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t-viscosity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LaCl3-CsCl 2성분계 용융염의 점도 (Viscosities of LaCl3-CsCl Binary Melts)

  • 김기호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7-92
    • /
    • 2013
  • Viscosities of $LaCl_3$-CsCl binary melts were measured by the capillary method over the range of their liquidus temperatures to about 1200 K. The cell constant were determined by using pure wate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Viscosities of melted $LaCl_3$ were decreased with the content of CsCl for all over the composition range of binary melts. Composition versus viscosity relation for the binary melt showed a non-linear relationship from the additivity line and the deviations showed a maximum value at about 60 mol% CsCl. This suggest the existence of the complex ion of $LaCl_4{^-}$ in the melt. Activation energy for the viscous flow of the binary melts decreased monotonously with the increasing content of CsCl after a few increasement till 40 mol% CsCl. All of these results were the resemble with the viscosities of $LaCl_3$-NaCl binary melts.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PN의 몰드-인-칼라 수지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Nylon6/Ionomer Semi IPN for Molded-In-Color Compound)

  • 이재훈;황진택;강호종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407-412
    • /
    • 2012
  • Molded-in-color(MIC) 수지로 사용 가능한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nterpenetrating network(IPN)의 물성을 기존 MIC 수지인 나일론6/이오노머 블렌드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PN은 분자 수준의 믹싱인 IPN 구조를 가져 블렌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선된 homogeneous 형태학적 구조를 가짐에 따라 내스크래칭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semi IPN 구조는 나일론6의 결정화 속도를 감소시키며 용융점도의 증가 그리고 점도의 온도 의존성을 감소시켜 블렌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MIC용 사출 가공 특성이 우수해짐을 예측할 수 있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물성에 대한 윤활제의 효과 (Effect of Lubrica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butylene terephthalnte))

  • 김효갑;김준경;임순호;이건웅;박민;강호종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9-244
    • /
    • 2004
  • 윤활제 첨가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의 유변 특성 및 열 안정성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윤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CaST)와 아디프산 글리콜 폴리에스터 (AhGP)를 PBT에 첨가하는 경우 1 wt% 첨가만으로도 용융 점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도 감소는 AAGP의 경우, PBT 주사슬에 내부 윤활제로 그리고 CaST는 가공 기기 표면과의 윤활 특성을 향상시키는 외부 윤활제로 작용하여 발현되며, 아울러 윤활제에 의한 PBT분자량 감소에도 기인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윤활제는 PBT의 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나 3 wt% 이하의 CaST를 PBT에 적용하는 경우 열 안정성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분자량 감소와 열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점도를 낮출 수 있는 PBT윤활제로는 내부 윤활제보다는 외부 윤활제인 CaST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Long Fiber Thermoplastic(LFT) 사출성형 공정에서 캐비티 내 압력 측정 및 CAE해석을 활용한 점도 추정 (Estimation of viscosity of by comparing the simulated pressure profile from CAE analysis with the Long Fiber Thermoplastic(LFT) measuring cavity pressure)

  • 임승현;전강일;손영곤;김동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82-19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지시료 또는 LFT와 같은 고점도 수지의 점도를 실제 사출성형 공정과 CAE 해석을 통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점도의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금형 내에 캐비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실제 사출과정에서 나타나는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용화 된 CAE 프로그램(Moldflow)은 사출공정에서 캐비티 내부를 흐르는 수지의 압력변화를 모사할 수 있다. 만약, CAE D/B에 있는 수지의 점도 데이터가 정확하다고 가정하면, 실험에서 측정한 압력 프로파일과 CAE로부터 계산 된 압력 프로파일이 일치해야 한다. 이것이 실험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가정한 값을 CAE D/B에 입력해서 일치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점도를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PP수지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일반적인 점도계로 측정한 값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PP-LFT에 대하여 적용하여 최적화 된 점도 데이터도 추정할 수 있었다.

발포재료(Al)의 점성 및 표면장력과 첨가요소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for Foaming Materials and the Effects of Addition Elements)

  • 박수한;김상열;안득규;하동인;조순형;배석천;허보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9호
    • /
    • pp.729-734
    • /
    • 2002
  • Porous Al metal was produced by batch type casting process. In this foaming process,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molten Al as two most important factor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80-95$0^{\circ}C$ by the ring method and rotational method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surface tension and viscosity of the melt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ddition of Ca decreased surface tension, but increased viscosity significantly.

