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에서의 도덕성 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수행 정도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

  • 조미옥;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육에서의 도덕성 교육 실태,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에 재직하는 가정과교사이며 전국을 대상으로 체계적 무선표집 방법에 의해서 선정되었다. 자료는 우편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고과의 전 단원과 연계하여 도덕성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나와 가족의 이해'처럼 구체적으로 가족생활을 다루고 있는 단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도덕성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중추적 기관을 가정(家庭)과 학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도덕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학생의 이해와 부모들의 협조,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가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에 있어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중요도에서는 경로효친을 지도 수행 정도에서는 책임${\cdot}$협동을 최우선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직의 덕목에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 간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지도 수행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수부족, 자료부족, 도덕성 교육에 대한 방법과 지식을 잘 모른다는 의견과, 교사의 인식변화가 도덕성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관련 학습자료 개발과 함께 대학의 교육 과정과 현장 교사의 재교육 시 도덕성 교육이 반드시 반영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Activity Materials in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 이영두;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5-23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 영역에 제시된 개별 활동자료의 형태와 각 개별 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중학교 6개 교과서 주생활단원 '주거공간의 활용'과 '실내환경과 설비' 중단원에 제시된 활동자료 $9\sim14$개 각각에 대해 교과서별로 $30\sim69$명의 담당교사 총 256명이 응답하였다. 이 단원을 가르쳐 본 조사대상 교사들은 주생활단원을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자신의 배경지식은 다소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주생활 영역 자료는 본문이나, 참고자료, 활동자료에 비해 그림자료 활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제시된 활동자료의 자료특성을 자료형태(그림, 표, 보충 글, 복합형태, 문장만 제시),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이미지, 설명적, 해석적, 복합성격), 활동유형(학습내용확인형, 자료분석사고형, 외부자료조사형, 복합활동형)으로 분류했을 때, 자료형태에서는 문장만 제시한 자료형태가,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에서는 설명적 성격의 자료가, 활동유형에서는 자료분석사고형의 활동자료가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교과서별 활동자료 수는 활동유형별 보다 자료형태나 자료형태의 성격에 따른 차이가 더 커서 집필자에 따라 특정 자료형태의 활동자료를 다수 제시한 경향이 있었다. 자료특성별 주생활 영역 활동자료 각각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활동자료형태별 인식의 차이가 활동유형별이나 자료형태의 성격별 인식의 차이보다 더 컸다. 자료특성별로 교사의 흥미와 학생의 흥미가 유사했으나 대체로 교사 자신의 흥미보다 학생의 흥미를 낮게 보고 있었다.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주관적 배경지식수준과 내용적합성 보다 수준적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난 자료특성별 활동자료는 자료형태면에서는 그림을 제시한 활동자료였고, 비문장 자료형태의 성격은 해석적이거나 복합성격의 활동자료였으며, 활동유형은 학습내용확인형이나 복합활동형 활동자료였다. 이러한 활동자료특성별 교사의 인식은 교과서에 실린 자료수와 관련이 적었다.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이 연구에 이어 개별 활동자료가 현장에서 실제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중등학교의 성교육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경남지역 여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x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Gyeong Nam Area-)

  • 구자옥;박정희;이남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4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fundamental data for sex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ex education, concerns about sex, knowledge of sex and consciousness about sex. The subjects were 212 middle school girls and 219 high school girls in Ggyeong N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girls in knowledge of sex. 2.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problem concering other sex was about dating and the many consultants were friends. 3. The stimulation of sexual desire was brought by film$.$TV$.$VTR, and advertisement, and sex information was acquired from friends or magazines in both schools students. 4. The reas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needing sex education was to solve moral problems and the rea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to solve the anxiety in adolescence. 5. The students wanted their sex educator to be the expert in the field of sex education, home economist and nurse teacher, in order. 6.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desired by students were; physiological differences of a man and woman, etiquette and matter with other sex, a sexual problem of teenager and pregnancy$.$delivery$.$child care.

  • PDF

중등학교 가정교과 교사의 직무연수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Actual Administrating Condi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In-service Training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 Centering around Kangwon Province-)

  • 최미선;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5-9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teachers who teach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survey their viewpoin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service training. So I could find the effective ways on the in-service training by finding many kinds of needs and improvements on the basis of present problems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proere significant per time of the in-service training was the school vacations(49.5%). 63.4%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present 60 hours on the question of how many hours are appropriate is proper. On the question of what the most proper cycle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is. 47.2%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present 3-year cycle is appropriate. 35% of them supported the selecting system for the trainee according to the experienced or non-experienced for the up-to-date in-service training. And 35% of them answered that the speakers for the training program must be the experienced teachers in education. I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many teacher insisted that the percentage of the text for the major should be raised(49.6%).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levels of satisfaction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65.1%. This survey indicated that teacher preferred the discussion and case study(35.9%). the practice-centered class(29.3%) and the on-the-spot study(20.9%) in order on the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56.9%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number of trainee is too many and they suggested that the proper number of trainee is about 20∼30. 2.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this training system was the over-population of the trainee(33.5%) and the most severe problem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the lack of air-cooled and heated system(24.8%).

