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fermentation

검색결과 1,010건 처리시간 0.023초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Bioconversion of Vitamin $D_3\;to\;1{\alpha}$,25-Dihydroxyvitamin $D_3$ Using Pseudonocardia autotrophica ID9302

  • Kang, Dae-Jung;Lee, Hong-Sub;Park, Joon-Tae;Bang, Ji-Sun;Hong, Soon-Kwang;Kim, Tae-Yo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5호
    • /
    • pp.408-413
    • /
    • 2006
  • We assessed the ability of a Pseudonocardia sp. from soil samples to bioconvert vitamin $D_3$.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bioconversion of vitamin $D_3$ to active $1{\alpha}$,25-dihydroxyvitamin $D_3$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he metal salt concentrations, the initial pH, and the temperature. Microbial transformations were carried out with the addition of vitamin $D_3$ dissolved in ethanol. They were sampled by extraction with methanol-dichloromethane and the samples were examined by HPLC.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found to be 0.4% yeast extract, 1% glucose, 3% starch, 1% fish meal, 0.2% NaCl, 0.01% $K_2HPO_4$, 0.2% $CaCO_3$, 0.01% NaF, and pH 7.0 at $28^{\circ}C$. The optimal timing of the addition of vitamin $D_3$ for the production of calcitriol by Pseudonocardia autotrophica ID9302 was concurrent with the inoculation of seed culture broth. Maximum calcitriol productivity and the yield of bioconversion reached a value of 10.4mg/L and 10.4% respectively on the 7th day in a 75L fementer jar under the above conditions.

포장방법에 따른 절임배추의 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by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 한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3-287
    • /
    • 1994
  • 포장방법에 따른 절임배추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5% 소금물에 4시간 절인 배추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PVC 사각용기(PVC)로 포장하여 무포장구(Non-P)와 함께 $4^{\circ}C$(상대습도 95%)에서 3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3주 동안 절임배추의 무게는 탈수로 인해 각각 $69{\sim}77%$로 감소하였고, 염도는 초기 2.6%에서 2.0%로 낮아졌다. pH는 초기 6.4에서 저장 1주째까지는 모두 낮아졌으나, 그후 무포장구에서는 오히려 높아져 저장 3주째에 6.6이 되었고, PVC 포장구에서는 3주째까지 6.2를 유지하였으며, LDPE에서는 젖산발효가 계속 진행되어 3주째에 5.5까지 낮아졌다. 환원당은 초기 2.4%에서 저장 1주째까지는 탈수에 의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아졌으나 그후 발효에 의해 당이 소모되어 3주째에는 1.8% 수준이었다. 절단강도는 삼투현상이 계속된 LDPE에서는 3주째에 크게 높아졌으나 무포장구에서는 부패에 의해 낮아졌다. 실험결과 LDPE 포장방법이 절임배추의 포장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

Effect of feeding a by-product feed-based silage on nutrients intake, appar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heep

  • Seok, J.S.;Kim, Y.I.;Lee, Y.H.;Choi, D.Y.;Kwak, W.S.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2호
    • /
    • pp.9.1-9.5
    • /
    • 2016
  • Background: Literature is lacking on the effects of feeding by-product feed (BF)-based silage on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nutrient digestion and nitrogen (N) retention in sheep.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lacing rye straw with BF-based silage as a roughage source on ruminal parameters, total-tract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and N balance in sheep. Methods: The by-product feed silage was composed of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45 %), recycled poultry bedding (RPB) (21 %), rye straw (11 %), rice bran (10.8 %), corn taffy residue (10 %), protected fat (1.0 %), bentonite (0.6 %), and mixed microbial additive (0.6 %). Six sheep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control (concentrate mix + rye straw) or a treatment diet (concentrate mix + BF-based silage).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 feeding a BF-based silage diet resulted in similar ruminal characteristics (pH,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concentrations, and acetate: propionate ratio), higher (p < 0.05) ruminal NH3-N, higher (p < 0.05) ether extract digestibility, similar crude protein digestibility, lower (p < 0.05) dry matter, fiber, and crude ash digestibilities, and higher (p < 0.05) N retention (g/d) Conclusion: The BF-based silage showed similar energy value, higher protein metabolism and utilization, and lower fiber digestion in sheep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containing rye straw.

