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viole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Neuroprotective Effect of Visnagin on Kainic Acid-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the Mice Hippocampus

  • Kwon, Min-Soo;Lee, Jin-Koo;Park, Soo-Hyun;Sim, Yun-Beom;Jung, Jun-Sub;Won, Moo-Ho;Kim, Seon-Mi;Suh, H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5호
    • /
    • pp.257-263
    • /
    • 2010
  • Visnagin (4-methoxy-7-methyl-5H-furo[3,2-g][1]-benzopyran-5-one), which is an active principle extracted from the fruits of Ammi visnaga,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low blood-pressure and blocked blood vessel contraction by inhibition of calcium influx into blood cells. However,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visnagin was not clearly known until now. Thus, we investigated whether visnagin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kainic acid (KA)-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the cresyl violet staining, pre-treatment or post-treatment visnagin (100 mg/kg, p.o. or i.p.) showe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KA ($0.1{\mu}g$) toxicity. KA-induced gliosis and proinflammatory marker (IL-$1{\beta}$, TNF-${\alpha}$, IL-6, and COX-2) inductions were also suppressed by visnagin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snagin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in terms of suppressing KA-induced pathogenesis in the brain, and that these neuroprotective effects are associated with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자외선(紫外線) 공기(空氣) 청정기(淸淨機)의 냉장고(冷藏庫) 살균(殺菌) 탈취(脫臭) 효과(效果) (Sterilizing and Deodorizing Effect of UV-Ray Air Cleaner for Refrigerator)

  • 전재근;이영진;김경만;이홍원;장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7
    • /
    • 1993
  • 소형 밀폐공간(48 liter)과 가정용냉장고(330, 450 liter)에서 살균 및 탈취효과를 가진 자외선공기청정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자외선램프의 자외선강도는 $2.38\;mW/cm^2$이며 강도증폭을 위하여 내부에 반사판을 설치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오존발생량은 $25^{\circ}C$ 에서는 0.08 ppm, $3^{\circ}C$ 에서는 0.06 ppm이었다. 본 장치를 사용하여 부유균에 대한 살균율은 공간(48 liter)에서는 12시간 가동 후 78.9%, 가정용냉장고에서는 80%을 보였다. 동장치는 $25^{\circ}C$에서 전기 방전식 오존탈취기에 비하여 2.5배, $3^{\circ}C$에서 2배의 탈취력을 보였다. 김치 냄새의 주요성분인 methyl mercaptan에 대한 탈취력은 $3^{\circ}C$에서 3배 이상이었다.

  • PDF

Tat-Fused Recombinant Human SAG Prevents Dopaminergic Neurodegeneration in a MPTP-Induced Parkinson's Disease Model

  • Sohn, Eun Jeong;Shin, Min Jea;Kim, Dae Won;Ahn, Eun Hee;Jo, Hyo Sang;Kim, Duk-Soo;Cho, Sung-Woo;Han, Kyu Hyung;Park, Jinseu;Eum, Won Sik;Hwang, Hyun Sook;Choi, Soo 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3호
    • /
    • pp.226-233
    • /
    • 2014
  • Excessiv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from abnormal cellular process lead to various human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ischemia, and Parkinson's disease (PD). Sensitive to apoptosis gene (SAG), a RING-FINGER protein, has anti-apoptotic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Tat-SAG, fused with a Tat domain, could protect SH-SY5Y neuroblastoma cells against 1-methyl-4-phenylpyridinium ($MPP^+$) and dopaminergic (DA)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SN) against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toxicity.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unlike SAG, Tat-SAG transduced efficiently into SH-SY5Y cells and into the brain, respectively. Tat-SAG remarkably suppressed ROS generation, DNA damage, and the progression of apoptosis, caused by $MPP^+$ in SH-SY5Y cells. Also, immunohistochemical data using a tyrosine hydroxylase antibody and cresyl violet staining demonstrated that Tat-SAG obviously protected DA neurons in the SN against MPTP toxicity in a PD mouse model. Tat-SAG-treated mice showed significant enhanced motor activities, compared to SAG- or Tat-treated mice.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at-SAG ha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ROS-related diseases such as PD.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해마-세포외액내 Glutamate와 Polyamine 농도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Glutamate and Polyamine Levels of Hippocampal Microdialysates in Response to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김형건;최상현;조소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9
    • /
    • 1994
  • 뇌-허혈후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손상에 glutamate의 과다한 유리와 그의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calcium 통로 활성작용 및 polyamine중 putrescine의 증가로 인한 신경세포내 $[Ca^{2+}]$의 상승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golian gerbil에서 5분간 경동맥을 차단하여 뇌-허혈을 가한후 재관류시 해마의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acetylcholine농도, 해마의 $[^3H]MK-801$ 결합능의 변동 및 해마조직소견의 변동에 미치는 비가역성 ornithine decarboxylase (ODC) 억제제인 difluoromethylornithine (DFMO), diamine oxidase (DAO) 억제제인 aminoguanidine (AG),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 및 calcium 통로 차단제인 nimodipine (NM)의 효과를 비교-검색하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및 acetylcholine은 microdialysis probe를 해마의 CA1부위에 위치시킨 후 나온 분취액을 HPLC와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해마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은 cresyl-violet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허혈후 해마 세포외액내 putrescine농도는 5분이내에 급속히 증가하여 뇌-허혈후 96시간까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G과 MK-801 처치시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증가정도가 상승되었으나 NM과 DFMO 처치로 putrescine의 증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glutamate의 농도는 허혈후 5분 이내에 9배이상 유의하게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되어 25분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으나, 이같은 변동은 AG, DFMO 및 MK-801 처치로 영향을 받지 않았고 NM 처치로는 glutamate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acetylcholine 농도는 허혈에 의하여 큰변동이 없었으나 허혈전 acetylcholine농도는 DFMO나 MK-801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synaptosome막의 $[^3H]MK-801$ 결합능은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AG과 MK-801 처치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해마의 조직소견상 AG과 NM은 허혈후의 신경세포손상을 억제하고, MK-801은 손상의 예방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DFMO는 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NM과 다른기전으로 AG은 해마신경세포의 손상을 NMDA-수용체: calcium 통로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허혈성 뇌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을 이용한 Methyl Tert-butyl Ether (MTBE)의 분해 Kinetic 및 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연구 (Degradation Kinetic and Mechanism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by the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

