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sis(傳移)

검색결과 1,010건 처리시간 0.028초

다발성 근골격계 전이로 오인된 신세뇨관 산증이 동반된 Sj$\"{o}$gren 증후군 (Sj$\"{o}$gren's Syndrome with Renal Tubular Acidosis mimicking Multiple Skeletal Metastasis)

  • 정국진;유정한;노규철;이동녕;윤회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47
    • /
    • 2007
  • Sj$\"{o}$gren 증후군은 외분비샘에 임파구 침윤으로 발생한 안구와 구강 건조를 특징적인 증세로 하는 만성적이며 서서히 진행하는 자가면역질환이나 저자들은 건조성 증세 없이 전신적 증세만을 호소하였으며 방사선 검사상 다발성 근골격계 전이로 오인되었으나 신세뇨관 산증을 동반한 일차성 Sj$\"{o}$gren 증후군으로 확진되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거골에 발생한 골육종 - 증례 보고 - (Osteosarcoma of the Talus - Case Report -)

  • 김병석;임호영;조재현;김태홍;이기범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0-95
    • /
    • 2002
  • 42세 남자 환자가 우측 족관절부에 4개월 동안 증가하는 동통 및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 및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상 우측 거골 경부의 골내부 및 피질골 파괴소견을 보였다. 병리소견은 고악성도의 골형성 골육종이었다. 두 사이클의 수술전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족관절부의 종괴는 커졌고 폐전이로 진행되었다. 원발 병소에 대하여 슬관절하 절단, 폐전이에 대하여 쐐기모양 폐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수술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술후 10개월에 폐전이로 환자는 사망하였다.

  • PDF

CT상 고혈관성 위용종으로 보이는 전이성 신세포암: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Manifesting as a Gastric Polyp on C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현진;박범진;성득제;김민주;한나연;심기춘;이유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425-431
    • /
    • 2022
  •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이하 RCC)으로 인한 위전이는 매우 드물며, 모든 신세포암 사례의 0.2%에서 발생한다. 낮은 유병률로 인해 영상 소견은 아직 정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로 RCC로 인한 위전이는 영상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70세 여성에서 발생한 RCC의 위전이 사례와 영상 소견을 보고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을 검토하여 영상 소견을 정리하였다. 위에 고조영 증강 용종이나 종괴가 새로 보이는 경우, 신세포암에 의한 전이암의 감별이 필요하다.

폐에 전이된 거대 연조직 육종(혈관외피세포종, 활막육종) -수술치험 2례- (Metastatic Giant Pulmonary Soft Tissue Sarcomas (Hemangiopericytoma, Synovial Sarcoma) -Two Case Report-)

  • 김길동;정경영;신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63-67
    • /
    • 1994
  • We report two cases of giant soft tissue sarcomas metastatic to the lung from lower extremities. The lung metastasis occurred 2 years later from original diagnosis in 27-year-old woman with hemangiopericytoma and 8 years later in 54-year-old woman with synovial sarcomtt. We had performed pleuropneumonectomies with partial resection of pericardium involved. The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as begun.

  • PDF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의 뇌전이에 대한 급속분할조사법 (Accelerated Fractionation In The Treatment of Brain Metastasis From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 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65-173
    • /
    • 1994
  • 목적 : 폐암환자에 있어서 뇌전이는 심각한 문제이며 또한 장기간 생존을 기대할 수가 없다. 종양억제효과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만발 장애를 감소시켜 전체 치료기간을 가능한 단축시키기 위하여 비소세포성 폐암화자의 뇌전이에 대한 다분할 조사법인 급속분할조사법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되어 뇌전이가 발생한 24명의 환자에게 6시간 간격으로 2Gy씩 하루 2회로 총 48Gy를 전뇌에 조사하였다. 단일 병소는 전뇌에 40Gy 조사후 치료범위를 축소하여 8Gy를 추가하였다. 총 26예증 신경증상이 점차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 2명은 방사선치료를 중단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도중에 3명은 급성 방사선효과로 오심과 구토를 호소하였으나, 방사선량 증가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통상적인 치료방법인 2주에 30Gy를 조사한 경우(4.5개월)보다 48Gy의 급속분할조사에 의한 방사선치료법이 중간생존기간을 향상시켰으나(7개월)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뇌에 국한된 전이 환자와 활동수행 상태가 양호한 군이 다발성 전이나 활동수행상태가 불량한 군보다 중간생존기간과 반년생존율에 있어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결론 : 뇌전이 단독소견과 양호한 활동수행능력 상태등 양호한 예후인자를 가진 환자는 생존기간 향상이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로 환자의 quaility of life를 고려하여 하후 1회 치료법과 2또는 3회치료법을 비교하는 다자간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우측 폐로 전이된 전이성 다형태 선종 -증례 보고- (Metastasizing Pleomorphic Adenoma in Right Lung -A case report -)

