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independent stud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분석 - 중등 영재학생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Analyzing a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Output for Mentor-Independent Study - A Case Study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

  • 이헌수;박종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5-2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 사사과정에 있는 수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사사독립연구를 실시하여 수확영재의 사사독립연구에서 얻어진 산출물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산출물 발표과정에서의 영재학생의 심리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는 수학영재성 중 수학적 능력의 구성요소만 귀납적 연역적 추론 능력을 발현하게 한다. 둘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영재성 관련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중 수학적 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이 영재학생에게서 발현하게 한다. 셋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 영재성의 구성요소 중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자기 신뢰감 등과 관련된 요소를 상승하게 한다.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 김기홍;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33-41
    • /
    • 2014
  • 최근 들어 창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법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을 교육 콘텐츠 특성, 교육시스템, 멘토 역량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중에서 교육 콘텐츠 특성과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우수한 교육 콘텐츠 확보와 멘토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업 멘토링 운영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 PDF

국제결혼 한국인 남성의 결혼생활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The Coping Strategy of Korean 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 최운선;홍기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53-6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ping strategy of Korean m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4 Korean husbands who had married after seeking the services of matchmaking agencies, and we used snowball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men considered international marriage to be their second choice instead of the best one. But they considered their marriage to be 'a prepared marriage', not 'a rash marriage.' 'The prepared marriage' allowed them to have realistic expectations, and to become 'tied in wedlock' with 'a good person.' The Korean husbands coped with difficulties and problems through flexible thinking, such as considering 'how the woman acts depends on the man', 'finding a model mentor couple', 'keeping an open mind to each other', 'reinforcing family ties', and 'developing their wife's independent capacit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lternatives for Korean husbands were suggested.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mentioned.

동료멘토링 프로그램이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보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er Mentoring Program on the Health Conservat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남지란;성기월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7-23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 mentoring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health conservation elements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t is a pretest-and-post 1, post 2 test design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en aged over 65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A total of 60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who registered with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City G and in Region 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9th to September 4th,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ment AN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r mentoring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knee joint function,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of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대학 창업교육 핵심 성공요인: 미국 대학 사례의 시사점 (The Key Success Factor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mplication from USA University Cases)

  • 최종인;박치관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85-96
    • /
    • 2013
  • 창업교육이 우리나라 대학에서 증가되고 있지만 여전히 경영학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창업교육이 대학에서 갖는 의미는 학제적, 실천적인 교육이라는 점이다. 창업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국내 창업교육은 대학문화, 교수, 커리큘럼, 지역과의 연계 등에서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창업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의 창업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대학 내 창업교육 활성화를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 사례대학들과 카우프만 캠퍼스를 중심으로 창업교육의 핵심성공요인을 살펴본 결과 11가지의 특성들이 나타났다. 이 특성들에 견주어 몇 가지의 창업교육의 핵심 성공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중에서 무엇보다도 창업교육의 핵심은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데 있으므로 창업교육은 기존의 경영학전공자는 물론 예술, 과학 그리고 공학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창업교육은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교양교과목에서부터 개설되는 것이 요구된다. 재학기간 내내 체계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대학차원의 리더십과 지원이 필요하고, 창업교육 문화도 형성되어야 한다. 별도의 창업전공은 물론 다양한 전공자들을 위한 특성화된 창업교육 부전공 트랙을 마련을 검토해야 한다. 창업교육의 경험이 일천한 우리나라로서는 창업교육 동기요인의 제공, 필요한 교수진의 양성을 위한 박사과정, 창업교육 의사소통 네트워크 형성과 지역사회의 멘토링 시스템도 선결요건이다. 프로그램의 시작을 위해서는 초기에 가능한 많은 양질의 교육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방법의 측면에서는 프로젝트 중심의 4년 교육프로그램이 추천된다. 이를 위해서는 신입생이 졸업할 때까지 일관성 있게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필요한 팀 강의와 멘토링 그리고 학제적 협력을 받을 수 있는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창업교육이 또 다른 하나의 경영교육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고 대학교육의 문화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서는 창업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신규간호사 이직의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New Nurses Personnel Turnover)

