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zing enzym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2초

Human Liver Microsome을 이용한 수종 이기약의 간대사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o the Hepatic Metabolic Enzume that Uses Human Liver Microsome Caused by a Bariety of Yigiyak)

  • 김현호;신용철;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49
    • /
    • 2008
  •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e influence of three herbal medicines, which are Saussurea lappa Clarke, Poncirus trifoliata Rafin, Citrus aurantium Linne, which are called 'Yigiyak(理氣藥)' on drug metabolizing enzyme cytochrome P450 3A4 in Human Liver Microsome. Above all, the reason for this study is that herbal medicines can be assumed that herbs might have interactions with drugs, other herbs, alcohol and chemicals whether those are much better synergy effects than expected effects when the medicine was treated alone or not. As a result, we showed that all of fiv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had no CYP 3A4 inhibition effect on 10, 20, 30, 40, $50{\mu}g/m{\ell}$ doses in Human Liver Microsome even Saussurea lappa Clarke showed a little inhibition as about 93% and 79% inhibition rate of control. However, this result are mostly not enough to prove that SLC has a CYP 3A4 inhibition effect. Moreover, it is not that those rates showed that those herbal medicines have CYP 3A4 induction e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 could support that those herbal medicines are more safe than chemical drugs even if this is the basic step to prove that result. Therefore, more specific studies to support this result, which are Kinetic study, cell and animal study then finally until clinical research, are required.

  • PDF

과일음료의 기능성

  • 황자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6-65
    • /
    • 2005
  •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the enzyme activity of the alcohol metabolizing and melanin production of Maesil(Prune mu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Prunu mume) was analyzed by measur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value)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lcohol dehydrogenase(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activity by measuring the maximum absorbency at 340nm in vitro and human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Maesil were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B-16mouse melanoma cells on melanin biosynthesis that is closely related to hyperpigmenta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for TBA values were 29.65% in ascorbicacid, 45.35% in BHT, 15.99% in extract of dehydrated maesil flesh(EDMF) and 25.00% in extract of dehydrated maesil juice(EDMJ).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by DPPH were 96.69% in ascorbic acid, 77.82% in BHT, 34.25% in EDMF, and 42.99%in EDMJ. Electron donating abilities by DPPH in the presence of 0.02% EDMF and EDMJ were 53.21% and 59.19% respectively. Facilitating rates of ADH activity were 137.92, 131.58, 152.96, 218.70, 111.76, and 144.27% in maesil juice, 5, 10, and 15% GMT, and 0.5 and 1.0% aspartic acid, respectively. ALDH activity increased in the order of Maesil juice > ALDH > GMT > aspartic acid, and facilitating rate of ALDH activity in Maesil juice was the highest at 976.44%. Maesil extract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that converts dopa to dopachrome in the biosynthesis process. B-16 cells treated by Maesil extracts showed that the viability was over 80%. Maesil and maesil products in vitro and B-16 cells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significantly.

  • PDF

약용식물 추출물의 에탄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Ethan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도재호;곽정원;이선정;노정진;이광승;김동청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86-291
    • /
    • 2017
  •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이 in vitro에서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약용식물에 20배의 증류수를 넣고 $80^{\circ}C$에서 8시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50종의 약용식물 중에서 마늘과 육계 추출물이 숙취해소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늘 추출물은 ADH에 비해 ALDH의 활성을 2배 이상 촉진시킴으로써 acetaldehyde의 분해가 잘 되게 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ALDH의 활성에 비해 ADH의 활성을 획기적으로 저해함으로써 acetaldehyde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ADH와 ALDH의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45.33{\mu}g/mL$의 농도에서 ADH의 활성을 52.8% 저해하였고 ALDH의 활성을 11.0% 저해하였다.

${\beta}-Carotene$ 공급이 흰쥐 간 조직의 지질대사와 관련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Carotene$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 최은미;박정룡;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43-749
    • /
    • 1994
  • {\beta}-carotene$은 비타민 A 활성형인 retinol로 전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영양소로 알려져있지만 {\beta}-carotene$ 자체로서의 생리적, 영양학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carotene$을 수준별로 공급하여 체내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계획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 미토콘드리아에서의 과산화지지르이 함량은 제한군과 과잉 공급군이 다른 처리군들에비해서 상대적인 증가를 보였고 BC 2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태내었다. SOD의 활성은 {\beta}-carotene$ 제한군이 공급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SOD 활성에 대한 {\beta}-carotene$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catalase와 GSH-Px의 활성에 대한 {\beta}-carotene$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catalase와 GSH-Px의 활성은 과잉 공급군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beta}-carotene$ 공급에 따른 지질 함량의 변화는 간의 경우에 총지질 함량은 {\beta}-carotene$ 공급에 따라 감소하였고 중성지질은 전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인지질은 BC 2군과 BC 3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BC 1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혈장에서는 {\beta}-carotene$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중성지질의 함 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HDL-콜레스테롤은 BC 4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비는 {\beta}-carotene$ 공급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과잉공급군에서 제한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12,000mg의 {\beta}-carotene$을 급여한 군에서는 지질대사 관련효소 활성도와 체내 지질함량이 적정량을 급여한 군에 비해 크게 변화하였으나 10~1,200mg을 급여한 실험군들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beta}-carotene$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하다고 본다.

