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palmitat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단계와 MNNG 및 retinol palmitate 처리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stages of larval hindlimb development in th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and the effects of MNNG and reinol palmitate treatment on the limb development)

  • 박인식;김원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6
    • /
    • 1993
  •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 유생의 다리 발생 과정을 관찰하고 잠재적 돌연변이 유발물질인 제-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과 잠재적 기형 유발물질인 retinol palmitate가 다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상적인 개체에서 됫다리의 발생 단계는 외부와 내부의 형태적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7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전연골세포의 밀집에 따른 골격형성은 다리 발생아의 근위부에서 시작하여 원위부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롱뇽 유생을 MNNG(10 rpm)나 retinol palmitate(37.5 lpm)로 처리한 경우, 공통적으로 다리 원위부의 골격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골격 형성 억제 현상은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생을 저해하는 물질에 대한 미분화 상태의 세포들의 반응성이 발생과정 중 특정 단계에 국한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Neuraminidase Inhibitors from Mushroom Microphorus affinis

  • Kim, Kyung-Bum;Kim, Sang-In;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78-782
    • /
    • 2003
  • In the course of screening anti-influenza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four neuraminidase inhibitor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mushroom Microphorus affinis by purification using solvent parti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and semi-preparative HPLC.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lpha}-lupeol$, methyl linoleate, methyl palmitate, and methyl oleate by means of spectral data including GC-MS, $^1H-,\;and\;^{13}C-NMR\;with\;IC_{50}$ values of 5.65, 7.07, 7.12, and $7.52\;\mu\textrm{M}$, respectively. They did not inhibit other glycosidases such as glucosidase, mannosidase, and galactosidase, indicating that they were relatively specific inhibitors of neuraminid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ty acid structure and inhibi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case of an aliphatic linear hydrocarbon skeleton, at least one carboxyl (presumably any carbonyl) moiety and sixteen carbons were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potent inhibition, whereas saturated, unsaturated, free, and ester form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ity.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3보). 슈크로오스에스테르의 합성에 관한 동력학적 고찰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III). Kinetics of the Synthesis of Sucrose Esters)

  • 남기대;손주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290
    • /
    • 1981
  • N,N-디메틸포름아미드용매내 반응온도 50∼$90^{\circ}C$범위에서 과량의 슈크로오스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그리고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반응속도를 측정하여 반응속도정수, 활성화파라미터등을 구하여 고찰하였다. 이 반응은 본 실험범위내에서 유사 1차반응으로 진행하고 반응의 순서는 주로 메틸에스테르의 지방산기의 구조변화에 의존하면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메틸, 팔미트산메틸 올레산메틸 그리고 스테아르산 메틸의 순으로 반응되기 힘들어지는 엔탈피조절반응이라 생각된다. 한편 이들 각각의 활성화에너지는 9.3, 9.9, 10.3, 10.9 그리고 11.1 kcal/mole이 얻어졌다.

  • PDF

수용액상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에 대한 N-methyl acetamide의 영향 (Effect of N-Methyl Acetamide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s of Some Surfactants)

  • Alawi, Sadeq M.;Akhter, M. Salim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3-168
    • /
    • 2011
  • 다양한 농도의 N-methyl acetamide 수용액에서 계면 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계면활성제들 (sodium caprylate, sodium laurate, sodium palmitate, sodium stearate, sodium oleate, sodium dodecyl sulphate, lithium dodecyl sulphate)의 몰 전도도 변화를 $30{\pm}0.2^{\circ}C$의 일정온도에서 연구하였다.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임계 미셀 농도 (CMC)를 측정하였다. 수용액에 N-methyl acetamide이 공존할 때에는 여러 계면 활성제의 CMC 값이 수용액에서의 CMC 값보다 더 낮고, 미셀 형성에 대한 추진력은 소용매성과 관련되었다. N-methyl acetamide 수용액에서 양쪽성 자기-조직화를 추진하는 계면활성제-용매의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결과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미셀 시스템에 대한 열역학적 매개변수들을 추정하였다.