팔라티노스 및 팔라티노스 시럽에 대한 in vitro 변이원성 시험 (In Vitro Mutagenicity Tests on Palatinose and Palatinose Syrup)

  • 백남진;강재구;김정환;김달현;전영중;김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04-807
    • /
    • 1997
  • 제일제당주식회사에서는 미생물발효법을 이용하여 palatinose를 대량생산하게 되었다. Palatinose 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미생물복귀돌연변이시험, 2) Chinese Hamster Lung (CHL)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하였다. Palatinose 및 palatinose syrup은 미생물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10 mg/plate의 용량까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CHL 세포에서도 5 mg/mL 농도에서 염색체이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palatinose 산물들이 위의 in vitro 변이원성시험계에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보여준다.

  • PDF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방법을 통한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에 대해 내성을 갖는 돌연변이 효모 선별 (Isolation of Mutant Yeast Strains having Resistance to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through a Directed Evolutionary Approach)

  • 이유진;권덕호;박재범;하석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56
    • /
    • 2017
  • 목질계 바이오 매스 전처리에 사용되는 ionic liquid는 전처리 후 100% 회수되지 않아 잔존하는 ionic liquid의 독성이 직접적으로 미생물 균주의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쳐 에탄올 발효의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onic liquid에 저해를 받지 않으며 높은 ethanol 생산 효율을 가진 균주를 얻고자 유도적 돌연변이 유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별된 돌연변이 균주 D452-B2와 D452-S3는 3% [EMIM][Ac]가 포함된 배지에서 glucose 소비속도는 $4.5g{\cdot}l^{-1}{\cdot}h^{-1}$$4.4g{\cdot}l^{-1}{\cdot}h^{-1}$로 모균주인 S. cerevisiae D452-2 균주에 비해 6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ethanol 생산성은 각각 $1.99g{\cdot}l^{-1}{\cdot}h^{-1}$$2.0g{\cdot}l^{-1}{\cdot}h^{-1}$로 27배 가량 증가하였다.

오존 및 방사선 조사기술 이용 원부재료의 위생화 후 제조한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 (Quality Changes of Kimchi Manufactured with Sanitized Materials by Ozone and Gamma Irradiation during Storage)

  • 이경행;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6-221
    • /
    • 2007
  • 원부재료에 부착된 미생물을 김치제조 전에 오존 및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미생물을 감균시키고 위생화된 재료로 김치를 제조하였을 때의 미생물학적, 화학적 및 관능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맛김치의 미생물 변화는 총균수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빠른 속도로 증가한 후 저장 10일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의 경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젖산균수의 경우에는 대조군은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에 비하여 다소 낮은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모 및 곰팡이수의 변화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균수를 저장기간 내내 유지하였으나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그 변화는 3 kGy와 5 kGy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및 산도의 변화에서도 대조군은 빠른 속도로 변화되었으나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의 경우는 서서히 변화되었으며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 중에서는 3 kGy와 5 kGy 처리군이 가장 변화가 적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은 빠른 품질변화를 보였지만 오존 및 방사선 처리군은 발효의 진행이 서서히 일어나 품질 유지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ginsenoside bioconvers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Park, Boyeon;Hwang, Hyelyeon;Lee, Jina;Sohn, Sung-Oh;Lee, Se Hee;Jung, Min Young;Lim, Hyeong In;Park, Hae Woong;Lee, Jong-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24-530
    • /
    • 2017
  • Background: Panax ginseng is a physiologically active plant wid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ginsenosides. Rb1, a major ginsenoside, is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for producing ginsenoside derivatives with enhanced pharmaceutical potentials through chemical, enzymatic, or microbial transformation. Methods: To investigate the bio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we prepared kimchi originated bacterial strains Leuconostoc mensenteroides WiKim19, Pediococcus pentosaceus WiKim20, Lactobacillus brevis WiKim47, Leuconostoc lactis WiKim48, and Lactobacillus sakei WiKim49 and analyzed bioconversion products using LC-MS/MS mass spectrometer. Results: L. mesenteroides WiKim19 and Pediococcus pentosaceus WiKim20 converted ginsenoside Rb1 into the ginsenoside Rg3 approximately five times more than Lactobacillus brevis WiKim47, Leuconostoc lactis WiKim48, and Lactobacillus sakei WiKim49. L mesenteroides WIKim19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b-glucosidase activity and higher transformation ability of ginsenoside Rb1 into Rg3 than the other strains whereas, P. pentosaceus WiKim20 showed an elevated production of Rb3 even with lack of b-glucosidase activity but have the highest acidity among the five lactic acid bacteria (LAB). Conclusion: Ginsenoside Rg5 concentration of five LABs have ranged from ${\sim}2.6{\mu}g/mL$ to $6.5{\mu}g/mL$ and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ubation period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nzymatic activity along with acidic conditio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minor ginsenoside from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sp. IJ-3가 생산하는 대두단백응고효소의 최적생산 조건 및 7S Globulin에 대한 효소적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um Conditions of Soy Protein Coagulating Enzyme Production from Bacillus sp. IJ-3 Strain and the Action of IJ-3 Strain Enzyme on 75 Globulin)