  • 김민경;공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69-75
    • /
    • 2006
  • 지하 저장 탱크로부터의 유류 유출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넓은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 Methyl tert-butyl ether(MTBE)는 대기 오염 감소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류 첨가제이지만 토양 및 지하수로 유입되어 섭취 되었을 때 발암 가능성이 있는 유독 물질이다. 본 연구는 고도 산화 처리 기법 중 유기 오염물의 분해에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고전적 Fenton reaction의 최대 단점인 강한 산성(pH 2.5-3) 의존성을 극복한 새로운 산화 처리 기법을 개발하여 고농도의 MTBE를 효과적으로 분해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여 자연 친화적인 chelating agents를 사용하여 중성 영역에서 Fenton re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인 Modified Fenton reaction과 Ultra Violet light(UV)를 이용하여 분해효율을 극대화 하는 Photo-assisted Fenton reaction을 응용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 system을 개발하여 최적 반응 조건 및 반응 차수, 반응 메커니즘을 밝혀내었다. 낮은 독성과 높은 생분해성을 나타낸 Citrate ion을 chelating agents로 선정하였으며 최적 반응 조건은 [$Fe^{3+}$] : [Citrate] = 1 mM : 4 mM, 3% $H_2O_2$, 17.4 kWh/L UV dose, 초기 pH 6.0이며 이 조건에서 1000 ppm MTBE를 분해한 결과 6시간 후 86.75%, 16시간 후 99.99%의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최종 pH는 6.02로 안정적이었다. 또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을 이용한 MTBE 분해 반응은 유사 1차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methoxy group이 ${\cdot}OH$ radical과 주로 반응하여 tert-butyl formate(TBF)가 주요 분해 산물이 되는 분해 경로를 따른 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로 개발된 Modified Photo-Fenton reaction에서 발생되는 산화제인 ${\cdot}OH$ radical의 비선택적 반응성을 고려할 때 본 system은 다른 종류의 유기 오염물 분해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큰용담 (Gentiana axillarifloa L,) 기내배양에서 화학돌연변이원 처리에 의한 돌연변이주 유기 및 RAPD 분석 (Induction and RAPD Analysis of Mutant Plants by Chemical Mutagens in Gentiana axillariflora Leveille)

  • 임정대;김명조;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9-94
    • /
    • 2000
  • 큰용담의 기내배양에서 EMS를 처리한 경우 돌연변이체를 선발하기에 최적의 농도는 200 uM이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존률이 저하되었으며 줄기는 가늘고 나선형으로 꼬이고 백화현상이 가장 심하였다. Colchicine의 경우 30일 까지는 전 농도에서 84~97%의 높은 생존률을 보였으나 60일 이후에는 농도에 따라 생존률의 차이가 보였다 변이체가 단간이며 왜소하였다. MNU의 경우 10 $\mu$M에서 200$\mu$M까지는 89~97%의 높은 생존률을 보이다가 500$\mu$M이상에서는 18.2%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변이체의 잎의 형태가 도피침형에서 주걱형과 도란형으로 변형된 것과 잎의 청색에서 진보라색으로 변형된 2가지 type의 변이체가 형성되었다. Sodium azide를 처리한 경우 적정농도는 80$\mu$M였고 60일 배양 시 전반적으로 30~50%의 균일한 생존률을 보였고 초장이 아주 작고 다분얼성 변이체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shoot의 길이를 비교하여 보면 sodium azide, MNU의 경우에서는 약 1.0cm내외인 반면 colchicine의 경우 0.5 cm내외로 저조한 길이 생장을 보였다. RAPD에 의한 돌연변이체의 확인에서 농도가 가장 높은 500$\mu$M에서 변이 band가 관찰되었으며 돌연변이 계통에서 새로 형성된 band의 수는 MNU에서 2개 NaN3에서 1개로 전부 3개 (8.1%)의 변이 band가 나타났다.

  • PDF

Nanotribology를 이용한 PMMA 박막의 Hardness와 Elastic Modulus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of PMMA Film using Nano-Tribology)

  • 김수인;김현우;노성철;윤덕진;장홍준;이종림;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72-376
    • /
    • 2009
  • 현대 반도체 공정에서 일정한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고 있으나 선폭의 감소로 인하여 기존 UV를 이용한 PR(Photoresist) 이외에 e-beam을 이용한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리소그래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리소그래피에 의하여 생성된 패턴은 이후 세정 공정에서 잔류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패턴 붕괴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 붕괴에 대한 방어력은 패턴 형성 물질의 탄성력(Elastic modulus)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PMMA의 soft-baking 이후 Hardness(H)와 Elastic modulus(Er)의 변화를 압입력을 25 uN에서 8,500 uN으로 134.52 uN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측정하였다. 또한 이 실험에서 Hardness(H)와 Elastic modulus(Er)는 Hysitron사의 Triboinden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압입팁은 Berkovich 팁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