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bial composition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6초

Nutrient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ctivities, Serum Parameters and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Lactating Goats Fed Diets Containing Rice Straw Treated with Pleurotus ostreatus

  • Kholif, A.E.;Khattab, H.M.;El-Shewy, A.A.;Salem, A.Z.M.;Kholif, A.M.;El-Sayed, M.M.;Gado, H.M.;Mariezcurrena, M.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57-364
    • /
    • 2014
  • The study evaluated replacement of Egyptian berseem clover (BC, Trifolium alexandrinum) with spent rice straw (SRS) of Pleurotus ostreatus basidiomycete in diets of lactating Baladi goats. Nine lactating homo-parity Baladi goats (average BW $23.8{\pm}0.4$ kg) at 7 d postpartum were used in a triplicate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ith 30 d experimental periods. Goats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0 (Control), 0.25 (SRS25) and 0.45 (SRS45) (w/w, DM basis) of SRS. The Control diet was berseem clover and concentrate mixture (1:1 DM basis). The SRS45 had lowered total feed intake and forages intake compared to Control. The SRS25 and SRS45 rations had the highest digestibilities of DM (p = 0.0241) and hemicellulose (p = 0.0021) compared to Control which had higher (p<0.01) digestibilities of OM (p = 0.0002) and CP (p = 0.0005) than SRS25 and SRS45. Ruminal pH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were higher (p<0.0001) for SRS25 and SRS45 than Control, which also had the highest (p<0.0001) concentration of TVFA, total proteins, non-protein N, and ammonia-N. All values of serum constituents were within normal ranges. The Control ration had higher serum globulin (p = 0.0148), creatinine (p = 0.0150), glucose (p = 0.0002) and cholesterol (p = 0.0016). Both Control and SRS25 groups had the highest (p<0.05) milk (p = 0.0330) and energy corrected milk (p = 0.0290) yields. Fat content was higher (p = 0.0373) with SRS45 and SRS25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Replacement of BC with SRS in goat rations increased milk level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compared with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replacing 50% of Egyptian berseem clover with SRS in goat rations improved their productive performance without marked effects on metabolic indicators health.

연속수소생성에 사용되는 고온 CSTR 내의 미생물의 분자적 분석 (Molecular Analysis of th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STR used for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 오유관;박성훈;안영희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31-437
    • /
    • 2005
  • 1. 고온 CSTR은 비교적 짧은 start-up 기간과 높은 $H_2$ 수율을 나타내었다. $H_2$ 생산속도와 $H_2$ 수율의 안정화를 근거로 판단컨대 start-up 기간은 30일 이내이었으며, 최고 $H_2$ 수율은 2.4 mol $H_2/mol$ glucose이었다. 2. 비교적 긴 HRT와 침전조를 이용한 biomass의 재순환에도 불구하고, 유입 포도당의 농도가 낮아 biomass 농도는 다른 중온 반응기에서 보고된 것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3. 운전 초기에 $CH_4$이 발생하였으나 8일 이후부터는 pH를 1.0 이하로 유지하였더니 14일 이후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메탄생성균이 식종균에 남아 있더라도 반응기 운전조건을 통해 $CH_4$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4. 식종 미생물과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의 DGGE band 패튼이 다른 것으로 보아 고온 CSTR 조건에서 식종된 미생물 군집의 조성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DGGE 분석결과 초기 43일간의 운전기간 동안에 관찰된 미생물 군집조성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약 14일부터는 biogas 조성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미생물 군집은 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F. gondwanens와 T. Thermoanaerobacterium과 계통발생학적으로 가장 연관이 있는 개체군들이 운전 21일과 41일째에 각각 우점으로 나타났다. 6. 본 연구에서 식종 슬러지를 열처리하는데 사용한 조건은 메탄생성균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은 운전 초기에 $CH_4$이 biogas에서 검출되었고, 식종 슬러지와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에서 메탄생성균이 가지는 mcrA 유전자가 PCR로 증폭되었으므로 알 수 있었다. 7. 메탄생성균의 주요 목에 특이적인 primers를 사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식종슬러지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sarcinales와 Methanomicrobiales 목에 속하였으며, $CH_4$이 발생했던 때의 반응기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bacteriales 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Transgenic Corn on the In vitro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 Sung, Ha Guyn;Min, Dong Myung;Kim, Dong Kyun;Li, De Yun;Kim, Hyun Jin;Upadhaya, Santi Devi;Ha,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61-1768
    • /
    • 2006
  •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effects of transgenic corn (Mon 810 and Event 176) and isogenic corn (DK729)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fluence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treatments with 0.25 g rice straw, 0.25 g of corn (Mon810/Event176/DK 729) mixed with 30 ml rumen fluid-basal medium in a serum bottle. They were prepared in oxygen free conditions and incubated at $39^{\circ}C$ in a shaking incubator. The influence of transgenic corn on the number of bacterial population, F. succinogenes (cellulolytic) and S. bovis (amylolytic), was quantified using RT-PCR. Fermentative parameters were measured at 0, 2, 4, 8, 12 and 24 h and substrate digestibility was measured at 12 and 24 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DF, ADF at 12 and 24 h for both transgenic and isogenic form of corns (p>0.05) as well as in fermentative parameters. Fluid pH remained unaffected by hybrid trait and decreased with VFA accumulation as incubation time progressed. No influence of corn trait itself was seen on concentration of total VFA, acetic, propionic, butyric and valeric aci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otal gas production, composition of gas (methane and hydrogen) at all times of sampling, as well as in NH3-N production. Bacterial quantification using RT-PCR showed that the population number was not affected by transgenic corn. From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ransgenic corn (Mon810 and Event 176) had no adverse effects on rumen fermentation and digestibility compared to isogenic corn. However, regular monitoring of these transgenic feeds is needed by present day researchers to enable consumers with the option to select their preferred food source for animal or human consumption.