  • 정원상;남승혁;강정호;김영학;김응수;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43-146
    • /
    • 2007
  • 이하선에 생기는 전이성 다형태 선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나 임상적으로는 전이를 일으키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병변이다. 저자들은 이하선의 다형성 선종으로 절제술을 경험한 57세 남자에게서, 4년 후에 흉막과 우측 폐, 종격동, 심낭, 늑간근의 다발성 전이를 진단하여 전이암 절제술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진행성 간암 환자에서 편도 전이에 FDG 섭취증가를 보인 예 (A Case of Metastatic Tonsillar Lesion Showing Increased FDG Uptake in the Patient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 박정미;김희경;김상균;김영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1호
    • /
    • pp.70-73
    • /
    • 2008
  • A 65 year-old man with hepatocellulcar carcinoma (HCC) admitted to treat left lower leg swelling and pus discharge suspecting osteomyelitis. MRI of his lower leg revealed the bone metastasis. Whole body FDG PET/CT additionally detected left shoulder and right ilium metastasis. Hematemesis suddenly developed in this patient after 3 weeks. Metastasis of right tonsil was histologically proven. When we reviewed his FDG PET/CT, there was asymmetric mild hypermetabolism in the right tonsil. When focal hypermetabolism is shown in the organ physiologically taking glucose up such as tonsil, we should cautiously assess whole body PET/CT in the examination of distant metastasis. We present a patient with multiple distant metastasis including tonsil from HCC showing increased FDG uptake with the literature review.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의 흑색종에 대한 전이억제효과 (Effects of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on Inhibition of Melanoma Metastasis)

  • 김형근;한기숙;이도익
    • 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1-606
    • /
    • 2000
  • Recently, studies on missile antitumor drugs, which selectively act on tumor cell and display drug effects, have been performed. These missile antitumor drugs which can increase drug effects and decrease side effects, are ideal medication method. Lectin has been reported as tumor cell specific binding protein and tannin as antitumor substance. In this study, we studied inhibition of melanoma metastasis by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and used praecoxin A as ellagitannin source. Mouse melanoma cell, B16-F10, was injected into the sole of forefoot of C57BL/6 mouse, and after administration with drug, the number of pulmonary tumor colony was counted. The administration of praecoxin A,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was started after amputation of established tumor foci at right forefoot of mice and continued for 3 weeks with i.p. injection of one of those drugs A every 24 hours. Lectin-praecoxin A mix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spontaneous pulmonary metastasis. Exposure to 5 mg/kg of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38.3%, 41.8% reduction in the number of remaining pulmonary metasta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stasis inhibition by lectin-praecoxin A mixiture and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are better than that of praecoxin A.

  • PDF

폐암 환자에서 혈청 soluble ICAM-1농도의 변화 (Changes of Serum soluble ICAM-1 level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류완희;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27-535
    • /
    • 1996
  • 연구배경 : 내피세포와 백혈구 및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sICAM-1은 백혈구 표면의 배위자인 (ligand)인 LFA-1과 결합함으로서 염증성 질환 이외에 악성 종양의 전이와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혈청내 sICAM-1의 농도가 악성 흑세포종의 전이와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또한 sICAM-1의 이형이 여러 질환에서 발견되고 이들의 혈청 농도의 증가는 위암, 대장암, 담낭암, 췌장암의 간전이와 관련되며, 악성 흑세포종 환자의 생존율의 감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폐암에서는 이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 환자의 혈청에서 sICAM-1을 측정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와 진행 및 전이의 정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폐암의 진단적 가치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폐암을 진단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은 비슷한 연령의 다른 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생검이나 경피적 세침 흡입술을 이용하여 확진을 하였으며, 각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진행정도를 알기 위하여 TNM system 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소세포 폐암은 limited stage와 extensive stage로 분류하였다. Genzyme사의 Predicts sICAM-1 ELI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sICAM-1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소세포 폐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나, extensive stage군에서 limited stage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편평상피암군에서 혈청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stage IIIa기 이하군에 비해 stage IIIb기 이상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선폐암 환자군에서 혈청내 sICAM-1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혈청 sICAM-1농도의 변화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폐암의 전이 및 진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폐암 환자에서 혈청 sICAM-1농도의 측정은 폐암에서 진행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이 흑색종(黑色腫)의 폐전이(肺轉移) 억제(抑制)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ungsangbohahwan on Murine Melanoma-induced Lung Metastasis)

  • 하지용;유병길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9-175
    • /
    • 1998
  • 1. 연구배경 최근 놀라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병이라고 생각되어 오던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어 가고 있으나 평균수명의 연장,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고지방식, 스트레스 및 과학기술발전의 부작용 등을 이유로 새로운 질환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양도 이런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로 최근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투자를 해왔으나 아직까지 그 발생원인이나 성장기전 등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후(哮吼)를 치료하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을 이용하여 흑색종의 폐전이 억제능과 이에 의한 면역증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2. 연구결과 B-16 세포를 이용한 C57BL/6계 마우스에 있어서의 폐전이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검액처리 7일후에는 52.70%, 14일후에는 19.43%의 유의성있는 억제율을 보였으며,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B-16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항암작용을 알아 보기 위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용량이 $5{\mu}g/well$, $2.5{\mu}g/well$, $1.25{\mu}g/well$, and $0.625{\mu}g/well$인 경우 유의성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었으며 생존율에 의한 $IC_{50}$$2.17{\mu}g/well$이었다. NK-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작동세포와 표적세포의 비율이 100:1, 50:1의 경우에 있어서 $72.63{\pm}5.17%$, $26.94{\pm}2.43%$를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1.12%, 43.68%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은 $1392.00{\pm}22.31pg/ml$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4.04%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