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s

검색결과 1,891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chool Married Female Teachers)

  • 장옥분;심순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1-156
    • /
    • 2004
  • 본 연구는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시와 주변의 위성도시에 소재한 중등학교 중에서 10개 중학교와 11개 고둥학교에 재직중인 중등기혼여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 척도는 Snyder의 척도를 중심으로 하고 시가관계 영역을 보충한 이정련(1987)의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수행 영역에 대한 척도는 손정환(1990)의 교사직무 영역을 참고하여 윤경혜(2001)가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분산분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는 연령과 자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가장 낮은 집단이 연령이 높은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동료감에서 더 높았고, 자녀가 없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성생활, 정의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시가관계, 경제문제, 동료감에서 높았다. 둘째, 중등 기혼여교사의 연령이 높은 집단이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기여, 교육개혁 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녀수가 많은 집단에서 학습지도. 생활지도와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영역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년수가 높은 집단에서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 기여 교육개혁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사조력자가 없는 집단이 가사조력자가 있는 집단보다 교육개혁참여도를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즉, 중등기혼여교사의 전체적인 결혼만족도는 학급관리, 생활지도, 사무관리, 전체 직무수행. 학교경영기여, 인간관계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 PDF

양호교사와 일반교사의 영적 안녕, 희망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eachers)

  • 김정남;박영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2-10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eacher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4 teachers sampled from middle schools in Kyungpuk.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0, 1998 to August 30, 1998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managed by a trained interviewer. The measurement tool for spiritual wellbeing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20 questions as 6 point Likert scale developed by Palautzian and Ellison(1982). The tool used do measure hope was developed based on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4 point Likert scale. Analysis of the data done by use of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t-test,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wellbeing was 82.32 and the range was 48-120. Among the components of spiritual wellbeing, the mean score for religious wellbeing was 39.23 and for existential wellbeing, 43.09. 2. The mean score for hope in the teacher group was 84.43, and in the school health teacher group, 88. 33,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response rate on good health for the perceived health status questions in the teacher group, 48.2%, and in the school health teacher group, 42.4%. 4. In testing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in both groups. In a comparison of coefficients of religious, existential wellbeing and hope, there was more stronger correlation in existential wellbeing than that in the other two. 5. In testing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in both groups. 6.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wellbeing in the school health teach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teacher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 that : 1.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hope. 2.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3. There was difference for spiritual wellbeing between the school health teacher group and the teacher group,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PDF

중학교 미성취영재를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탐색 (Sustaining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 이승진;진석언;최선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21-36
    • /
    • 2016
  • 본 연구는 최선일(2015)이 중학교 미성취영재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 적용했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여부 및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선일(2015) 연구에 참여했던 중학교 미성취영재 3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이후 9~12개월 동안의 학업성적 변화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해 미성취 문제를 해결했었던 11명의 학생들 중 5명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취 수준을 유지하였고, 3명은 성취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미성취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3명은 성취와 미성취를 반복하며 불안정한 변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종료 직후 측정에서 미성취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던 20명 중 5명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 몇 개월 이내에 성취 수준에 도달하였고, 나머지 15명은 이후에도 여전히 미성취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성취 문제를 가진 영재학생들 중에서 중학교 미성취영재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해 미성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의 비율은 가장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16.1%(5명), 가장 낙관적인 입장에서는 51.6%(16명)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50%에 정도에 해당하는 미성취영재들은 학습 전략의 부재와 같은 인지적 요인에 의한 미성취가 아닌 다른 요인 또는 인지적 요인을 포함함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소년정서행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 자료를 활용한 교사의 학교폭력 피해자 인지도 (Teachers' Recognition of Victims of School Bullying Using Data from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Standardization Study in Korea)