  • PDF

충남 일부 농촌 중학교 남녀혼성반과 분리반의 가정교과의 교육 효과 비교 연구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al Effect between Coeducational Class and One-sex Class of Middle School in a Chungnam Rural Area)

  • 강경심;김갑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1-6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ound reference data on class management such as class formation and so on by comparing Home Economics Education effect of coeducational class and one-sex class in the coeducational middle school. The major findings were follow: 1. More than half of those teacher who answered choose a coeducational class style as an effective class style(51.7%) because of active class atmosphere, preparation for future home life and getting over fixed sexual ideas by equal curricula content. 2. The results of research for basic knowledge about the Part of Food and Nutritional Science, which was conducted before the class,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one-sex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educational calss(p<0.05) 3. The results of evaluation after class were as follows: The score of one-sex class was higher in the protein food group(p<0.01) and carbohydrate food group(p<0.05). The difference of each class in the calcium food group, the mineral and vitamin food group and the oil and fats food group was very small. The total score of two classes was of little difference.

  • PDF

중학교 가정과 CAI 프로그램 개발 연구 -건강과 식생활 단원- (The Development of CAI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 -In The Units of Health and Food Life-)

  • 이양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6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CAI program and to develop the middle school students’CAI program for tutorial and instructional game. For these purposes, the learning and instructional theories and the developing phases and strategies for the program were reviewed to design the CAI program. And then the developing unit was selected and the CAI types and the developing direction were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AI programs and related literatures on home economics teaching, The four phases-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The CAI porgram was developed on health and food life units. The program contains 12 classes on health and food life in two floppy diskettes. It consisted of total 9,000 lines and 76 frame and takes two hours to study this program. This program could be used in educational computers an could be utilized for unit learing tutorial. It was composed of three parts-unit learning, finding maze, and finding food. In the unit learning part, the learning contents in health and food life units were structured and presented. In finding maze and food part, the basic and the applied problems were presented with gam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were as followings: (1)This program was able to bring learners’motivation due to the strategies of tutorial and instructional game and they can interestingly learn the program for themselves. (2) The learner could practive the learning contents repeatedly and unit learning while playing the gaming, (3) The learner himself can review and supplement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teacher’s help. (4)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unit learning on health and food life, on the other hand so far many CAI programs for home economics teaching were developed for studying separate learning units. 2. To effectively utilize this program, the guide book for the student and the teacher was developed. It contained method of using the program, introduction of the program, review of the program, the program objectives,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keys to progress the program.

  • PDF

가정과교육의 정체성 탐색 : 이미지와 성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 박미정;채정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dentity of home economics(HE) education by assessing perceptions of HE teacher, students, and general adults regarding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HE education.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34 HE teachers, 505 students, and 264 general adult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 education were the factors of the identity that were also the byproducts of HE education oper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and had the characteristics i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The current image of HE education was shown to positive recognition as the curriculum helpful to the actual living and future living for the HE teacher, students, and the general adults. For the HE teacher, it had strong emotionally warm image similar to the image of 'home', and it was connected to the curriculum image to be acknowledged as good problem solving teachers in terms of competence and conservative image. However, on the images of the HE curriculum and HE teacher, the HE teachers had the most positive recognition, and on the image of the HE curriculum, the students had the most negative recognition while the image of the HE teacher, the general adults had the most negative recognition. The general adults among the three groups recognized the HE curriculum as the most technical oriented curriculum while the students recognized as interesting curriculum, curriculum contributing on society. In the meantime,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HE education, the H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had weak female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strong living function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the practic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would be important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identity of the HE education formulated might be considered as the practical curriculum that was helpful to problem solving in actual living of the family and family members with the connection to the concept of 'home'. However, depending on the definition on implication of practice and issue of actual l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of the HE education had been changed and might interpret as changing according to the above.for the fertility policy and the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the child cos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CBAM 모형에 기초하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Career Education: Based on CBAM(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 최민지;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65
    • /
    • 2011
  •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자신의 실행수준은 다소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PDF

대안학교 중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among Alternative Schools)

  • 배소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2
    • /
    • 2008
  • 대안학교 중 정규학교 형태의 특성화 중학교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수업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6개 특성화 중학교의 교사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중 3개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05부의 응답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중학교의 기술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기술 가정 교육과정 형태로 운영되나, 학교의 이념이나 특성에 맞게 상이하게 운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시수는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과 비교해 4개 학교에서 주당 1시간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한 각 학교별로 가정교과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 실태를 보면, 가정교과는 가정(부)전공 교사가 대부분 운영하고 있었으며, 자체 제작교재를 쓰는 한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검정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매체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대부분의 학교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고루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 가정교과 교육의 의의는 가정의 행복 추구였으며, 목표는 가정의 행복을 실현,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에 있었다. 교과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는 열악한 실습실 여건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점을 들었다. 넷째, 학생들은 기술 가정교과의 목표를 보통이하로 인식하였고, 가정수업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학생들의 가정수업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업시수가 많고, 특성화 교과가 운영되는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만족도가 높고 가정(부)전공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에서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에 준해 운영되나 시수편성이 일반학교보다 적어 기초적인 교육내용의 이론위주의 가정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시수의 증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화 교과 운영은 가정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따라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업 전반에 걸친 담당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전공 상근 교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중학생의 정서적 공감과 죄책감 경향성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급분위기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Affective Empathy and Guilt-proneness on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Classroom Climate)

  • 오지연;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419-430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empathy and guilt-proneness on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and investigated if class climate (teacher support and student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63 second to third grade students (77 boys and 86 gir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uilt-proneness, teacher support, and student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fend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guilt-proneness, the higher the level of defending behavior. Defending behavior was also higher when students perceived a belongingness to a classroom where their teacher and students provided support. However, affective empathy had no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Second, teache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guilt-proneness and defending behavior. The effects of guilt-proneness on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were greater when teacher support was high compared to low. The results suggested that guilt-proneness and classroom climate play important roles in increasing defend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