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graph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8초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3호
    • /
    • pp.603-6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os middle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textbooks for 7-9 grade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ies;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llustrations, information map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circle graphs, and stripe graphs nip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so goo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d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ar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 PDF

Graph Equations Involving Tensor Product of Graphs

  • Patil, H.P.;Raja, V.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7권2호
    • /
    • pp.301-307
    • /
    • 2017
  • In this paper, we solve the following four graph equations $L^k(G)=H{\oplus}J$; $M(G)=H{\oplus}J$; ${\bar{L^k(G)}}=H{\oplus}J$ and ${\bar{M(G)}}=H{\oplus}J$, where J is $nK_2$ for $n{\geq}1$. Here, the equality symbol = means the isomorphism between the corresponding graphs. In particular, we shall obtain all pairs of graphs (G, H), which satisfy the above mentioned equations, upto isomorphism.

그래프 표현과 해석에서 드러나는 두 중학생의 비례 추론 능력에 대한 사례 연구 (Two Middle School Students' Proportional Reasoning Emerging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Interpreting the Function Graphs)

  • 마민영;신재홍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45-3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함수적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비례 추론 능력과 그에 따른 그래프에 대한 이해를 탐색하는 것이다. 중학교 1학년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2016.5.~2016.7.)에 걸쳐 일차함수에 대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학생 B의 경우 나머지 학생들과 달리 그래프에 대한 이해의 변화가 없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B와 (1차시부터 8차시까지 학생 B와 함께 수업에 참여한) 학생 A가 주어진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그래프에 대한 이해의 차이와 그 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황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하기 위해 상황에 제시된 두 변량의 값들을 조정하여 또 다른 값들을 찾는 과정에서 학생 A와 학생 B가 사용하는 비례 해결 전략이 서로 달랐으며, 학생 B는 그의 제한된 비례 지식으로 인해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중학생들의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Function Graphs)

  • 마민영;신재홍;이수진;박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457-47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함수의 그래프 개념에 대한 이해와 발달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중학생 2명을 대상으로 약 7개월에 걸쳐 교수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업을 진행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두 학생 모두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그래프를 상황에 적절하게 해석하는 초기 과제에서 두 변량 사이의 함수 관계보다 산술적인 값들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학생간의 차이점이 드러나는 과제에 주목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한 과제의 의도 및 역할, 과제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기술하였다. 특히 학생의 반응은 Castillow-Garsow(2012)가 제안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 그 방식을 이끌어내는 추론, 과제의 해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함수의 그래프 표현 및 해석에서 양들의 변화와 연속성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ON CONSTANT MEAN CURVATURE GRAPHS WITH CONVEX BOUNDARY

  • Park, Sung-Ho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4호
    • /
    • pp.1235-1242
    • /
    • 2013
  • We give area and height estimates for cmc-graphs over a bounded planar $C^{2,{\alpha}}$ domain ${\Omega}{\subset}\mathbb{R}^3$. For a constant H satisfying $H^2{\mid}{\Omega}{\mid}{\leq}9{\pi}/16$, we show that the height $h$ of H-graphs over ${\Omega}$ with vanishing boundary satisfies ${\mid}h{\mid}$ < $(\tilde{r}/2{\pi})H{\mid}{\Omega}{\mid}$, where $\tilde{r}$ is the middle zero of $(x-1)(H^2{\mid}{\Omega}{\mid}(x+2)^2-9{\pi}(x-1))$. We use this height estimate to prove the following existence result for cmc H-graphs: for a constant H satisfying $H^2{\mid}{\Omega}{\mid}$ < $(\sqrt{297}-13){\pi}/8$, there exists an H-graph with vanishing boundary.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태선;배덕진;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25-73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중학생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전략과 교사의 교수 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중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그래프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알아보고,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변인 통제 논리와 비례 논리가 그래프 능력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래프 능력은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과 대부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상관은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 과학 교사는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래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변인 통제 논리, 비례 논리 등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과 효과적인 수업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Tools for the Acquisition of Graphing Ability: Real-Time Graphing Technology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53-63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alculator-Based Ranger (CBR) activities in the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abilities of physical phenomena. Two issues about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the effect of CBR activities on graphing abilities, and (2) the influence of instructional styles on students' graphing abilities. Following the use of CBR activities, students' graph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developed in three components-interpreting, modeling, and transform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udents' achievement depending on instructional styles related to differentia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ransforming distance-time graphs to velocity-time graph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BR activities may enhance students in constructing appropriate webs of related concepts and ability to qualitatively interpret graphs. Using collaborative CBR activities to introduce and explore graphing of physical phenomena is, therefore,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 PDF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10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843-8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es high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10th grade student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y;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nformation tables, illustration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and stripe graphs are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well develope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p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b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modification of the 7th probability and statistics curriculum.

  • PDF

중학생들의 자료와 그래프의 선택과 해석에서 측정과 척도에 근거한 비판적 사고 연구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Based on Measurement and Scales for the Selection and Interpreation of Data and Graphical presentations)

  • 윤형주;고은성;유연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7-162
    • /
    • 2012
  • 자료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는 그래프와 그의 특징은 자료 수집의 목적 및 맥락,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유형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통계적 자료를 표현하는 그래프에 대한 학습을 위해 학생들은 측정과 관련된 맥락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이 자료와 그래프를 선택하고 해석할 때, 측정과 척도에 근거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맥락적 영역과 통계적 영역 사이의 상호적 전환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학생들은 맥락적 영역과 통계적 영역 사이의 상호 전환을 필요로 하는 자료의 측정과 자료를 표현하는 척도와 관련한 비판적 사고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제시된 자료나 그래프의 정보에 대해 의심을 거의 품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문항에서 제시한 통계적 조사의 목적과 같은 맥락에 비추어 문제점을 찾아내거나 유연성을 발휘하여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 PDF

고등학교 수학과 <경제 수학>, 사회과 <경제> 교과서에 나타난 경제 용어, 함수 기호 및 함수 그래프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Terms & Function Notations and Function Graphs in High School <Mathematics for Economics>, <Economics> Textbooks)

  • 이경원;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59-587
    • /
    • 2022
  •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경제 수학> 과목과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 선택 과목인 <경제> 과목의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서술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는 경제 용어와 함수 기호를 도입해야 하며, 이 교과서의 경제 관련 함수에 대한 그래프 사용은 수학에서의 그래프 사용과 다르다. 이에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경제 용어, 함수 기호 및 함수 그래프의 사용방식을 <경제> 교과서와 비교·분석하였다.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경제 용어는 수학과 연관성이 높은 경제 용어를 정의하여 제시하였다. <경제 수학> 교과서의 함수 기호는 수학, 경제학의 관례와는 다르게 함수 기호에서 대소문자가 혼용되어 비일관적으로 사용되었다. <경제 수학> 교과서의 함수 그래프는 축, 스케일링에 관해 변수가 나타내는 값의 범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경제 수학> 교과서에서 도형의 평행이동이나 기울기에 관한 수학적 해석을 제공하지 않았다. <경제 수학> 과목에서 학생들의 수학, 경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교육과정 문서상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고려 사항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경제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경제 관련 내용에 대한 수학적 해석의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술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