  • 박양원;김영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78-884
    • /
    • 1996
  • BailIus sp. IJ-3 균주는 균체외 효소로 대두단백 응고효소를 생산하고, 이 박테리아의 최적 효소생산에 대한 배지조성 및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최대의 대두단백 응고효소를 생산하는 배지조성은 soymilk 20%(w/v), glucose 2.0%, yeast extract 5.0%, peptone 4.0% 및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0%였다. 초기 pH는 6.0이었고, $35^{\circ}C$ 배양에서 최대 효소활성을 보였다. 조정된 배지 조성에서 72시간 배양에 최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존배지 활성의 약 5.3배의 효소활성의 증가를 보였다. BaCilIus sp. IJ-3 균주효소는 7S globu1in에 대해 특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itinolytic Enzyme을 이용한 N-acetyl-$\beta$-D-glucosamine의 최적생산 (Optimal Production of N-acetyl-$\beta$-D-glucosamine Using Chitinolytic Enzyme)

  • 이천우;이은영장상목김광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696-703
    • /
    • 1996
  • S. marcescens QM 81466 균주는 chitin 분해 효소(1mg/Lmedium)를 선택적으로 높게 생성시킬 수 있는 균주로서, chitin을 N-acetyl-$\beta$-D-glucosa­m mine(NAG)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를 할 때 chitinase와 chitobiase의 두 가지 가수분해 효소계를 구 성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균주의 chitinase/chitobiase 생성을 위한 chitin 입자크기에 대한 최적화와, 회분 발효계에서 이 균주의 세포 밀도 배양에 따른 두 효소 생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NAG 생산성의 증대를 시도하였다. 아울러. chitin과 CM­ chitin이 chitinase/chito biase 생성비 와 NAG 생성 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는데, CM-chitin을 colloidal 및 결정성 chitin 대신에 사용했을 때, chitinase 활성을 약 7~10U/mL 증가시켰다. 이 경우에 있어서, chitinase/chitobiase의 비는 9:1로 서 NAG의 생성량이 3.0g/L로서 높게 나타났다.

  • PDF

Silages of Rye Harvested at Different Stages: A Study on Microbial Inoculants Responses in Improving Rye Silage Fermentation Quality

  • Srigopalram, Srisesharam;Ilavenil, Soundharrajan;Kuppusamy, Palaniselvam;Yoon, Yong Hee;Kim, Won Ho;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9-194
    • /
    • 2017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Mixture (LBM) on improving rye silage quality. Rye of four different stages (Booting, Heading, Flowering, and Late flowering) was collected and silage was prepared. The nutrient profile analysis of experimental silag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control and LBM inoculation. Interestingly, the pH of rye silage in LBM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than control (p<0.05) in all stages of rye silage. However, lowest pH (3.69) resulted on booting stage among other stages of rye. Subsequently significant lactic acid production was noted in all stages of LBM inoculation than control. Conversely maximum lactic acid production of (5.33%DM) was noted at booting stage followed by (4.86%DM) in heading stage. Further the lactic acid bacterial (LAB) count in LBM inocul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han control. Similarly, the silage of booting stage group registered maximum LAB population ($63.7{\times}10^6CFU/g$) after that heading stage ($32.3{\times}10^6CFU/g$). Further significant reduction in yeast growth and no fungal growth was noted in all LPM treatment groups. Hence, LBM inoculants could be a better additive for improving rye silag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