  • 정정희;최미향;김은경;김영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73-8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와 Y시의 15개 병원에서 12개월 미만에 이직한 신규간호사와 12개월 미만으로 근무하고 있는 신규간호사 227명이다. 자료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이직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직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은 26세 이상 나이(OR=4.00, CI=2.02-7.91), 결혼상태(OR=6.30, CI=1.21-32.79)였다. 반면 멘토링(OR=0.96, CI=0.94-0.99)은 이직의 가능성을 낮추는 조절요인이었다. 그러므로 간호관리자들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을 낮추기 위해서 26세 이상, 기혼자와 같은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주의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이를 고려한 개별적인 지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규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개별화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청소년의 운동과 식습관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 신윤희;안수현;안주림;양고운;오숙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03-71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the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mentor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in which the mentors were nursing students and the mentees wer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weekly exercise frequency, weekly exercise time, perception of exercise benefit,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and dietary habit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group education, individual approach through the mentor-mentee relationship, and multimedia approaches. Results: At follow-up, the perception of the exercise benefi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after the intervention than those before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mentoring program is potentially of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will enable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mentors to gain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The influence of bone graft procedures on primary stability and bone change of implants placed in fresh extraction sockets

  • Jun, Sang Ho;Park, Chang-Joo;Hwang, Suk-Hyun;Lee, Youn Ki;Zhou, Cong;Jang, Hyon-Seok;Ryu, Jae-J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8.1-8.6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one graft procedure on the primary stability of implants installed in fresh sockets and assess the vertical alteration of peri-implant bone radiographically. Methods: Twenty-three implants were inserted in 18 patients immediately after tooth extraction. The horizontal gap between the implant and bony walls of the extraction socket was grafted with xenografts. The implant stability before and after graft procedure was measured by Osstell Mentor as implant stability quotient before bone graft (ISQ bbg) and implant stability quotient after bone graft (ISQ abg).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to measure peri-implant bone change immediately after implant surgery and 12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bility parameters (insertion torque value (ITV), ISQ abg, and ISQ bbg) and peri-implant bone chang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increase of ISQ in low primary stability group (LPSG) was 6.87 ± 3.6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crease in high primary stability group (HPS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TV and ISQ bbg (R = 0.606, P = 0.002) was found; however, age and peri-implant bone change were not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implant stability parameters. It was presen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peri-implant bone changes at 1 year after bone graft surgery. Conclusions: Bone graft procedure is beneficial for increasing the primary stability of immediately placed implants, especially when the ISQ of implants is below 65 and that bone grafts have some effects on peri-implant bone maintenance.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and Mentor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유영철;이원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187-200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 창업멘토링의 매개가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대학생의 창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창업지원제도인식은 정부창업지원정책과 대학창업지원사업으로 창업멘토링은 멘토링 기능(문제해결 기능, 네트워킹 기능, 의사소통 기능, 동기부여 기능)과 멘토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과 종속변수인 창업의지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창업교육 만족도는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제도 중 대학창업지원사업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이 창업지원제도인식 중 대학창업지원사업과 대학생의 창업의지의 관계에 있어 조절작용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창업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창업교육에 대한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극대화하고 실전창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대학 내외 창업 관련 정보 제공, 창업아이템을 실체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연계, 창업아이템 검증, 창업멘토링 제공, 상시상담이 가능한 창업상담창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 내 창업상담창구 운영을 통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제도 및 창업의 간접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학창업지원사업과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창업지원정책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내 교수, 직원, 선배창업자 등 창업 분야의 멘토와의 연결을 통해 창업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창업의 준비과정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선배창업자의 창업실패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업특강, 대학생의 전공별, 개인별 성향에 따른 맞춤형 창업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