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sis(傳移)

검색결과 1,007건 처리시간 0.019초

원격 전이 여부에 따른 4기 위암의 세분류(IVa 및 IVb) (Subclassification of Stage IV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stant Metastasis (IVa and IVb))

  • 하태경;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73-180
    • /
    • 2006
  • 목적: 위암 병기 4기는 다른 병기에서와 같이 여러 T인자 및 N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원격 전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포함되어 있다. 4기에 속하는 위암 중 원격 전이군(M1)의 경우는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로서 비 원격 전이군(M0)과 함께 동일 병기로 분류되어 있어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1,630명 가운데 위절제술이 가능했던 4기 환자 308명을 대상으로 원격 전이 유무에 따른 여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의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3개월(범위, $1{\sim}154$개월)이었다. 결과: M0군의 5년 생존율은 35%, M1군은 16%로 M0군의 생존율은 M1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00), M0군 중 T1-3N3M0군과 T4N1-2M0군간의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현재의 TNM 분류법상 4기로 구분되는 예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M0군은 M1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후가 좋으므로 M0군은 stage IVa로, M1군은 stage IVb로 세분류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 종격동경검사의 안전성과 유용성 (The Safety and Efficacy of Mediastinosco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인규;조상호;김대준;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70-474
    • /
    • 2006
  • 배경: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는 비소세포폐암의 병기 결정과 예후에 중요한 인자이며, 정확한 진단이 치료 방법결정에 필수적이다. 종격동경검사는 조직병리학적으로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고 종격동경검사를 시행하였던 환자 348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종격동경검사 결과 및 최종 병리학적 병기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종격동경검사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환자 348명 중 남자가 263명 여자가 8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2.1{\pm}8.5$세이었다. 203명은 방사선검사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진단되었고 145명에서는 전이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종격동경검사에 걸린 시간은 평균 $55.5{\pm}16.5$분이었고, 평균 $2.2{\pm}1.0$개의 림프절군에서 생검을 하였다. 검사 중 5예(1.7%)의 일시적인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나, 그 외의 합병증이나 사망은 없었다. 종격동경검사의 위음성률은 7.8%였다. 종격 동경검사는 민감도(77.5% vs 71.9%, p=0.012), 특이도(100% vs 74.4%, p=0.00) 및 정확도(92.2% vs 73.6%, p=0.00) 등이 방사선 검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종격동경검사는 절제가능한 비소세포폐암에서 치료 전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에 대해 진단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한마리 개에서 발생한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으로 인한 다수의 피하 전이 (Multiple Subcutaneous Nodular Metastasis from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 a Dog)

  • 김혜영;홍은지;박형진;권효정;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7-250
    • /
    • 2015
  • 10년령 몸무게 3.65 kg의 암컷 포메라니안이 7개월동안 지속된 요실금, 통증배뇨 및 혈뇨를 주 증으로 진료 의뢰되었다. 환자는 좌측 전견갑 부위와 좌측 겨드랑이 부위에 종괴가 확인되었다. 신체검사 및 기본검사를 통해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과 이로 인한 피하 전이로 잠정 진단 하였으며, 미톡산트론과 피록시캄을 병용한 6 cycle의 항암 치료를 실시하였다. 항암 치료 기간 동안,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의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졌지만, 피하 종양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으며 임상증상의 개선도 미약했다. 첫 내원 후 203일째, 3주 동안의 식욕부진과 왼쪽 뒤쪽 복벽 및 왼쪽 안쪽 허벅지에 다수의 종양을 주 증으로 다시 내원하였고, 안락사 하였다. 환자는 사후 부검과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만성신장질환과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의 추가적인 피하 전이로 확진되었다.

주기관지내 전이에 의해 호흡곤란을 일으킨 직장암 1예 (A Case of Dyspnea due to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ctal Cancer)

  • 이정익;신성준;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장세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4-208
    • /
    • 2000
  • Endobronchial metastases from extrathoracic primary malignancies are uncommon. Breast, renal, and colonic carcinomas are primary sites most likely to give rise to endobronchial metastases. A number of other tumours have been reported as being complicated by endobronchial metastasis, including ovarian, thyroid, uterine, adrenal, testicular and prostatic carcinomas. The incidence of endobronchial metastasis has been estimated at 2% in patients who died of metastatic disease. Lung parenchymal metastases are common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however spread to the major airway is extremely rare. We herein report a case of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ctal adenocarcinoma. A 69-year-old male patient who had been previously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with rectal cancer presented with a 8-month history of gradually increasing dyspnea and non-productive cough. Clinical and radiological investigations revealed endobronchial metastasis involving, and penetrating, the lower carina and the left main bronchus. We confirmed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the rectal carcinoma by bronchoscopic biopsy.

