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habitat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Grains and Roughage Production and Its Utilization in Asian-Australasian Region - Review -

  • Bhat, P.N.;Bansil,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481-492
    • /
    • 1999
  • Asian-Australasian region comprises of 82 countries spread over varying agro economic zones, habitats and ecosystems varying from dry hot to humid tropics and cold deserts. The literacy standards vary from very low to almost 100 percent. On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 are 4 countries Japan, Australia, New Zealand and Korea which are developed countries, rest are in varying states of development and growing economically very rapidly. Based on Agro ecosystems and farming practices, we have chosen four countries for indepth study in this paper namely China, Thailand, Indonesia and India. They represent 70% of the bovine and poultry population of the region.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grain and rough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at present and in 2000 A.D. by examining information on feed rates demand patterns and feed requirements in these four countries keeping in view the size and growth of bovine and poultry population and dietary pattern of the people. It has been observed, there has so far been no country level detailed study on the livestock feed requirements. Apart from conceptual discrepancies, most of the estimates given in various reports brought out by the national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agencies do not have any scientific basis. Hence an inter-country comparison is virtually impossible on the basis of the available information. We have however, attempted to analyse the dietary pattern in the different countries, feedgrains requirements, availability of feed based on the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various published and unpublished reports. We have given an inter-country comparison of feed rate and feed requirements which, however, needs to be tested by carrying out a micro level study in each selected country.

남극 세종기지 주변에 새로이 정착한 현화식물 남극좀새풀 (Deschampsia antarctica)의 개체군 공간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Deschampsia antarctica, a Flowering Plant Newly Colonized around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 김지희;정호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23-32
    • /
    • 2004
  • As a baseline survey for long-term monitoring 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Antarctic King Sejong S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Deschampsia antarctica Desv., a flowering plant newly colonized were investig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both austral summer 2002 and 2003. Dispersal of the seeds and vegetative leaves by skuas might lead to the colonization into this area from neighbors in Maxwell Bay. The pioneer populations were observed around ponds and a stream of the Sejong Point in January 2002, and the maximum dispersal area was four times expanded after a year. Most of the populations were formed on the stable and well-drained substrate, which consisted of moss carpet of Sanionia georgico-uncinata (65%) and pebbles (25%), while only a few young individuals were observed on the unstable and watertight silt-sandy area. Especially, S. georgico-uncinata was being effectively utilized as their primary substrate with the soft, coarse and water-contained leaves. Also the perennial mature plants of D. antarctica were mainly formed on the moss carpet rather than pebbles. A few individuals were grown on other mosses of Polytrichastrum alpinum, Bryum pseudotriquetrum, Pohlia cruda, and Conostomum magellanicum and on a liverwort of Cephaloziella varians. We expect that dispersal of D. antarctica and the following succession to grass field will be countinuously and dynamically proceeded in this area,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niche against the initial moss populations, on the similar continui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ontinuous observations are needed with establishment of database on environmental change of micro-habitats, e.g. the water content and nutrients of soil and the underground temperature and permafrost.

Potentials of and Threats to Traditional Institutions for Community Based Biodiversity Management in Dryland Areas of Lower Moshi, Tanzania

  • Woiso, Dino Andrew;Shemdoe, Riziki Silas;Kayeye, He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77-185
    • /
    • 2009
  • Dryland species and ecosystems have developed unique strategies to cope with low and sporadic rainfall. They are highly resilient and recover quickly from prevailing disturbances such as fires, herbivore pressure and drought. Dryland people have engineered pastoral and farming systems, which are adapted to these conditions and have sustained the livelihoods of dryland people for centurie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status of potentials and threats to dryland biodiversity and explore options for its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are highly valued by the community but mechanism for wise use of the resources has disappeared, (ii) forests are under the ownership of the government but the local community is the realistic custodian of the forests through village leaderships and environmental committees; (iii) the immediate major threat to dryland biodiversity held in the forests appears to be the degradation of ecosystems and habitats caused by new and powerful force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such as large scale irrigation of rice farms, poverty-induced over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disappearance and ignorance of traditional institutions for management of dryland biodiversity. These new forms of disturbances often overpower the legendary resilience of dryland ecosystems and constitute potentially serious threats to dryland biodiversity. Forests, wetlands and oases all of which are micro hot spots of dryland biodiversity, appear to be particularly vulnerable hence the need to set up some rules and regulations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se resources.