  • 황준원;방수영;유한익;김지훈;김봉석;안동현;서동수;조수철;반건호;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2호
    • /
    • pp.69-75
    • /
    • 2012
  •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bullying using a nationwide database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Methods : Students in the 7th to 12th grades at 23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during the fall of 2009. Subjects completed the self-report form of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AMPQ-II) and Symptom Checklist-90 Revised (SCL-90-R). In addition, relevant teachers used the teachers' rating scale of the AMPQ-II to report their students' status.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ullied students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and students' report were explored. Results : A total of 2270 subjects provided relevant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hile the one-month prevalence of victimization according to students' self-reports was 28.9%, the recognized prevalence by teachers was only 10.6%. For prediction of the presence of school bullying according to students' self reports on the AMPQ-II, item 7 of the teachers' report on the AMPQ-II showed a sensitivity of 16%, a specificity of 92%, a positive predictability of 44%, a negative predictability of 72%, a false positive rate of 8%, a false negative rate of 84%, and an accuracy of 69%,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cores of students' self reports of the AMPQ-II and SCL-90-R were observed between bullied students who were recognized by teachers and those who were not recognized. In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classification of teachers' item 2 and item 7 on the AMPQ-II with respect to school bullying according to students' reports showed an accuracy of 63.4%. Using this model, 75.2% of non-victimized subjects were classified correctly, while only 35.2% of victimized subjects were classified correctly. Conclusion : Despite the high prevalence in Korea,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violence among their students remains low. Pre-professional and continuing education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of school bullying and knowledge of effective classroom-based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무용전공고등학생의 경쟁불안이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petition Uncertainty on Dancing High School Students' Impacts on Dancing Immersion and Achievement)

  • 정유진;민윤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41-451
    • /
    • 2020
  • 이 연구는 무용전공고등학생의 경쟁불안이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20년 현재 서울 및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이었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22명의 자료를 Windows용 SPSS 18.0을 통해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태자신감이 높고, 집안의 경제력이 중하위권이라고 인지하는 학생들의 인지불안이 높았다. 또한 상태자신감과 무용성취는 경제력이 상위권이라고 인지하는 집단이 중하위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불안과 상태자신감은 무용몰입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불안과 상태자신감은 무용성취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몰입은 경쟁불안과 무용성취에 관계된 강력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경쟁불안은 무용에 몰입하는데 작용하며 무용 성취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와 관련된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견되는바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지역 청소년 여자 운동선수의 식행동, 체형에 관한 인식 및 영양상태평가 (Eating Behaviors, Perception of Body Image, Hematological Indices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 정선희;성현이;김순기;김광회;조미혜;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51-96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s, the self-perception of body images, the hematological indices and the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 female athletes in Incheon. The subjects were 112 female athletes(track and fleld: n=32, target shooting: n=27, fencing n=29, swimming: n=14, badminton: n=10)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a sol(-administered questionnaire.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ferritin, serum iro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MCHC),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and transferrin saturation (TS). Nutrient intakes obtained by means of the 3 day-recall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Most of the female athletes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eating unbalanced meals, skipping meals, and preferences for processed foods. More than 60% of the female athletes skipped breakfast. As for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s, track and field athletes in particular, controlled their weight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athletes (p<0.05).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exertion during exercise, 56.3% of the swimmers and 31.3%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answered “very hard”,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01). More than 80% of the female athletes experienced vertigo during exercise (p< 0.01). Also more than 50%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the badminton players, had experienced irregular menstruation (p<0.05). The average serum iron levels (p<0.05), the serum ferritin levels (p<0.05) and TS (p<0.05) of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athletes. The nutrient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ith the exception of Vitamin B$_{6}$, niacin and phosphorus were lower than the Korean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RDA).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iron intakes of the female athletes were under 50% of the Korean RDA.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female athletes to encourage desirable eating habit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exercise performances.s.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안전사고 발생 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A Study on the Occurrences and Causes of Accidents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소선;이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7-126
    • /
    • 1999
  •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are an important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They also have enomorous financial implications. In order to prevent childhood accidents, research and education for safety should be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often young children have accident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accident rate. The sample consisted of 771 children who were in the second, third and forth grades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One school had students from middle class familie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and the other, students from lower income families mainly living in single house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the occurance of accidents and the parents' attitudes regarding accidents during the academic year from March 1997 to February 1998.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ventiently selected students to be compeleted by their parents and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May 28, to June 6, 199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C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Of 771 student subjects, 393 had 887 accidental injuries during the study period. 2. The month, the day and the time with the highest accident rate were May, Sunday, and between 1 and 4 p. m. each. 3. In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where the injury took place, the most frequent place was on around their homes followed by school and, then, inside the home 4. Most of the accidents were caused by carelessness on the part of the children and the most frequent type of injury was an abrasion. 5. Children most injured their legs 6. They were treated at home most often and usually emergency treatment was performed by family members with, disinfection being the main type of first aid. Cost of the treatment ranged from 8,000 to 20,000 won in most cases. 7. House type and parents' education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square analysis. 8. Parents educate their children about traffic safety most frequently followed by fire safety and, then, prevention of violence. 9. Parents think that prevention of violence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injury prevention education both at school and home. 10.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accident occurre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and the main factors were birth order and house type.

