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sis(傳移)

검색결과 1,007건 처리시간 0.025초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의 암전이 억제에 미치는 Diallyl Disulfide의 효과 (The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on Antimetastatic Potential of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 강미경;전혜승;염영나;황명실;박미선;김옥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49-356
    • /
    • 2006
  • Diallyl disulfide (DADS), an oil-soluble organosulfur compound in garlic has been reported to suppress tumor growth and to induce apoptosis in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ADS on pulmonary metastasis of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DADS (i.p. 40 mg/kg) significantly (p<0.05) reduced the number of pulmonary metastatic nodules (48%) in experimental pulmonary metastasis assay. We also found that DADS inhibited adhesion, invasion and migration of B16-F10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study the antimetastatic potential of DADS, we performed the effects of DADS on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DAD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ctivity in B16-F10 cells by gelatin zymograp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DS prevent metastasis in part through suppression of migration of B16-F10 melanoma cells by Inhibiting matrix metalloproteirase-2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extracellar matrix.

개에서 림프절 전이와 유미흉을 동반한 심낭막 중피종 증례 보고 (Pericardial mesothelioma in a dog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chylothorax)

  • 이정하;이수형;고두민;김대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73-276
    • /
    • 2016
  • Pericardial mesothelioma is a rare neoplasm in dogs.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pericardial mesothelioma in a 13-year-old Shih Tzu that presented with a clinical history of dyspnea. Hemorrhagic pericardial effusion and chylous pleural effusion with reactive mesothelial cells were identified by radiograph and cytology. Necropsy revealed multiple round nodules throughout the pericardium and regional lymph nodes in addition to chylothorax. Histopathology revealed invasive neoplasm on the pericardial surface with metastasis to the lymph nodes. The neoplastic cells were immunopositive to both cytokeratin and vimentin. Diagnosis of pericardial mesothelioma with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made.

폐 전이 암에 대한 Lipid Coated Polymeric Nanoparticles에 관한 연구 (Study of Lipid Coated Polymeric Nanoparticles for Lung Metastasis)

  • 박준영;박상효;조예림;정민지;김인우;강원준;기재홍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47-152
    • /
    • 2018
  • Lung cancer and pulmonary metastasis are the leading cause of cancer mortality worldwide. Survival for patients with lung metastases is about 5%. Nanoparticl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imaging and treatment of various cancers, including pulmonary malignancies. In this work, we report lipid coated polymeric nanoparticles (LPN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154 nm. In vivo performance of LPNs was characterized using optical imaging system. We expect this nanoparticle can be used for finding lung cancer or lung metastasis. Eventually loading therapeutic drug with the nanoparticle will be utilized for cancer diagnosis and effective therapy at the same time.

폐 전이된 진행성 직장암의 항암화학치료 후 부종에 대한 태음인 치험 1례 (A Case Report on Edema after Chemotherapy for Advanced Rectal Cancer with Lung metastasis in a Taeeumin Patient)

  • 이혜리;장하림;이준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22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wiseungcheong-tang on edema after chemotherapy for advanced rectal cancer with lung metastasis in a 51-year-old female patient. Methods A 51-year-old Korean female patient diagnosed with advanced rectal cancer with lung metastasis was treated with Jowiseungcheong-tang. The treatment was executed two times everyday from March 13th to September 8th of 2021 except for the chemotherapy period. Clinical improvement was evaluated with Numeric Rating Scale.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in Numeric Rating Scale and she no longer complained of edema after the chemo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Jowiseungcheong-tang may be an effective additional treatment for edema after chemotherapy in a patient with advanced rectal cancer with lung metastasis.

통합암치료를 적용한 폐전이 동반 췌장암 환자의 장기간 추적관찰 증례보고 (Long-Term Follow-up of Pancreatic Cancer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Using Integrated Cancer Treatment: A Case Report)

  • 오유나;박경덕;정유진;김지수;정범진;방선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65-773
    • /
    • 2023
  • Objective: This long-term case report details a case of pancreatic cancer with lung metastasis suppressed by integrative cancer medicine (IMT). Methods: A 64-year-old woman diagnosed with pancreatic cancer visited a Korean medicine hospital complaining about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for lung metastasis. She received IMT involv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Western immunotherapy from May 2017 to June 2023. Tumor dimensions were assesse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CT) and positron-emission tomography/CT scans, while tumor markers and safety were monitored by laboratory tests. Results: IMT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ancer, as observed by imaging and laboratory tests. The patient achieved 5-year survival, even after discontinuing chemotherapy. Conclusion: This case presents a potential therapeutic alternative for patients who are ineligible for chemotherapy or surgical interventions.

