60s and undereducated. Second, families in their 50s had the largest number of members with more than three, while households in their 60s had the largest number of two. Third, both age groups chose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as responsibilities for preparing for retirement. In addition, more people in their 60s chose the government as their responsibility for preparing for retirement than in their 50s. Both people in their 50s and 60s say they are "not prepared" to prepare for retirement expenses, raising concerns about elderly poverty. Fourth, economic strength, health, and medical care were important for retirement in both age groups as part of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and they chose economic strength, health, medical care and job as the things to do in society. Fifth, both people in their 50s and 60s have very low public and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rates, requiring special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and society to their old age.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both women in their 50s and 60s have retired, but preparations for retirement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society need to strengthen the public pension system and create jobs for the elderly.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3-34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 1,665명을 대상으로 Baron & Kenny(1986)의 3step 과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의견표명, 정책제안 및 민원제기, 기부나 봉사활동, 온라인 투표 및 여론조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중고령자의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확대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삶의 만족도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의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 증진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이용을 확대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