  • PDF

양산시 14~16세 청소년의 전치부 외상 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Dental Trauma in 14 - 16 Year-Old Adolescents in Yangsan)

  • 김종수;김형준;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9-206
    • /
    • 2014
  • 치아외상은 현대사회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빈발한다. 그러나 치아외상의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치아 외상 유병률을 조사하고 위험요인을 평가하며 외상에 대한 주관적 인지정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1,371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검사 상 치아 외상 유병률은 16.8%로 남자(19.2%)가 여자(13.7%)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p < 0.05), 외상 병력이 있는 사람의 일인 당 평균 외상 치아 수는 1.34개였다. 치종 별로는 상악 중절치에서, 외상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서는 법랑질 파절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Class II division 1과 8.0 mm 이상의 수평피개가 외상의 위험요인으로 판단되었다(p < 0.05). 설문조사로 드러난 본인의 외상 인지도는 임상 검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고, 치아 외상으로 인한 치료 결과에 대하여 남자가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p < 0.05).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은정;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70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예비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PCK와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교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학생 또는 교육대학원의 가정교육전공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PCK 하위범주 중에서는 내용지식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표현 지식과 내용 지식이 많을수록 가정교과의 교수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높을수록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식도 자기 효능감의 두 변수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학년, 교직진로선택 여부,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에 따라 PCK와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학년의 PCK와 교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3, 4학년으로 갈수록 오히려 PCK와 교수 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을 고려하지 않을수록 PCK와 교수 효능감이 높았으며,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는 PCK와 교수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기관에서의 학생들의 교수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사로서의 진로를 선택할 경우 진로를 위하여 준비할 수 있는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실연과 교육 실습의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이 고등학생의 관계형성능력과 결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ies and Marriage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인영;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9-147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한 커플관계'교육이 관계형성능력과 결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건강한 커플관계'교육을 2018년 9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8주간 두 개의 고등학교 수업에 각각 실행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한 커플관계'교육은 가정과의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A그룹(S고등학교)은 '의사소통', '갈등해결' 영역과 '관계형성능력' 전체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인원수가 적어 Wilcoxon 부호-서열 검증을 실시한 B그룹(세종시 캠퍼스형 공동 교육과정)은 '관계형성능력'의 전체 및 하위 영역(의사소통, 자기이해, 갈등해결, 공감)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모두 향상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은 고등학생의 결혼 가치관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A그룹(S고등학교)에서는 '결혼 가치관'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지만, B그룹(세종시 캠퍼스형 공동 교육과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건강한 커플관계'교육은 고등학생들이 건강한 커플관계 형성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깊이 있게 탐구해 봄으로써 가정과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함양하고 결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