고분자의 자체발포를 이용한 세라믹 다공질체 (Ceramic Foams by the Self-Blowing of Polymer)

  • 백종원;김득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555-559
    • /
    • 2004
  • 폴리실록산 고분자의 자가 발포과정을 이용하여 세라믹 다공질체를 제조하였다. 고분자가 가교반응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과 알콜 증기를 이용하면 고분자 용융액 내에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세라믹 다공질체 내의 기공의 크기와 모양은 고분자 용융액의 점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충진제인 A1$_2$O$_3$ 함량이 증가하면 기공 크기는 감소하며 이는 A1$_2$O$_3$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여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고분자 용융액의 점도는 고분자의 가교반응정도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발포 전에 13$0^{\circ}C$에서 열처리를 하면 점도는 증가하며 다공질체의 기공 안정성은 증가한다. 제조된 세라믹 다공질체의 밀도와 압축강도는 발포과정에서의 승온속도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다.

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s by Melt Polymerization)

  • 최수정;윤경화;김희승;유승윤;김연철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356-362
    • /
    • 2011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에 화학적 구조가 다른 두 가지의 분지제를 첨가하여 용융중합으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branched PC, B-PC)를 합성하였다. 분지제의 함량은 0.001~0.005 mol% 내에서 조절하였다. 합성된 PC의 화학구조는 FTIR, $^1H$ NMR파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loro type의 분지제를 가지는 B-PC의 분자량에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유리전이온도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두 형태의 B-PC 모두 선형 PC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주파수(frequency) 영역에서 복합점도(complex viscosity)가 높게 나타났고, shear thinning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Shear thinning의 정도를 표시하는 power law index(n)는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0.483~0.996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다. Phloro 타입의 B-PC가 높은 shear thinning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B-PC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휠 시스템을 이용한 슬래그 섬유의 제조 (Fabrication Characteristics of Slag Fiber by 4 Wheel System)

  • 송영환;성환구;박수한;왕효숭;허보영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22-226
    • /
    • 2006
  • Steel making slag has gained a considerable attraction as one candidate of eco-materials in research fields for recycling resources. Thus,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but were limited to development of substitute for cement being used in the construction field. A little research work also has been done on development of higher value-added materials, including heat resistant and sound absorbing materials. For this reason, the present study were focused on macro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fabricated slag fibers which are applicable to heat resistant materials. The slag fibers were fabricated through a modified melt extraction method. The processing variables employed were the wheel speed and molten slag temperature. The synthesized fibers were characterized by optical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t was found that the wheel speed of 1400 rpm generated better quality of mineral fibers in terms of the relative amount of shot, diameter and length. This was attributed to the relative extent of contact width between the flowing melt and the rotating wheel. The thickness of the slag fibers also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lag melt temperature due mainly t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slag melt. In addition, the lower melt temperature caused an increase in number of shots plus the mineral fibers.

전자선 조사로 개질된 PLA의 유변학적 물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Modifi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신부영;김봉식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485-4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트산(PLA)의 용융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PLA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를 PLA에 첨가한 후 전자선을 조사하여 PLA를 개질하였다. GMA는 5 phr(parts per hundred parts of resin)로 고정하고 전자선 조사량을 변화시키며 개질 PLA을 제조하였으며, 이후 열적, 유변학적 특성 및 젤화도를 조사하였다. 주파수 0.1 rad/s에서 조사량 300 kGy로 개질된 PLA와 순수 PLA의 유변학적 물성을 서로 비교해보면 복합점도는 약 210배, 탄성률은 약 14500배 상승하는 예외적으로 아주 큰 변화를 보였다. 젤화도의 결과로 조사량 200 kGy 이하로 조사된 시료에서 일어난 분자반응은 가교화 반응보다는 가지화 반응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 단량체를 함유한 PLA의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개질: 유변학적 성질 및 열적 특성 (Modification of PLA by Irradiation of Electron Beam in the Presence of Functional Monomer: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 강경수;신부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124-130
    • /
    • 2008
  • 높은 용융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능성 단량체인 glycidyl methacrylate(GMA)가 첨가된 poly(lactic acid)(PLA)를 전자선 조사로 개질하였다. GMA의 양과 전자선량을 조절하여 다양하게 개질된 PLA를 제조한 후 열적 특성, 용융 점탄성 성질 및 겔화도를 조사하였다. GMA를 첨가하지 않고 전자선 조사로만 개질한 PLA의 복합점도와 저장 탄성률은 원래의 PLA의 값보다 더 낮았고 조사량이 증가하면 더욱 낮아졌다. GMA을 0.1 phr 또는 0.3 phr로 첨가하여 개질한 PLA의 물성의 조사량에 따른 변화 경향은 GMA를 첨가하지 않고 개질한 PLA와 비슷하지만, 0.5 phr GMA를 함유하며 전자선 조사량 5 kGy로 개질된 PLA는 원래의 PLA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3배나 큰 복합점도와 10배나 큰 저장탄성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