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ssay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4초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Mozuku, 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 김인혜;이재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5-295
    • /
    • 2016
  •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C.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써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항산화 효과(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항균(anti-microbial activit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주름개선(elastase inhibition assay) 및 B16F10 mouse melanoma cell (MTT assay)을 이용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큰실말 추출물 원물(MC)과 불용성(MI)은 Staphyloccus aureus (S. aureus)와 항생제내성균주인 MRSA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항곰팡이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큰실말 추출물 수용성(MS)은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49%로 표준물질인 arbutin 보다 미백효과가 우수하였지만 주름개선효과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500{\mu}g/mL$에서 89%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인 큰실말 추출물은 화장품 미백소재로써 좋은 후보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변이원성 물질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분리방법 (Isolation of a Desmutagenic Substance Producing Microorganisms)

  • 박용일;조문구;정호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113
    • /
    • 1992
  • In the screening process of anti- or desmutagenic substance from the various microbial metabolites with the method of Ames and Rec-assay, a desmutagenic substance producing bacterial strain which inactivates the mitomycin C-induced mutagenicity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Psudomonas sp. AM-10.

  • PDF

미생물 세포 기반의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 활성 측정을 위한 분광학적 분석법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bial Cell-Based Spectrometric Assay for the Analysis of Epoxide Hydrolase Activity)

  • 김희숙;이은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6-140
    • /
    • 2005
  • 다양한 라세믹 에폭사이드 기질에 대한 입체선택적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epoxide hydrolase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세포 기반의 자외선 활성 분석법을 최적화하였다. 2.5 mg/ml의 세포 농도에서도 비교적 쉽게 흡광도 변화량을 인식할 수 있는 흡광도 범위인 0.5 이상을 얻을 수 있고, 반응 동력학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었다. 기존의 GC, HPLC 분석 법 보다 분석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효소를 별도로 분리$\cdot$정제하지 않고 미생물 세포 자체의 epoxide hydrolase활성 분석이 가능하므로 상업적 특성이 우수한 epoxide hydrolase을 가진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선별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Continuous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Activity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Yim, Sung-Kun;Yun, Chul-Ho;Ahn, Tae-Ho;Jung, Heung-Chae;Pan, Jae-Gu
    • BMB Reports
    • /
    • 제38권3호
    • /
    • pp.366-369
    • /
    • 2005
  •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CPR) transfers electrons from NADPH to cytochrome P450 and also catalyzes the one-electron reduction of many drugs and foreign compounds. Various spectrophotometric assay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electron-accepting properties of CPR and its ability to reduce cytochrome $b_5$, cytochrome c, and ferricyanide. In this report, reduction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by CPR has been assessed as a method for monitoring CPR activity. The principle advantage of this substance is that the reduction of MTT can be assayed directly in the reaction medium by a continuous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 electrons released from NADPH by CPR were transferred to MTT. MTT reduction activity was then assessed spectrophotometrically by measuring the increase of $A_{610}$. MTT reduction followed classical Michaelis-Menten kinetics ($K_m\;=\;20\;{\mu}M$, $k_{cat}\;=\;1,910\;min^{-1}$). This method offers the advantages of a commercially available substrate and short analysis time by a simple measurement of enzymatic activity of CPR.

탈질균(脫窒菌) 및 황산환원균(黃酸還元菌) 정량(定量)을 통(通)한 서울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남산(南山)의 토양(土壤)에 미치는 영향(影響) 평가(評價) (Evaluation of Air Pollution Effects in Seoul City on Forest Soil at Mt. Namsan by Assay of Denitrifying and Sulfur-Reducing Bacteria)

  • 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98-104
    • /
    • 1997
  • 대기오염의 장기화에 따라 토양오염이 심화된 것으로 추측되는 서울 남산의 토양을 대기오염이 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계방산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비교하여 남산토양의 오염도를 평가하며, 질소 및 황의 무기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동시에 정량하여 질소 및 황의 무기화에 관여하는 미생물군을 토양오염도 평가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남산의 토양은 계방산에 비하여 10배 이상 수소이온의 농도가 높아 토양 산성화가 상대적으로 심하였다. 특히, 남산토양은 양이온의 용탈이 심하고 치환성 알루미늄은 많아져 남산지역 토양 생태계에 큰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냈다. 토양 산성화의 주요인은 황산화물의 집적으로 추정되지만 황산환원균의 활성은 지역간에 유의차를 발견할 수 없어서 미생물 동태가 단순한 인자만이 아닌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조절됨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탈질기작에 관여하는 세균의 동태는 남산의 소나무림에 비하여 계방산의 소나무림에서 활발한 것으로 평가되어 토양생태계의 전반적인 미생물 활성도나 건전도의 지표로 질소의 무기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정량기법을 검토해 볼만하다.