유방암 환자의 전초림프절 생검에서 유방림프신티그라피와 수술 중 감마프로우브의 유용성 (Use of Mammary Lymphoscintigraphy and Intraoperative Radioguided Gamma Probe in Sentinel Lymph Node Biopsy of Breast Cancer)

  • 김순;전석길;김유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8-486
    • /
    • 2000
  • 목적: 조직 검사에서 유방암으로 확진된 환자 15명 (평균 연령 50.4세)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시행한 유방림프신티그라피(lymphoscintigraphy)와 수술 중 감마프로우브를 이용하여, 림프관 유입형태 및 전초림프절(sentinel lymph node)을 찾아, 전초 및 액와림프절을 각각 절제, 생검하여, 전초 림프절의 림프신티그라피 발현율, 전초림프절 전이와 액와림프절 전이의 상관 관계 등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임상병기는 병기 I-II 이었고, 4례에서 액와림프절이 촉지되었다. 침습성 관암 13명, 수질암 및 포도당 풍부암이 각각 1명씩이었다. 유방림프신티그라피는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방사성의약품 Tc-99m antimony sulfide colloid $30{\sim}37MBq$을 총 0.4 ml 용량으로 만들어, 원발 종괴에서 $2{\sim}3mm$ 떨어진 위치의 12, 3, 6, 9시 방향에 각각 0.1 ml를 피내 주사하고 약 2분 동안 마사지하였다. 저에너지, 고해상도 평행 조준기를 이용하여 초기 동적 영상(10 sec/frame)을 10분간 시행하였으며, 이어서 5분 간격으로 $30{\sim}60$분에 걸쳐 초기 정적영상을 얻었고, 주사 후 2시간에 지연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각각의 영상을 비교하여 전초림프절과 유입 림프관을 확인하였다. 유방림프신티그라피검사가 끝나면 즉시 수술실로 옮겨 전초림프절이라고 판독된 부위를 감마프로우브로 찾아 림프절의 계수와 배후 방사능을 측정하였고, 이 부위를 절개하여 조직을 떼어내 표지하고 생검하였으며, 그 외에 배후 방사능보다 높은 계수를 보인 부위가 있으면 따로 표지하여 조직 검사를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원발 종양의 절제술과 액와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15명 가운데 14명에서 유방림프신티그라피 및 수술 중 감마 프로우브로 전초림프절이 발견되었다(전초 림프절 검출율: 93.3%). 유방림프신티그라피로 발견된 평균 전초림프절수는 $2.47{\pm}2.00$개였으며, 감마프로우브를 이용하여 수술로 절제된 평균 전초림프절 수는 $2.36{\pm}1.96$개였다. 초기 동적 유방림프신티그라피에서 전초림프절로 유입되는 림프관이 총 15명 중 3명에서 관찰 할 수 있었으며(20%), 3명에서는 전초림프절이 2시간 지연 영상에서만 발견되었다(20%). 유방림프신티그라피에서 전초림프절이 나타난 시간은 평균 $33.4{\pm}48.4$분이었다. 전초림프절의 조직 생검 결과 14명 가운데 7명의 전초림프절에서 전이 소견이 관찰되었고(50%), 이 중 5명 환자의 액외림프절에서 전이가 보였다(예민도: 71.2%). 그러나 전초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던 7명 가운데 2명은 액와림프절에서 전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초림프절에 전이가 없었던 7명 환자에서는 모두 액와림프절에서도 전이 소견을 관찰 할 수 없었다(특이도: 100%). 유방림프신티그라피 및 수술 중 감마프로우브로 전초림프절을 발견 할 수 없었던 1명에서 액와절제술 후 액와림프절 조직에서 림프절에 전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따라서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림프신티그라피와 수술 중 감마프로우브를 이용한 전초림프절 생검은 액와림프절 전이 평가에 있어 높은 예민도와 특이도를 나타내므로 불필요한 액와림프절 절제술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소세포폐암의 수술 성적 (Surgical Resection of Small Cell Lung Cancer(SCLC))

  • 정경영;홍기표;김길동;김대준;김주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95-1199
    • /
    • 1998
  • 배경: 소세포폐암에 있어 수술의 적응은 제한적이었으며 수술의 결과에 대하여서도 논란이 많다. 대상 환자는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신촌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수술한 9명의 환자로서 남자가 8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2세(range; 35∼76세)이었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전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었던 예는 5예이었으며 4예에서의 수술전 진단은 분화가 안된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수술은 전예에서 폐절제술 및 종격동림프절박리술을 시행하였고 폐단엽절제술이 5예, 폐단엽절제술과 분엽절제술 및 늑골을 포함한 En-block 절제 1예, 폐이엽절제술 2예, 전폐절제술 1예 등이었다. 결과: 수술사망 예는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 1예, 심부정맥 1예 등이 있었다. 수술 후 전예에서 소세포암이 확인되었고 수술 후 병기는 T1N0M0 1예, T2N0M0 4예, T3N0M0 1예, T3N1M0 1예, T2N2M0 1예, T4N0M0 1예이었다. 수술 후 5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4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예에서 추적이 가능하여 평균 추적기간은 평균 33.0개월(1-63개월이었고 추적기간중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 6예 중에서는 1예에서만 장골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나 생존해있고, 림프절로의 전이가 있거나 T4 병변인 3예에서는 2예는 국소 부위, 1예는 뇌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중 2예는 사망하였다. 결론: 소세포폐암에서도 TNM 병기가 유용하며 종격동 또는 구역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 후 성적이 양호하여 초기 병기의 소세포폐암 환자에서는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적극적인 수술 절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방암 환자에서 액와부 림프절 전이를 시사하는 자기공명영상 소견 (MRI Findings Suggestive of Metastatic Axillary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Invasive Breast Cancer)

