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ve activ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수학수업에서 활동중심 교수.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ctivity-Centered Teach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 안병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2호
    • /
    • pp.241-257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은 다양한 개인의 능력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의 적정화, 학습자중심의 활동중심수업 증가, 단계형 수준별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초등학교의 많은 교사들이 수학 학습지도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 중의 하나가 상당수의 학생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최소한 몇 개월 정도 미리 배워오기 때문에 학교수업은 수준이 낮아 흥미가 없다고 냉소하고,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학교수업이 너무 부담이 되어 흥미를 잃고 있어 현실적인 대안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초등수학교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적절한 교수·학습자료 활용의 수업을 들 수 있다. 이는 아동들에게는 보다 흥미 있는 수업을, 교사들에게는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비중이나 학습난이도가 높은 단원을 찾아 효과적인 교수· 학습자료의 활용방안과 앞으로 자료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지능형 학습 시스템에서의 학습데이터 분석 전략 (Learning data analysis strategy i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 신수범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7-44
    • /
    • 2021
  • 이 연구는 지능형학습시스템에서 학습활동을 분석하는 전략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능형학습시스템에 대한 개념정의와 지능형학습시스템을 이용하는 학습 유형을 분석하였다. 학습유형으로는 개인형, 적응형, 역량중심, 블랜디드 학습으로 제시하였으며 4가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활동 분석은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마우스 클릭, 키보딩, 업로드 등의 데이터가 기본이 된다. 이를 통해 시청시간, 업로드 횟수 등의 기초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화, 적응형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학습 분석이 필요하다. 그것은 학습태도, 성취도 수준뿐만 아니라 메타인지 수준, 창의력 수준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메타인지 등의 수준은 복잡한 인간의 인지활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능형학습시스템의 판단에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 PDF

대학생들의 융합형 문제 해결 활동에서 문제발견 및 과학기술 분야 활용 양상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Finding and the Aspects of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of Undergraduate Students' Convergence Problem Solving Activity)

  • 백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67-876
    • /
    • 2016
  • 지식과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최근 사회의 변화에 의해 지식의 선택과 활용 능력을 신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문제기반학습은 구체적 맥락에서 문제를 해결하여 지식의 이해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 방안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만으로는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주어진 상황으로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목표와 방법을 결정하는 경험을 쌓게 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어떻게 활용하여 문제를 발견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상에서 융합형 교수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 중, 과학기술 분야를 활용한 네 명의 참여자들의 사례에서 문제발견 과정과 과학기술 분야의 활용 방식, 활용 이유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문제 제안서, 중간발표인 포스터, 최종 보고서와 함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의 비구조화된 문제로부터 구조화하여 결론을 구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시켰다. 과학기술 분야는 문제의 구조화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활용되거나, 타 학문 분야와 연계하기 위한 분석 도구 혹은 배경 이론으로 활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학기술 분야가 도입된 이유는 사전 경험에 근거한 개인적 흥미와 불만족 해소를 위한 기존 학문 분야의 대안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제기반학습에서 문제발견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통합적 관점, 메타인지적 조절을 제안하였다.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The Gifted Students' View on Argumentation and the Aspects of the Argumentation in Problem-Solving Type Experiment)

  • 신호심;김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7-58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논의 양상을 확인하고 논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우 활발한 논의활동이 확인되었으나 차시에 따른 논의 질 향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전반에 걸쳐 대화적 논의과정 요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중 요청 및 요청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빈도는 낮지만 한정과 근거질문이 3차시에서만 나타났고, 차시에 따라 단순호응이 줄면서 강화 및 정교화, 메타질문의 빈도는 약간씩 높아졌다. 교사가 주도하는 일부 학습 단계에서 학생들의 논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 등 단계별 논의 양상이 교사의 수업 접근 방식과 관련 있음이 확인되었고, '문제해결활동 및 결과분석'에서 이전의 단계보다 2배 많은 논의과정 요소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은 영재 학생들의 논의 활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본 탐구실험에서 자유로운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였고 논의활동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논의를 활성화시킨다고 인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소하거나 어려움'이 논의활성화에 저해요인으로 작용됨이 확인되었다. 주제별 논의활동은 '표면성장 실험'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논의가 가장 활발한 단계는 '해결방안모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도움이 논의활동의 어려움 해소와 촉진제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실험수업에서 논의활동이 진행되는 것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등 논의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확인되었다.

협동학습이 치위생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인숙;송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101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enables learners to make portfolio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through practice, on an oral prophylaxis practice course in an attempt to stir up the spontaneous learning of learners, their learning interest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hods : The selected dental hygiene students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 in oral prophylaxis practice III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ir sophomore year by utilizing portfolio that was prepared by altering an inclusive dental hygiene practice model. They completed all the 15-week practice course, and then their portfolio was evaluated. They were divided into eight nonequivalent groups whose members were all different in academic standing, and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investigate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Results : 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0.36{\pm}0.07$ in the charge of learning strategies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broadest differences in cognitive strategies to 3.61, followed by metacognitive strategies to 3.19,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charge of self-efficancy to $0.13{\pm}0.06$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widest differences in self-regulating efficancy to 3.49, followed by confidence to 3.03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o 2.97,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3. When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after engaging in cooperative learning,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3.94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all of the lectures(p<0.0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cture to 4.20, with ensuring academic achievement to 4.13 and with cooperative learning to 3.48 (p<0.01).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ethods for dental hygiene.

Thinking Science의 모둠별 활동에서 나타나는 한국과 영국 학생들의 논의와 교사들의 도움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and Teachers' Help in Small Group Thinking Science Activities in Korea and in the U.K.)

  • 최병순;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63-37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within-group verbal interactions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shown by the pupil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help by e teacher in Korea with those in the UK.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16 pupils from comparable groups by cognitive level were selected from both countries. Verbal interactions and teacher help during group discussions were audio/ video taped and the types of students'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interactions related to problem solving, management of classroom loaming and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rbal interactions in Korean groups were more activated than those in the UK groups. However, the percentages of high level interactions such as metacognitive questions, elaborative suggestions and logical argumentations were higher in the UK groups than those in the Korean groups. Observation of the within-group activities revealed that the pupils of both countries shared some common ground in the following ways; neither recognized the need to formulate the hypothesis in the process of inquiry and that the procedures of discussion were dominated by the pupils of higher cognitive level as the discussion proceede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pupils in the UK were considerate in response to the questions posed by both their peers or the teacher, while the pupils in Korea were influenced by their prior knowledge in the subject. Analysis of the teacher help during the inquiry activities showed that the tendency fur the teacher to emphasize the process rather than the product in the procedures of discussion and the extent he/she allowed the pupils to think and consider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himself/herself and was found to be a point of commonality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 teachers in the UK revealed the tendency of trying to propose the task to the pupils in concrete and systematic ways and guide the discussion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pupils, while those in Korea tried to use strategies designed to draw out active verbal interactions among the pup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