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metacrylat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방부성(防腐性) 발수제(撥水劑)와 methyl metacrylate 이중처리(二重處理)에 의(依)한 붕소화합물(硼素化合物) 처리재(處理材)로부터 붕소(硼素)의 용탈(溶脫)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 (Preliminary Study of the Leaching Resistance of Boron from Borate Treated Wood by the Dual Treatment with Water-Repellent Preservative and Methyl Metacrylate)

  • 김규혁;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13-18
    • /
    • 1994
  • Sapwood samples of pitch pine were treated with disodium octaborate alone by dip-diffusion, or in combination with water-repellent preservative(WRP) and methyl metacrylate(MMA). Treated samples were subjected to an accelerated leaching test for determining the improvement of leaching resistance and to soft rot and mold tests for evaluating the increase in bioefficacy, due to the addition of WRP and MMA applied as a second treatment. The addition of WRP and MMA retarded leaching of boron to some extent from treated samples and this retardation can be explained by improved water repellency of WRP and MMA treated samples. Borate /WRP and borate /MMA systems will not qualify borate treated wood for ground and fresh water contact use but may improve performance of borate treated wood in above-ground applications not subjected to continuous wetting conditions. Bioefficacy against soft rot fungi and mold fungi was improved by a second treatment with WRP. However,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borate /MMA systems was not observed. Considering improvement in both resistance of leaching and bioefficacy against micro fungi by the treatment of WRP and MMA, simultaneously, the dual treatment of borate treated wood by MMA containing co-biocides might be believed as an ideal treatment system.

  • PDF

Flexural Properties of Heat-Treatment Samama (Anthocephalus macrophyllus) Wood Impregnated by Boron and Methyl Metacrylate

  • CAHYONO, Tekat Dwi;DARMAWAN, Wayan;PRIADI, Trisna;ISWANTO, Apri He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76-85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boron compounds, methyl methacrylate (MMA), and heat treatment (HT) on changes in the density, moisture content, and flexural properties of samama (Anthocephalus macrophyllus) wood. Samama wood was impregnated with borax (BX) and boric acid (BA) using a pressure method at 5 atm for 4 h. Afterwards, the wood was impregnated with MMA at the same pressure and duration. Finally, the samama wood was given HT at 90 ℃ and 180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weight gain of 93.4% in the wood impregnated using BA and MMA monomer and HT at 90 ℃. Consequently, the wood's density increased by 82.3%. Increased MOE and MOR percentages of 32.2% and 29.4%, respectively, were also found. HT at 180 ℃ degraded the wood components and MMA, and consequently, the density, MOE, and MOR also decreased. The wood impregnated by BX, BA, and MMA, and subjected to HT also had decreased moisture content (MC).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the application of boron (BX, BA) should be combined with an MMA monomer and HT at 90 ℃ as an alternative method to improve samama wood quality. If darker color is preferable, HT should be conducted at 180 ℃.

나노스케일 박막의 표면주름 형성을 통한 산란반사도 향상 (Diffuse Reflectance Enhancement through Wrinkling of Nanoscale Thin Films)

  • 김윤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2호
    • /
    • pp.1245-12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나노스케일 박막의 표면주름 형성에 의한 산란반사도 향상을 평가하였다. 실리콘 기판 위에 120 nm 두께의 Poly(methyl metacrylate) 층을 스핀코팅(spin-coating)한 후, 20 nm 의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95^{\circ}C$의 온도로 2 시간 동안 풀림처리하여 표면주름을 형성하였다. 분광광도계로 가시광선 영역의 산란반사도를 측정한 결과 400 nm 파장에서 40%의 증가를 보였으며, 표면주름 위에 100 nm 의 은박막을 추가적으로 증착한 경우 산란반사도가 50%까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란반사도의 증대를 요구하는 박막형 소자에 표면주름을 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아세칠화 WPC 이중개질처리에 의한 전통창호 소나무재의 물성 개선 (Wood Modific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for korean traditional latticework by combined treatment of Acetylation followed by Styren-Methyl metacrylate impregnation)

  • 이화형;이민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0
    • /
    • 2003
  • Wood cell-wall modification with acetic anhydride, lumen filled with styren monomer and methyl methacrylate, and a combination of these two treatments were studied for their effectiveness for dimensional stability. Compared to those of untreate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sole acetylated red pine, The combination of acetylation and impregnation with methy methacrylate greatly reduced water absorption, increased ASE to the best and gave better bending strength and compression strength.

  • PDF

PCM 캡슐의 크기가 아크릴 코팅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CM Capsule Sizes on the Properties of Acrylic Coatings)

  • 허순령;이성구;최길영;이재흥;홍근혜;김형중
    • 접착 및 계면
    • /
    • 제6권1호
    • /
    • pp.11-18
    • /
    • 2005
  • 심물질(core)이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고, 벽물질(shell)이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캡슐의 크기가 아크릴 코팅(acrylic coating)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CM 캡슐의 크기를 $3{\sim}25{\mu}m$로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캡슐의 심물질 함량과 캡슐의 크기는 DSC와 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아크릴 에멀젼은 butyl acrylate, methyl metacrylate와 acrylic acid를 공중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PCM 캡슐과 아크릴 에멀젼을 혼합하여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캡슐의 크기가 작을수록 아크릴 코팅 필름 내에 캡슐이 잘 분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캡슐의 크기가 클수록 필름 표면이 매끄럽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필름의 수분 흡수율은 PCM 캡슐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필름의 인장 강도와 신율은 캡슐의 크기가 작을수록 증가하였다.

  • PDF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 첨가재의 계면 특성화 (Interfacial Characterization of Mineralized Carbon Nanotubes)

  • 박찬욱;정지원;윤군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5호
    • /
    • pp.282-287
    • /
    • 2018
  • 본 연구는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 기지재료의 강화재로 사용할 때, 계면 결합력이 기존 탄소나노튜브 강화재에 비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탐구한다. 최근 탄소나노튜브에 질소를 도핑한 후 표면을 광물화 하는 실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재료의 강화제로 첨가되었을 때 보일 수 있는 물성 증가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광물질로는 실리카($SiO_2$)를 사용했고 고분자 기지재료로는 열 가소성 수지인 poly(methyl metacrylate) (PMMA)를 사용했다. 계면 결합력과 계면 전단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강화재를 기지재료로부터 빼내는 pull-out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다. 계산 결과, 실리카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기지재료와 향상된 계면 상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진은 향후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 강화재가 첨가된 나노 복합재료의 열 기계적 물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

플라즈마 중합 PPMMA의 유전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lasma - polymerized methyl methacrylate (PPMMA))

  • 박종관;박재윤;박상현;이덕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정기총회 및 창립40주년기념 학술대회 학회본부
    • /
    • pp.304-306
    • /
    • 1987
  • The dielectric loss ($tan{\delta}$) and the Capacitance (C) of the PPMKA(plasma-polymerized methyl metacrylate) films were measured in the frequency range of 1KHz - 5MHz at $25^{\circ}C$. The effects of the oxidation and the heating and the plasma treatment for $tan{\delta}$ and C of PMMA were investigated. Dielectric loss of PPMMA films was inceased with the oxidized products like CO and OH. As condidates for their origin the existence of low molecula moieties and free radicals in the PPMMA, and the crosslinking made by the heating and plasma treatment have been considered.

  • PDF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