Minority report; Pseudomonas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쿼럼 센싱) 신호물질로써의 Diketopiperazines과 Pyocyanin (Minority report; Diketopiperazines and Pyocyanin as Quorum Sensing Signals in Pseudomonas aeruginosa)

  • 이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5-92
    • /
    • 2008
  • Pseudomonas aeruginosa는 기회 감염성 병원균으로, Cystic fibrosis, 미생물 감염성 각막염,화상 부위 2차 감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초래한다. 정족수 인식(쿼럼 센싱)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세포간 신호전달 기전이 이러한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P.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 시스템들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P. aeruginosa의 정족수 인식 시스템들을 소개하는 많은 문헌들이 주로 두 개의 주요 acyl-homoserine lactone (AHL) 계열 정족수 신호물질들인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과 N-butanoyl homoserine lactone (C4)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새로운 신호물질들이 발견되어져 왔고, 그들이 P. aeruginosa의 병독성과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제안되어져 왔다. 그 중 하나가 PQS(Pseudomonas quinolone signal; 2-heptyl-3-hydroxy-4-quinolone)인데, 이 물질은 현재 P. aeruginosa의 잘 규명된 주요 신호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의 연구들은 또 다른 가능성 있는 P. aeruginosa신호물질들을 제안해 왔는데, diketopiperazines (DKPs)과 pyocyanin이 그들이다. DKPs는 환형 dipeptide로써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P. aeruginosa의 배양액에서 검출된 몇몇 DKPs들이 기존에는 AHL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한다고 알려졌던 Vibrio 랸�N갸 LuxR biosens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새로운 신호물질로 제안되었다. Pyocyanin (1-hydroxy-5-methyl-phenazine)은 P. aeruginosa가 생산하는 여러 phenazine 화합물들 중의 하나로써, 특징적인 청록색을 띄는 산화-환원 활성물질이다. 이 물질도 정체 성장기 동안 일부 정족수 인식의 조절을 받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최종 신호 인자로 최근 제안되었으며, 그 신호는 또 다른 전사 조절 인자인 SoxR에 의해 매개된다고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 aeruginosa에서 새롭게 발견, 제안되고 있는 이들 신호 전달 물질들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 보기로 한다.