  • 김가은;김신영;고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20-631
    • /
    • 2022
  • 목적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림프절 전이를 시사하는 소견들에 따른 진단 성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유방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고 유방암 수술을 시행한 192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상 소견에서 림프절의 크기와 장경/단경의 비율, 피질의 두께와 모양, 변연, 수질의 소실, 비대칭성, T2 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 이른 조영증강의 정도, 조영증강의 역학을 조사하였다. 수신자판단특성곡선 분석, 카이 분석과 t-검정, 맥니마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단경의 증가, 피질의 불규칙한 모양과 피질 두께의 증가, 수질의 소실, 비대칭성, 피질의 불규칙한 변연 그리고 T2 강조영상에서의 낮은 신호강도는 전이를 시사하는 의미 있는 소견이었다. 이중 단경과 피질의 두께에 대해 수신자판단특성곡선 분석으로 각각 8.05 mm와 2.75 mm로 절단값을 얻었다. 2.75 mm 이상의 피질 두께, 피질의 불규칙한 모양은 맥니마 검정으로 다른 소견들과 비교할 때 민감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질의 불규칙한 변연(100%)은 가장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유방 자기공명영상의 전이 림프절 분석에서 2.75 mm 이상의 피질 두께와 피질의 불규칙한 모양은 다른 소견들보다 높은 민감도를 보이고 피질의 불규칙한 변연은 가장 높은 특이도를 보이는 소견이다.

갑상선 미세유두암의 고주파 절제술 후 10년 경과 관찰 (Radiofrequency Ablation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A 10-Year Follow-Up Study)

  • 서유경;조성휘;심정석;양고은;조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14-922
    • /
    • 2021
  • 목적 이 연구는 갑상선 미세유두암을 고주파 절제술로 치료한 후 10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들의 결과를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갑상선 미세유두암을 고주파 절제술로 치료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해 갑상선 미세유두암으로 진단을 받았고, 병변은 갑상선 내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전이의 증거가 없었고, 수술이나 전신마취가 의학적으로 부적합하거나 수술을 거부한 환자들이었다. 고주파 절제술은 고주파 발생기와 냉각기를 사용하여 한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시행하였다. 우리는 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소작된 종양의 변화, 재발 여부, 국소 또는 림프절 전이 등에 대해 초음파 영상 소견과 의무 기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기간은 130.6개월(범위, 121~159개월) 이었다. 세 명의 환자는 한 번의 고주파 절제술을, 두 명의 환자는 두 번의 시술을 받았다. 다섯 명의 환자 모두 시술과 연관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다섯 개 중 세 개의 종양은 시술 후 완전히 사라졌으며 두 개의 종양은 최소한의 흔적으로 남아 평균 16.8개월의 경과 관찰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가장 최근의 경과관찰에서 다섯 명의 환자 모두 국소 전이나 림프절 전이는 보이지 않았고 갑상선 글로불린(thyroglobulin)의 수치도 정상 범위였다. 결론 고주파 절제술은 수술에 부적합하거나 수술을 거부하는 저위험 갑상선 미세유두암 환자들에 대해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구강 및 악골에 생긴 전이 암종 (METASTATIC CARCINOMA OF ORAL CAVITY)

  • 김창수;이정훈;안희용;정상철;최홍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42-147
    • /
    • 1990
  • 구강내에 발생하는 암종은 원발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신체내 다른 부위의 원발성 암종에 의해 이차적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Clausen 과 Poulsen에 의하면 원발성 암종중에서 breast, lung, kidney, thyroid의 순으로 구강내 전이암종을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에 의하면 구강 및 악골에 발생한 전이암종 중에서 약 70%가 adenocarcinoma 이며 주로 혈행적(hematogenous) 전이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전이는 일차적으로 악골내에, 이차적으로 연조직에 전이되며, 이로인해 발생한 악성 전이 암종은 구강내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약 1%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의 발견이 어려운 것은 악골에 대한 일상의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환자 자신이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교실에서는 문헌상 빈도수가 적은 gall bladder cancer 와 pancreatic tumor 에서 전이된 암종이 특이하게 악골내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연조직에만 발생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