  • PDF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1
    • /
    • 2014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Five Populations of Zabelia tyaihyonii in South Korea

  • Nam, Jae Ik;Kim, Mun Seop;Song, Jeong Ho;Seo, Jeong Min;Choi, Go Eun;Kim, Young K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9-62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Native to the limestone zones of the Korean Peninsula, Zabelia tyaihyonii is a popular plant for landscaping. As it is now classified as a rare species, the conservation of its genetic resources is necessary. Methods: In this study, which aimed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Z. tyaihyonii, 18 characteristics of Z. tyaihyonii from five habitats were examined. Results: Of these 18 characteristics, 16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tes,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nged from 5.4% (for corolla lobe number) to 31.3% (for flower number). Notable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size of flower and calyx lobe. When the corolla length and calyx lobe length were used as the classification key of Z. tyaihyonii, the sites were divided into those with small, intermediate, and large values. Hair was observed on the filament of all samples, a finding which conflicts with an earlier report. Rather than classifying Z. tyaihyonii into different species on the basis of corolla length (COL) and calyx lobe length (CALL) values, we recommend modifying the species description to incorporate the variation in thes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main componen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raits related to the size of the calyx lobe (length: 0.819, width: 0.758), and the second main componen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raits related with the size of the inflorescence (length: 0.790, width: 0.626). Conclusion: Several notable variations were identified am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florescence and calyx lobe. There is little genetic exchange among groups, or each group is influenced by micro environmental factors, because sites that are located nearby.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COL and CALL, which is used as the classification key for Z. tyaihyonii, was divided into small group, large group, and intermediate group, regardless of the sites' geographical distance.

하천 연속성 단절이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밀양 단장천을 중심으로 (The Impact on Fish Assemblage by the River Connectivity Fragmentation: Case Study of the Danjang Stream, South Korea)

  • 허승빈;김강희;홍동현;이현식;김구연;주기재;조현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31-243
    • /
    • 2022
  • 인위적 교란은 담수 생태계에서 어류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건설이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단장천과 동천 내 총 8개 지점에서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어류조사를 총 5회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10과 23종 782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 (Zacco Koreanus)로 상대풍부도(Relative Abundance)는 50.89%로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와 UPGMA 결과, St. 3은 공사로 인해 정수역이 형성되고 하류 지점과 하상이 유사해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생활상에 따라 어류를 저서성(demersal)과 중층성(benthopelagic)으로 나누었을 때, 중층성 어류인 참갈겨니의 건강도가 공사지점 기준 상류지점보다 하류지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저서성 어류의 상대밀도는 과거에 비해 상류지점, 하류지점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 건설이 어류의 서식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서성 어류의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사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 미소서식처 파괴와 같은 교란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저질상태, 유속 등을 고려한 오탁방지막과 침사지 설치와 같은 보전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엽산 산지계류에 있어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특성 (Habitat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a Headwater Stream in the Yeonyeopsan (Mt.))