신구저수지의 1차 생산 및 지방산 생성속도 결정을 위한 $^{13}C$ 추적자 활용 연구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and Fatty Acid Production Rate in Shingu Reservoir)

  • 이연정;김민섭;신경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신구저수지 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속도를 계산하고, $^{13}C$-GC/MS 기법을 사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지방산의 생성속도를 분석하였다. 유광층 내의 SPM중 POM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6%였으며, 엽록소$-{\alpha}$의 평균 농도는 약 $89{\mu}g\;L^{-1}$이었다. 유광층 단위면적당 엽록소$-{\alpha}$ 총량, 1차 생산력, 엽록소$-{\alpha}$에 의한 탄소 고정 능력은 각각 112mg Chl-${\alpha}m^{-2}$, 3.53g C $m^{-2}\;d^{-1}$, 32mg C mg Chl-${\alpha}^{-1}\;d^{-1}$이었다. 수층 내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과 식물플랑크톤 광합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기간 동안 수층의 입자성유기물은 대부분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유기물은 세포외배출 등의 과정을 통해 용존유기물 pool로 이동된 후 박테리아에게까지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 소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극한환경에서 분리한 고온성 Bacillus sp. TR-25에 위한 내열성 $\alpha$-amylase의 생산 (Thermostable $\alpha$-Amylase Production by Thermophilic Bacillus sp. TR-25 lsolated from Extreme Enviroment)

  • 노석범;손홍주;이종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8
    • /
    • 1997
  • 내열성 {\alpha}$-am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분리원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55$^{\circ}C$ 이상에서 생육하고 가장 내열성 {\alpha}$-amulase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thermophilic Bacilus 속으로 추정되었다. 균체생육과 효소생산의 최적온도는 60~$65^{\circ}C$였고, 초발 pH8.0에서 가장 높은 효소생산능을 보였다. {\alpha}$-amulase 생산에 가장 양호한 탄소원은 soluble starch, dextrin, prtato starch, corn starch 등의 다당류이었으며 glucose, fructose 등의 단당류에서는 효소생산이 미약하거나 억제를 받았다. {\alpha}$-amulase 생산에 가장 중요한 질소원은 yeast extract이었따. 0.1% $CaCl_2{\cdot}2H_2O$, 0.001%의 Tween-80의 첨가는 {\alpha}$-amulas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본 공사균이 생산한 조효소액의 특성을 검토해 본 결과, 8$0^{\circ}C$에서 최적 효소활성을 보였으며, 10$0^{\circ}C$에서도 23%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pH는 5.0이었다. $Ca^{2+}$은 효소활성 증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공시균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를 중온성 BAcillus subtilis KCTC 1024에 형질전환시킨 결과, transformant는 wild type에 비하여 약 2배의 효소활성이 증가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nt for fresh rice straw silage

  • Kim, Jong Geun;Ham, Jun Sang;Li, Yu Wei;Park, Hyung Soo;Huh, Chul-Sung;Park, Byung-Chu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50-956
    • /
    • 2017
  • Objective: Effects of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rice straw silage was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ood crop silage were screened by growing them in MRS broth and a minimal medium with low carbohydrate content. Selected LAB (LAB 1821) were Gram-positive, rods, catalase negative, and were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 16S rRNA analysi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with two isolated LAB (1821 and 1841), two commercial inoculants (HM/F and P1132) and no additive as a control. Results: After 2 months of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rice straw silages treated with additives were well-preserved, the pH values and butyric and acetic acid contents were lower, and the lactic acid content and lactic/acetic acid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Acidity (pH) was lowest, and lactic acid highest, in 1821-treated silage (p<0.05). The $NH_3-N$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inoculant-treated silage (p<0.05) and the $NH_3-N$ content in 1821-treated silage was lowest among the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the control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fresh rice straw (p<0.05), while that of the 1841- and p1174-inoculant-treated silag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M/F-treated silage. Microbial additiv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p>0.05) effect on acid detergent fiber or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s.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increased after inoculation of LAB 1821 (p<0.05). Conclusion: LAB 1821 increased the CP, IVDMD, lactic acid content and ratio of lactic acid to acetic acid in rice straw silage and decreased the pH, acetic acid, $NH_3-N$, and butyric acid contents. Therefore, adding LAB 1821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feed value of rice straw silage.