  • PDF

Distribution of Toxin Genes and Enterotoxins i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 Cho, Seung-Hak;Kang, Suk-Ho;Lee, Yea-Eun;Kim, Sung-Jo;Yoo, Young-Bin;Bak, Yeong-Seok;Kim, Jung-Beo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043-2048
    • /
    • 2015
  • Bacillus thuringiensi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have been applied worldwide. Although a few cases of B. thuringiensis foodborne illness have been repor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toxigenic properties of B. thuringiensis isolat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pathogenic potential of B. thuringiensis selected from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based on its possession of toxin genes and production of enterotoxins. Fifty-two B. thuringiensis strains selected from four kinds of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were analyzed. PCR assay for detection of toxin genes and immunoassay for detection of enterotoxins were performed. The hemolysin BL complex as a major enterotoxin was produced by 17 (32.7%), whereas the non-hemolytic enterotoxin complex was detected in 1 (1.9%) of 52 B. thuringiensis strains. However, cytK, entFM, and ces gene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tested B. thuringiensis strains. The potential risk of food poisoning by B. thuringiensis along with concerns over B. thuringiensi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Thus,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based on B. thuringiensis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후자린산(Fusaric acid) 생성 Fusarium 종의 신속 검출 PCR (Rapid Detection Method for Fusaric Acid-producing Species of Fusarium by PCR)

  • 이데레사;김소수;;;함현희;이수형;홍성기;류재기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326-329
    • /
    • 2015
  • 후자린산은 Fusarium이 생성하는 독소로서 다른 Fusarium 독소와 함께 독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후자린산 독소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후자린산의 생합성유전자 중 전사인자인 FUB10을 증폭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Fub10-f와 Fub10-r 프라이머쌍으로 PCR을 수행했을 때, F. oxysporum, F. proliferatum, F. verticillioides, F. anthophilum, F. bulbicola, F. circinatum, F. fujikuroi, F. redolens, F. sacchari, F. subglutinans, F. thapsinum에서 약 550 bp의 단일밴드가 증폭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후자린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트라이코쎄신을 생성하는 종에서는 FUB10 특이 밴드가 증폭되지 않았다. 후자린산은 푸모니신을 생성하는 종에서 함께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FUB10 프라이머와 푸모니신 생합성유전자인 FUM1 프라이머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푸모니신 생성종인 F. proliferatum과 F. verticillioides에서 밴드가 모두 증폭되었으며 이는 두 가지 독소를 생성할 수 있는 종에서 동시 검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한국의 논 토양 미생물 다양성 분석 방법 (Korean Paddy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Metho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 최명은;홍성준;임종희;곽윤영;백창기;정희영;이인중;신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2호
    • /
    • pp.95-100
    • /
    • 2013
  • 현재 토양 생태에서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분해, 질소 순환, 식물의 질소 이용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토양 내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논 토양의 미생물 생태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 토양 미생물의 DNA를 분리하기 위하여 lysis buffer method, skim milk bead method, sodium phosphate buffer method, Epicentre SoilMaster DNA extraction kit (Epicentre, USA), Mo Bio PowerSoil kit (Mo Bio, USA)를 이용하여 토양 내 gDNA 최적 추출방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Mo Bio PowerSoil kit를 사용하였을 때 Shannon 다양성지수가 세균 3.3870, 진균 3.6254으로 미생물 다양성 분석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DGGE 분석을 위한 조건은 세균의 경우 6% polyacylamide gel, 45-60% denaturing gradient였고, 진균의 경우 6% polyacrylamide gel, 45-80% denaturing gradient에서 최적 분석조건을 보였다. 위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논 토양내의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간의 변화 요인에 의해 미생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DGGE 분석법을 통해 논토양 미생물의 분석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