속수자의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 (Inhibitors of melanogenesis from Euphorbiae Lathyridis Semen)

  • 정민환;김현식;김호정;강상진;강세훈;김청택
    • 생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3
    • /
    • 2000
  • Two diterpenes and one new sucrose isovaleryl ester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melanogenesis in B16 mouse melanoma were isolated from Euphorbiae Lathyridis Semen which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cancer, tumors and warts. New sucrose isovaleryl ester was identified as ${\alpha}-D-glucopyranoside$, $3,4,6-tris-O-(3-methyl-l-oxobutyl)-{\beta}-D-fructofuranosyl$, 2,6-bis(3-methylbutanoate) and two diterpenes were identified as ingenol-20-palmitate and 5,10-diacetyl-3-benzoyllathyrol$(Euphorbia\;factor\;L_3)$ from their spectral data.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4보). 미오-이노시톨 에스테르의 합성과 계면활성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Ⅳ). Synthesis of myo-inositol Esters and their Surface Activities)

  • 손주환;남기대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1982
  • 미오-이노시톨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디메틸술폭시드 용매내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에스테르교환반응생성물은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각각의 에스테르를 분리할 수 있고 미오-이노시톨 모노에스테르는 향류분배 방법에 의하여 잘 분리할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의 수용액에 대한 표면장력, 기포력, 유화력등을 측정하고 색소법에 의한 임계미셀농도를 추정하고 HLB값을 산정하였다. 이 결과로 미오-이노시톨모노에스테르는 계면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Analysis of fatty acid methyl ester in bio-liquid by hollow fiber-liquid phase microextraction

  • Choi, Minseon;Lee, Soyoung;Bae, Sunyoung
    • 분석과학
    • /
    • 제30권4호
    • /
    • pp.174-181
    • /
    • 2017
  • Bio-liquid is a liquid by-product of the hydrothermal carbonization (HTC) reaction, converting wet biomass into solid hydrochar, bio-liquid, and bio-gas. Since bio-liquid contains various compounds, it requires efficient sampling method to extract the target compounds from bio-liquid. In this research,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in bio-liquid was extracted based on hollow fiber supported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HF-LPME) and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well-known major components of biodiesel, including methyl myristate, palmitate, methyl palmitoleate, methyl stearate, methyl oleate, and methyl linoleate had been selected as standard materials for FAME analysis using HF-LP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liquid was measured that the acidity was 3.30 (${\pm}0.01$) and the moisture content was 100.84 (${\pm}3.02$)%. The optimization of HF-LPME method had been investigated by varying the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time, stirring speed, and the length of HF at the fixed concentration of NaCl salt. As a result, optimal conditions of HF-LPME for FAMEs were; n-octanol for extraction solvent, 30 min for extraction time, 1200 rpm for stirring speed, 20 mm for the HF length, and 0.5 w/v% for the concentration of NaCl. Validation of HF-LPME was performed with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LOQ), dynamic range, reproducibility, and recover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HF-LPME was suitable for the preconcentration method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to characterize FAMEs in bio-liquid generated from food waste via HTC reaction.