젖산나트륨과 젖산칼륨의 첨가가 냉동저장 중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Sodium Lactate and Potassium Lactat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진구복;안은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59
    • /
    • 2005
  • 본 실험은 저지방 소시지인 대조구와 젖산나트륨 및 젖산칼륨의 첨가 수준에 따라 처리구를 대조구(CTL, Low-fat sausages control), TRT1(Sodium lactate, SL 3.3%), TRT2(SL 2.2% + Potassium lactate, PL 1.1%), TRT3(SL 1.1% + PL 2.2%), TRT4(PL 3.3%)로 나누어 제조하여 냉장저장기간 동안 품질 및 저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저지방 소시지의 일반성분에서 수분은 73.9∼75.4%, 지방 l∼2%, 단백질은 15.5∼15.9%이였고, pH는 5.8∼6.5범위였으며 젖산나트륨이나 젖산칼륨의 첨가에 따른 냉장 저장 중의 뚜렷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냉장 저장 중 유리수분은 전체적으로 22.9∼33.0%범위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러나 진공감량은 2.7∼5.3 범위였고 냉장 저장 중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는 젖산나트륨이나 젖산칼륨의 첨가에 따른 냉장저장 중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소시지의 색도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조직감의 경우, 대조구는 모든 항목에서, TRT1은 부서짐성과 경도에서, TRT3은 응집력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젖산나트륨과 젖산칼륨의 첨가는 조직감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미생물의 변화의 경우 저장 4주후부터 10주까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크게 낮아져 유의차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저지방 소시지에 젖산나트륨 및 젖산칼륨의 첨가는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저장 중에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제과공장 폐수의 화학적 응집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Chemical Coagul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in a Confectionery Factory)

  • 금승해;장규섭;송경빈;안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8-323
    • /
    • 1995
  • 제과회사 폐수처리의 화학적 응집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처리 폐수의 $COD_{Mn}$과 총 고형분은 각각 $200{\sim}820ppm$$860{\sim}1360ppm$이었다. 폐수의 총 고형물의 성분은 당 40%, 단백질 10%, hexane-soluble 20%, 회분 30%였다. 650 nm에서의 turbidity와 suspended solid(SS)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turbidity는 폐수의 on-line 측정도구로 사용할 수 있었다. 여러 응집제 중에서 $COD_{Mn}$과 SS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Al_2(SO_4)_3:Ca(OH)_2$의 조합 사용이었다. 최적의 $Al_2(SO_4)_3:Ca(OH)_2$ 농도는 480 ppm : 200 ppm이었다. 최적의 폐수처리 시간은$(Al_2(SO_4)_3$ 첨가 : $Ca(OH)_2$ 첨가 : 응집 숙성) 2 : 2 : 10분이었다. 이러 번의 $Al_2(SO_4)_3:Ca(OH)_2$ 처리공정은 gelatin과 계면활성제의 응집저해 현상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미생물 슬러지의 첨가는 이 응집저해 물질들 제거에 도움이 되었다.

  • PDF

동물성 플랑크톤 Harpacticoid, Tigriopus japonicus MORI가 서식하는 Tide Pool 생태계의 조사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icrobial Survey of the Tide Pools Densely Inhabited by Tigriopus japonicus MORI)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2
    • /
    • 1985
  • T. japonicus가 서식하고 있는 천연 tide pool의 실태를 알기 위하여, 신내천현 삼포시 유호주변에 있는 성상이 다른 tide pool 세곳(Fig.1. A, B, C)을 대상으로 $6{\sim}10$월까지 조사를 하였다. 이 tide pool 해수중의 환경요인인 염분농도는 장마철 강우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35\%0$였고, 수온은 $14{\sim}33^{\circ}C$, pH는 $7.4{\sim}8.9$, POC (현탁태유기탄소)는 $255{\sim}3980\;{\mu}g-c/l$, 전 인산염은 $1{\sim}27\;{\mu}g-at/l$의 심한 변동을 보였다. 해수중의 세균수 및 녹조유부착균수는 각각 $10^4{\sim}10^7/ml,\;10^6{\sim}10^8/g$의 범위로 시기적인 변동이 있었고, 해수중의 세균상은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Flabacterium spp., Pseudomonas spp.등의 세균주가 각각 $38\%,\;29\%,\;16\%$$14\%$의 비율로 나타났고, Vibrio spp. 균주나 효모의 출현비율은 낮았다. tide pool 내의 T. japonicus 최고개체수 및 포난개체수는, 8월과 9월 단세포 조류 및 원생동물의 대량발생이 관찰 되였던 B-pool이 높았고, 각각 해수 1l중 약 $2,200{\sim}7,000$$200{\sim}2,800$의 범위였다. 이상의 POC, 전 인산염 및 세균수, 세균상등의 조사결과, T. japonicus의 서식하는 천연환경이 상당히 부영양적인 것으로 추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