  • PDF

Streptozotocin 유도 당뇨성 흰쥐에서 methotrexate의 신독성 생성기전에 관한 연구 (The Mechanism of Nephrotoxicity Formation of Methotrexate in STZ-Induced Hyperglycemic Rats)

  • 김석환;김여정;이주연;강혜옥;이항우;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9-265
    • /
    • 2006
  • 엽산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관절염 치료제로 쓰이는 methotrexate (MTX)의 당뇨병 쥐에서의 신독성 기전을 구명할 목적으로 실험동물 정상군과 STZ로 당뇨를 유발한군에 MTX률 투여하여 신장 독성을 유발하여 혈중 생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free radical의 생성계와 해독계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혈중 신장기능 지표 효소 및 신장조직의 지질과산화 함량이 정상군에 MTX를 투여한 군에 비해 당뇨쥐에 MTX를 투여한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당뇨쥐에 MTX를 투여함으로써 활성산소 생성계인 phase I 단계 중 cytosol 효소계 활성이 정상쥐에 MTX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고, phase II 단계 중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이 정상쥐에 MTX를 투여하였을때에 비하여 당뇨쥐에 MTX를 투여하였을때 현저히 감소하였다. 신조직 중 glutathione의 함량 또한 당뇨쥐에 MTX를 투여했을때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와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을 감소시킨 결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당뇨쥐에 MTX를 투여하면 신독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기전은 cytosol계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MTX의 대사계를 촉진시킴으로 독성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한 신조직중의 지질과산화 함량의 증가는 glutathione의 함량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되어진다.

발효한약추출물 HP-1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 정용준;한동오;최보희;박철;이혜정;김성훈;함대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87-391
    • /
    • 2007
  •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ing various kinds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a new typ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is intended to exert a favorable influence on digestability, bioavailavilit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herbal extrac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also produces a number of fermentation products that intensify the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the medicinal herbs.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ftereffects of the previous drinks, the extracts (HP-1) of fermented herbal mixture,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Thunb., Lonicera japonica Thunberg, and Hovenia dulcis Thunb., were prepared and the medicinal effect as a hangover cure was evaluated in ethanol-loaded rats. The enzym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2 (ALDH2)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2 was also investigated through RT-PCR analysis. In the HP-1-treated group,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one hour after loading of ethanol, as compared to that in the saline-treated group. The reduced ethanol was converted to acetaldehyde, which resulted in rapid increase in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an hour. Acetaldehyde was started to decrease at 5 hours after ethanol loading. It implies that HP-1 is highly effective to stimulate the activities of ADH and ALDH2. The HP-1 treatment also activated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herbal extract, HP-1 can be used as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lcohol-induced hangover symptoms by stimulating th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of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s.

천도복숭아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nd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Nectarine Vinegar)

  • 정경임;정한나;하나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93-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을 알아보았다. 천도복숭아식초의 pH는 3.70이였고, 당도는 $8.87^{\circ}Brix$였으며, 총산도는 6.29%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유기산 분석 결과 acetic acid가 32.4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lac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총 페놀함량은 $121.84{\mu}g\;TAE/100ml$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식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40% 농도에서 84.47%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 활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89.06%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천도복숭아식초 100% 농도, pH 1.2, 3.0, 6.0에서 각각 94.17, 76.91, 20.21%로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도복숭아 식초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 활성 및 ALDH 활성을 분석한 결과, ADH 활성 및 ALDH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각각 153.61%와 178.2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천도복숭아식초는 기능성 건강음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혈액 산성화 기전 조절을 통한 숙취해소 효과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on Ethanol-Induced Hangover via Modulating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Blood Gas Levels in Rats)

  • 최나은;노주예;이주영;류진협;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에서 알코올 대사와 혈액가스 불균형에 대한 꾸지뽕 나무 뿌리 추출물 (이하 CTE)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10 ml/kg의 농도로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였고, 섭취 30분 후 CTE를 500 mg/kg 및 750 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혈액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하여 채취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를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는 모두 단회 경구 투여로 진행되었다. CTE의 섭취는 흰쥐의 혈액과 간 조직 내 알코올 대사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증가 또는 유지시킴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CTE는 알코올섭취에 의한 혈액가스 (pH, $CO_2$, $HCO_3{^-}$, lactic acid)의 불균형을 회복시켰다. 결론적으로, CTE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 보다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CTE를 숙취 해소 및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로써 제시하는 바이다.