  • PDF

갑상선으로 전이된 비인강암 1예 (A Case of Thyroid Metastasis from Nasopharyngeal Carcinoma)

  • 김민식;유영화;조광재;조승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3-206
    • /
    • 2002
  • Metastatic carcinomas to the thyroid gland are rare, and thyroid involvement by secondary carcinomas commonly results from direct the extension of malignant cells from adjacent organs such as the larynx or the trachea. The common primary sites of thyroid metastasis are kidney, breast, lung, and lymphoid tissue. Among head and neck cancers, nasopharyngeal carcinoma has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distant metastases to other sites and commonly involving sites are bone, lung, and liver.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 43-year-old male who had been presented with neck mass for 3 months. He was diagnosed non-keratinizing nasopharyngeal carcinoma in 1993. And, thyroid metasta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was confirmed by total thyroidectomy. So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폐와 입술의 이중 원발암을 가진 환자에서 손가락 끝으로의 전이 1례 (A Case of Finger Tip Metastasis in Patient with Double Primary Cancer of Lung and Lower Lip)

  • 안건형;송진경;주홍실;임성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9-72
    • /
    • 2016
  • Lung cancer is one of high mortality malignancy. It is known that skin metastasis from lung cancer is uncommon.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finger tip metastasis from double primary cancer of the lung and lower lip. A 79 year-old man diagnosed with non small cell lung cancer presented with protruding solid mass in his lower lip. It showed central necrosis with purulent discharge. It had appeared rapidly growing features. Simultaneously, another solid mass accompanying painful swelling without skin lesion was found in his left middle finger tip. Both two solid masses were moderately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s. Lower lip mass was a primary cancer, while middle finger tip mass was diagnosed with clinically metastatic cancer from lung or lower lip, which means that it had double primary cancer origin.

다발성 폐종괴 및 기관지 점막으로 전이한 원발불명의 악성 흑색종 1예 (A Case of Unknown Primary Malignant Melanoma with Pulmonary and Endobronchial Metastasis)

  • 민영훈;김성욱;진희종;이태유;송헌호;이근석;이정애;박영이;현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96-201
    • /
    • 2002
  •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체 악성 종양의 3%를 차지하고, 피부, 안구, 피부주위점막에서 호발한다. 이들은 주로 피부, 림프절, 폐, 간, 골 등으로 전이되고 폐의 전이는 약 5~15%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기관지 점막으로의 전이는 흔하지 않다. 특히 기관지 및 폐장으로 전이된 원발불명의 악성 흑색종은 아직 보고된 예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기침과 검은색 객담을 주소로 내원하였던 34세 남자환자에서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및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vimentin, S-100 protein, HMB-45 염색에 양성을 보이는 양측 폐장 및 기관지점막으로 전이된 악성 흑색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갑상선에 생긴 전이성 유방암의 초음파 소견 및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적 가치: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Features and the Diagnostic Role of Core Needle Biopsy at Metastatic Breast Cancer in the Thyroid gland: A Case Report)

  • 이동현;윤라경;안진경;우정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19-725
    • /
    • 2020
  • 갑상선으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며, 유방암의 갑상선으로의 전이 또한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64세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갑상선으로의 전이성 암 병변에 대한 초음파 소견과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적 역할에 중점을 두어 증례 보고를 하고자 한다. 초음파에서는 뚜렷한 종괴 형성은 보이지 않으면서 갑상선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저에코의 선 형태와 미세석회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미세석회화 부분을 조직검사의 표적으로 하여 중심부 바늘 생검을 시행하였고, 생검 결과 전이성 유방암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여 림프선을 따라 전이한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초음파 소견을 보일 경우 미세침흡인생검으로는 표적을 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중심부 바늘 생검을 이용하면 조직 자체를 얻어 수술 전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폐세포종(경화성 혈관종) - 1례 보고 - (A Case of Pneumocytoma(Sclerosing Hemangioma) with Lymph Node Metastasis. -A Case Report)

  • 정경영;김길동;임상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48-551
    • /
    • 1997
  • 경화성 혈관종으로 흔히 부르는 폐세포종(pneumocytoma)은 간혹 다발성으로 발생한 예가 보고되나 림 프절로 전이된 예는 문헌상 세계적으로 1예만이 보고되었다. 연세의대 흉부외과에서는 29세의 남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우측 폐문부 폐종괴를 수술전 폐암(선암) 진 단하에 우상엽폐절제술 및 림프절박리술을 시행한 결과, 조직병리검사상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폐세포종 을 경험하였다. 폐세포종은 양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으나 매우 드문 경우에서 전이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연속적인 FDG-PET/CT 검사에서 섭취 감소로 관찰된 비소세포암의 뇌전이 (Sequential Change of Hypometabolic Metastasis from Non-small-cell Lung Cancer on Brain FDG-PET/CT)

  • 박순아;양세훈;양충용;최금하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505-507
    • /
    • 2009
  • A 60-year-old woman, who had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in left lower lobe underwent brain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DG-PET/CT) for evaluation of cerebral metastasis. On follow-up FDG-PET/CT, only hypometaolic lesion was detected and progressed in right frontal lobe at 6 months and 10 months, later. Hypermetabolic metastasis was not detected even at last scan time of FDG-PET/CT. Brain MRI showed brain metastasis in right frontal lobe. As might be expected, the physician should take cerebral metastasis into consideration even though there is only hypometabolic change on subsequent FDG-PET/CT in patients with NSC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