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flora of Saengshik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3초

시판생식의 제조공정 및 최종제품의 미생물분포 (Microflora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Final Products of Saengshik)

  • 장태은;문성양;이건욱;백장미;한정수;송옥자;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01-506
    • /
    • 2004
  • 생식제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생식제품 및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Staphylococus aureus 등 식중독세균을 중심으로 한 자연 환경 유래 위해미생물의 분포 및 주 오염공정을 조사하였다. 생식 원료 중 위해미생물의 검출율이 높은 원료는 주로 곡류이었으며, 원료를 일반수도수로 세척하고 동결건조 하여도 위해미생물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원료에 대한 비가열살균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최종제품의 위해미생물의 검출율이 원료보다 높게 나타나 제조공정 중 미생물 오염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위해미생물은 원료의 1차 분쇄 후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특히 외주분말(하청공장에서 원료를 세척, 건조, 분쇄한 것)을 혼합한 후 균수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공중부유균은 분쇄실과 혼합실에서 많이 검출되었으며, 생식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 및 기구에서도 위해미생물이 검출되어 공중부유균과 기계 및 기구의 오염, 그리고 기계에 끼여 있는 분말 찌꺼기가 제조공정 중 생식의 미생물 오염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공중부유균의 살균대책 및 하청공장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며, 분쇄기 및 혼합기의 정기저인 소독 및 살균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식원료 야채의 전처리공정에서 Hypochlorous Acid의 미생물 제어 효과 (Effect of Hypochlorous Acid to Reduce Microbial Populations in Dipping Procedure of Fresh Produce as Saengshik Raw Materials)

  • 고소미;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37-642
    • /
    • 2010
  • 생식 원재료 전처리공정은 1차 세척-침지-2차 세척-절단공정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hypochlorous acid를 침지공정에 적용하여 미생물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전처리 단계에서 1차 세척 후에는 감자, 당근, 케일 및 신선초의 총균수는 4.7, 5.3, 5.6, 5.7 log CFU/g이 검출되었으며, 이를 물에 5분간 침지한 경우에는 각각 0.2, 0.2, 0.4, 1.1 log CFU/g를 감소시켰다. 반면 1차 세척 후 100 ppm hypochlorous acid 용액에 5분간 침지한 시료들은 0.5, 0.5, 1.3, 2.8 log CFU/g를 감소시켜 살균효과가 더 좋았으며, 구근류(감자, 당근)보다는 엽채류(케일, 신선초)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흐르는 물로 세척이 끝난 채소류는 절단공정을 거친 후 다시 0.1~2.7 log CFU/g만큼 미생물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감자, 당근, 케일, 신선초에 대해 절단공정을 먼저하고 나서 침지하는 공정을 한 경우, 물을 사용하였을 때는 각각 0.9, 0.6, 0.6, 0.4 log CFU/g, hypochlorous acid 용액에 침지한 후에는 각각 3.2, 2.3, 2.5, 2.6 log CFU/g를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1차 세척-절단-침지-2차 세척으로 공정을 개선하고 침지단계에서 hypochlorous acid 용액을 처리하는 것이 일반미생물과 유해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Reduction of Microflora in the Manufacture of Saengshik by Hygienic Processing

  • Bang, Woo-Seok;Eom, Young-Rhan;Oh, Deo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67-17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ygienic processing (HP) on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during manufacturing of saengshik with two vegetables (carrots and cabbage) and two grains (barely and glutinous rice) compared to general processing (GP). For GP, distilled water was used for washing raw materials and equipment. For HP, aqueous ozone (3 ppm) in combination with 1% citric acid and 70% alcohol were used for washing raw materials and the equipment, respectively. In carrots, after cutting, total aerobic bacteria (TAB), yeast and mold (YM)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5.19, 8.04 and 2.08 ($log_{10}$ CFU/g), respectively (p<0.05). Washing effectively reduced the increased microorganisms from cross contamination during cutting, but cross contamination increased with subsequent GP drying and milling procedures to 8.56, 8.27 and 3.71 ($log_{10}$ CFU/g) for TAB, YM and coliforms, respectively (p<0.05). On the other hand, HP washing of carrots with 3 ppm ozone in combination with 1% citric acid showed higher antimicrobial effect than GP washing,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p<0.05). Further cross contamination did not occur through drying and milling due to cleaning the equipments with 70% alcohol prior to processing. After milling, the number of TAB, YM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3.89, 4.47 and not detectable level ($log_{10}$ CFU/g), respectively (p<0.05).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abbage and grains. During storage for two months at different temperatures (22 or $4^{\circ}C$), there were no changes in numbers of spoilage microorganisms in the packaged saengsik after either processing.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HP for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during saengsik production, an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at each processing stage in minimizing contamination levels to enhance microbial safety of saengshik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