전통적인 발효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항산화, 알코올 대사 효소 및 간보호 활성 (The Antioxidant,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Vinegar with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 정경임;정한나;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0-2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의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와 항당뇨 효과,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HepG2 세포에 대한 간보호 효과를 알아보았다. 황칠 식초의 유기산 분석결과 acetic acid가 91.72 mg/m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lactic acid (7.31 mg/ml), malic acid (1.36 mg/ml), succinic acid (1.20 mg/ml) 순으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73 ㎍ TAE/ml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 76.04%로 나타났고, SOD 활성은 60% 농도에서 95.14%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10% 농도에서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98.94%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ADH 및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가지 효소 모두 황칠 식초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의 ADH 및 ALDH 활성은 각각 43.62% 및 60.39%로 나타났다. 황칠 식초 0.6% 농도에서는 tacrine으로 유도된 HepG2 세포주에 대하여 간보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황칠 식초는 기능성 건강 음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Variability in Drug Interaction According to Genetic Polymorphisms in Drug Metabolizing Enzymes

  • Jang, In-Jin;Yu, Kyung-Sang;Cho, Joo-Youn;Chung, Jae-Yong;Kim, Jung-Ryul;Lim, Hyeong-Seok;Shin, Sang-Goo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18
    • /
    • 2004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drug interactions between subjects. The influence of the genetic make up of drug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CYP3A5, CYP2C19 and UDP-glucuronosyl transferase) on the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 potential were studied in vivo. Nineteen healthy volunteers were grouped with regard to the $CYP3A5^{*}3$ allele, into homozygous wild-type (CYP3A5^{*}1/1^{*}1$, n=6), heterozygous $(CYP3A5^{*}1/^{*}3$, n=6), and homozygous variant-type $(CYP3A5^{*}3/^{*}3$, n=7) subject groups. The pharmacokinetic profile of intravenous midazolam was characterized before and after itraconazole administration (200 mg once daily for 4 days), and also following rifampin pretreatment (600 mg once daily for 10 days), with a washout period of 2 weeks in between. For omeprazole and moclobemide pharmacokinetic interaction study 16 healthy volunteers were recruited. The volunteer group comprised 8 extensive metabolizers and 8 poor metabolizers of CYP2C19, which was confirmed by genotyping.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sequence groups, and a single-blind, placebo-controlled, two-period crossover study was performed. In study I, a placebo was orally administered for 7 days. On the eighth morning, 300 mg of moclobemide and 40 mg of placebo were coadministered with 200 mL of water, and a pharmacokinetic study was performed. During study n, 40 mg of omeprazole was given each morning instead of placebo, and pharmacokinetic studies were performed on the first and eighth day with 300 mg of moclobemide coadministration. In the UGT study pharmacokinetics and dynamics of 2 mg intravenous lorazepam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rifampin pretreatment (600 mg once daily for 10 days), with a washout period of 2 weeks in betwee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pharmacodynamic tests were done before and 1, 2, 4, 6, 8, and 12 hrs after lorazepam administration. The pharmacokinetic profiles of midazolam and of its hydroxy metabolites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the genotype groups under basal and induced metabolic conditions. However, during the inhibited metabolic state, the $CYP3A5^{*}3/^{*}3$ group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systemic clearance than the $CYP3A5^{*}1/^{*}1$ group $(8.5\pm3.8$ L/h/70 kg vs. $13.5\pm2.7$ L/h/70 kg, P=0.027). The 1'-hydroxymidazolam to midazolam AUC ratio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CYP3A5^{*}3/^{*}3$,/TEX> group $(0.58\pm0.35,$ vs. $1.09\pm0.37$ for the homozygous wild-type group, P=0.026). The inhibition of moclo-bemide metabolism was significant in extensive metabolizers even after a single dose of omeprazole. After daily administration of omeprazole for 1 week,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moclobemide and its metabolites in extensive metabolizers changed to values similar to those in poor metabolizers. In poor meta-bolizers, no remarkable changes i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observed. The area under the time-effect curves of visual analog scale(VAS), choice reaction time, and continuous line tracking test results of lorazepam was reduced by 20%, 7%, 23% respectively in induced state, and in spite of large interindividual variablit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in VAS(repeated measures ANOVA, p=0.002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