복분자 열매의 화학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

  • 이종원;도재호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심포지움
    • /
    • pp.53-53
    • /
    • 2000
  • 최근 복분자(산딸기)의 효능을 이용한 일반식품 및 기능성 식품 등의 제품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차원의 연구분야 일환으로서 먼저 복분자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무기성분 및 향기성분 등을 보고한 후 앞으로 생리 활성 연구 분야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하여 학문적 자료 및 산업에 응용할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복분자의 수분은 5.39%, 총당은 17.3%, 환원당은 8.6%, 조단백질 10.6%, 조회분은 4.5%, 조지방은1.7%, 조섬유는 3.9%이고, 유리당 함량은 sucrose 1.52%, fructose 3.98%, glucose 1.24%이고,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10.2%, oxalic acid 6.29%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malic acid 1.94%였다. 총 아미노산은 7914.1mg%이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2622.5mg%로 나타났다. 복분자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1260.3%, 그 다음은 glutamic acid 1054.3%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성분 K가 387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복분자에서 총 52종의 성분이 화인되었는데 확인된 성분들은 관능기별로 분류하면 amylalcohol를 포함한 alcohol류 11종, valeric acid를 포함한 acid류 13종, hexanal를 포함한 carbonyl류 20종, 2-heptanone를 포함한 hydrocabon류 5종 그리고 methyl palmitate를 포함한 ester류가 3종 이었다. 관능기별로 확인된 성분들의 총 peak area%를 살펴보면 alcohol류 11.56%, acid류 38.87%, hydrocarbon류 2.89%, ester류 0.80%, 총 70.32%가 확인되었다. Alcohol류에서 linalool가 3.78%, acid류에서는 caproic acid류가 14.40%, carbonyl류에서 2-hydroxy-4-methoxyacetophenone이 2.99%, hydrocabon류에서는 aromadendrene가1.59% 그리고 ester류에서는 methyl palmitate가 0.43%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 PDF

국내산 참당귀 추출물의 휘발성 향기성분

  • 곽재진;이재곤;장희진;김옥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0-217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extracts produced from the domestic angelica root, which are oleoresin and absolutes type, for tobacco flavoring materials were isolated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were analyzed by GC and GC/MSD. And the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leoresin were compared with volatiles isolated from absolutes. A total of 65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angelica root extracts, from which 41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oleoresin volatiles, contained 15 hydrocarbons, 12 alcohols, 6 acids, 10 esters and 2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hexadecanoic acid (7.79%), methyl palmitate (6.49%), ethyl palmitate (2.02 %) and sesquiterpenes and sesquiterpene alcohols, such as elemol (2.92 %), ${\gamma}$-selinene (2.19%), $\beta$-selinene (2.02%), $\alpha$-eudesmol (3.49%) and $\beta$-eudesmol (6.12%). On the other hand, volatiles of absolutes, from which 60 components were identified, contained 28 hydrocarbons, 14 alcohols, 5 acids, 10 esters and 3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hyrocarbons, such as undecane (5.11 %), dodecane (3.10%) and pentadecane (1.14 %), and $\alpha$-muurolene (1.64 %), ${\gamma}$-selinene (1.49%), $\beta$-selinene (2.12 %), $\alpha$-eudesmol (2.25%), $\beta$-eudesmol (4.87%), hexadecanoic acid (12.67%) and hexanoic acid (1.87 %).

  • PDF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살선충 효과 (Nematicidal Activity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Terthiophene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신진희;권오경;이채민;이상명;최용화;김진호;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5
    • /
    • 2016
  •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류에 기생하여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선충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산림해충의 하나이다. 살아있는 나무에서 소나무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방제법은 나무주사 방법이 가장 실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의 나무주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46종의 키르기즈스탄과 88종의 베트남 식물체 및 21종의 식물유래 활성물질(${\alpha}$-terpinene, ${\alpha}$-pinene, ${\beta}$-thujaplicin, cinnamaldehyde, eugenol, emodin, geraniol, limonone, methyl palmitate, matrine, myrcene, methyl gallate, nicotine, quassin, resveratrol, rotenone, thymol, thujaplicin, terthiophene, tuberstemonine, ${\gamma}$-terpinene) 들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식물체 추출물들 중에서는 베트남에서 구입한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높았으며 식물체 유래 활성물질들 중에는 terthiophene의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았다. Terthiophene의 곰솔 수간 살포는 22일차까지는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효과가 없었다. 한련초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나무주사 효과와 다른 식물기생성선충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살선충제로의 활용성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