  • 장수진;남수연;김석우;구효빈;김지현;이윤태;전근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4-344
    • /
    • 2020
  • 연엽산 산지계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24과 44종 658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참납작하루살이(Ecdyonurus dracon Kluge)가 13%로 우점하였다. 서식습성군으로는 붙는 무리(56%), 굴파는 무리(19%), 헤엄치는 무리(14%) 및 기는 무리(56%)의 총 4군집이 확인되었고, 1개소(UP1)를 제외한 모든 조사지점에서 붙는 무리가 우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식특성은 서식처의 유속, 수심, 계상재료 등 수리학적 요인과 용존산소, 수온 등 수질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유수가 정체하는 소(pool)보다는 유속이 빠른 여울(riffle, step-riffle)에서 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울에서는 수심과 관계없이 계상의 유속이 빠르고 계상재료의 중앙입경과 최대입경이 클수록 서식처에서 붙는 무리가, 유속이 느리고 계상재료의 중앙입경과 최대입경이 작은 서식처에서 굴파는 무리와 기는 무리가 우점하였다. 또한, 용존산소와 유속은 정의 상관관계(y = 0.6666x - 0.659, R2 = 0.0851)에 있으며, 굴파는 무리가 기는 무리와 붙는 무리보다 더 넓은 범위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이 얕을수록 일사량에 대한 수온의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수심과 수온은 부의 상관관계(y = -26.397x + 283.87, R2 = 0.1802)를 보였으며, pH와 수온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편, pH와 용존산소의 관계를 상·하류로 구분하여 서식특성을 파악한 결과, 군집과 상관없이 울페도가 68%로 높았던 상류에서는 높은 용존산소값과 낮은 pH를, 울페도가 51%로 상대적으로 낮았던 하류에서는 낮은 용존산소값과 높은 pH가 나타나, 계안림에 의한 부착조류의 증식과 수온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산지계류에 있어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산지계류가 청정지역으로 인식되어 연구 대상으로서의 관심도가 낮았던 부분의 자료를 보완하였다. 따라서 향후 산지계류의 보호 및 관리 측면에서의 연구 방안 마련과 학술적인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물음향 탐지기법을 이용한 한국 매미아과의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e Period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icadinae (Hemiptera: Cicadidae) in Korea Using Bioacoustic Detection Technique)

  • 김윤재;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4-600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매미아과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시기를 전국적으로 관측하여 종별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19개소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수집기간은 2019년 12개월간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은 매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를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온도는 미기상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시간당 1~2회씩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종은 국내 매미아과 9종이었다. 번식울음 분석은 매미종별 번식울음 시종점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지 19개소에서 출현한 매미는 9종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시기는 말매미(7/12~9/30), 애매미(7/27~10/20), 참매미(7/25~10/9), 유지매미(7/28~9/5), 털매미(7/3~9/29), 늦털매미(9/14~10/30), 소요산매미(6/26~8/2), 참깽깽매미(7/27~9/28), 쓰름매미(8/8~9/11) 순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35일(쓰름매미)~89일(털매미) 사이었고 평균 62일이었다. 종별 서식지 해발고도는 말매미(5~386m), 애매미(7~759m), 참매미(7~967m), 유지매미(42~700m), 털매미(7~700m), 늦털매미(5~759m), 소요산매미(7~759m), 참깽깽매미(397~967m), 쓰름매미(7~42m)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평균온도는 말매미(23.9℃), 애매미(21.8℃), 참매미(22℃), 유지매미(23℃), 털매미(22.9℃), 늦털매미(14.6℃), 소요산매미(20.6℃), 참깽깽매미(19.3℃), 쓰름매미(24.4℃)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분포는 애매미, 참매미, 털매미는 전국 15개소 이상 분포하였다. 말매미는 서남부 저지대에 분포하였다. 유지매미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 분포하였다. 늦털매미는 고산지대와 동남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요산매미는 산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깽깽매미는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쓰름매미는 평지형 습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내성천에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증강도입과 모니터링 (Augmentation and Monitoring of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cheon Stream, Korea)

  • 나진영;최병습;황상철;양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16-223
    • /
    • 2015
  •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반도 풍혈지의 종조성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 김진석;정재민;이병천;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1-89
    • /
    • 2006
  •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적 조사를 바탕으로 식물지리학적 중요성과 보존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국내 주요 풍혈지 7개소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풍혈지에서 한들고사리, 두메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월귤, 뚝지치 등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북방계 식물들이 조사되었다. 또한 수직분포면에서도 산우드풀, 민둥인가목, 요강나물, 산새풀, 집사초와 같은 아고산식물들이 해발이 낮은 풍혈지에 생육하는 특이성을 보이고 있었다. 풍혈지는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이 최후빙기 이후 이주과정에서 국소적 기후환경에 적응, 고립되어 있는 피난처로 판단되어진다. 고피난처인 풍혈지는 기상학, 지형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서식지 형태로 소집단으로 격리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 종들에 대한 보존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현지내 외 보존대책의 수립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