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 event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연속적인 극한호우사상의 발생을 가정한 거대홍수모의 (Mega Flood Simulation Assuming Successive Extreme Rainfall Events)

  • 최창현;한대건;김정욱;정재원;김덕환;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6-83
    • /
    • 2016
  • 최근 연속적인 태풍에 의한 일련의 극한 호우 사상으로 홍수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인명과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극한홍수를 거대홍수라고 정의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극한 호우 사상이 연속적으로 발생 될 수 있음을 가정하여 가상의 거대홍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최소 무강우 시간 결정(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방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였으며, IETD에 의해 산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호우 사상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즉, (1) 기록된 극한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 (2) 기왕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해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을 가정하여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한 거대홍수는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에 비해 6~17%의 홍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량에 비해 뒤에 오는 호우로 인한 홍수량의 증가는 많지 않지만, 연속적인 호우는 두 번의 홍수피해를 가져오므로 가상의 거대홍수로 인한 홍수 피해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가상의 강우 시나리오를 통해 예상하지 못한 연속적인 홍수 재해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ban Innovation through Mega Sport Events: Evidence from the City of Seoul

  • Ahn, Yongjin;Kim, Minkyu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1호
    • /
    • pp.132-154
    • /
    • 2021
  • A mega sport event as the globalization phenomenon is not only the symbol of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ut also the vehicle to upgrade global power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he world competition under the post-industrial era. This study notifies the role of mega sport events as a strategy for urban innov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 and local. Comparing the different roles of mega sport events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we intend to answer two questions: 1) what explains the nature and role of mega sport event, and 2) what are the major evidences of the transition in the globalization era. Th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perspective, provide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strategy for urban innovation has been changed from 'motivation for modernization' to 'rethinking of localiz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we also compare major issues between two phases: role of agent, urban form, and urban development. Finall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concept of 'glocalization' which means the convergenc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suggests the roles of (local) agent for hosting mega sport events.

메가 이벤트 개최 전후 개최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동태적 분석 (Dynamic Analysis on the Host regional Effects of before and after Mega-Events)

  • 박복재;문영수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9-307
    • /
    • 2015
  • 이 연구는 메가 이벤트 개최가 개최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동태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가 여수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개최전후의 경제지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변수로는 관광객 수와 지역내총생산, 고용률, 부동산 가격이며,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전후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관련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관광객의 유치는 기존 선행 연구들과 동일하게 메가 이벤트 개최가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내총생산은 개최 직전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률 증가는 개최기간 중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부동산 가격은 개최 발표 시점부터 개최기간까지 상승하다가 개최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메가 이벤트 개최가 개최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구조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향 변수 간 인과관계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과정 및 결과는 향후 지역의 국제전시 이벤트의 유치와 개최 지역의 효과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거대강우 시나리오를 이용한 거대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Mega Flood Using Mega Rainfall Scenario)

  • 한대건;김덕환;김정욱;정재원;이종소;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90-97
    • /
    • 2019
  • 최근 연속적인 호우사상으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호우사상 발생 사례를 바탕으로 거대강우 시나리오와 거대홍수를 정의하였다. 경안천 유역의 100년 빈도 확률강우사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거대강우 시나리오를 생성하였으며, 거대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SSARR(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보다 합리적인 유출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SCE_UA기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SSR(Sum of Squared of Residual)과 첨두유량 모의에 유리한 WSSR(Weighted Sum of Squared of Residual)의 목적함수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적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경안천 유역의 100년 빈도 강우사상의 연속발생으로 인한 거대홍수량은 4,802㎥/s로 산정되었고, 경안천하천정비기본계획(2011)에서 산정한 100년 빈도 단일 강우사상에 의한 홍수량은 3,810㎥/s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거대홍수량이 단일 호우사상에 의한 홍수량 보다 약 992㎥/s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향후 거대홍수를 고려할 경우, 경안천 유역의 치수방어대책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Mega-Sporting Events from the Perspective of Russian Cultural Policy in the 21st Century)

  • 송정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289-326
    • /
    • 2016
  • 현대 러시아의 대내외정책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 전략은 국가정책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인 중 하나로, 새로운 형태와 실현 방식을 모색해 나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부는 '소프트 파워'의 적극적 활용에 기대어, 국제 무대에서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의 문화정책 역시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 현재 푸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크렘린 권력 수뇌부는 대내적으로 '애국심', '문화적 자긍심'을 바탕으로 단합과 단결을 추구하고, 대외적으로는 '강한 러시아'의 위상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과거 소비에트와 차별화 된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양상이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핫 이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대내/대외 정책 노선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러시아 소치 올림픽을 중심으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은닉된 정치적 메커니즘을 러시아 대내/대외 문화정책 차원에서 분석해본다. 동시에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그 이후의 행보를 추적해봄으로써 단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충분히 보상하고, 국가 브랜딩 기법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전파전략에 상응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대내/대외 문화정책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소프트 파워'의 일환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기능 및 정치적 차원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을 짚어본다. 또한 메가 스포츠이벤트 효과에 대한 자국민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2014년 소치 올림픽 대회 전후로 '전러시아 여론정보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적용해 본다. 동시에 앤홀트의 '국가브랜드 지수(NBI)' 및 영국의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실시한 국가 브랜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러시아의 대외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실제 크렘린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대내외 정책 노선이 현실 차원에서 어느 정도까지 그 성과를 이룩했는지 추적해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현 러시아 정부의 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고, 러시아 문화정책 기본 방향에 관한 지형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세계무대에서 러시아의 위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향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메가스포츠이벤트와 사회적 자본의 역할: 갈등이론을 중심으로 한 한국과 미국의 이벤트 유치지역사회의 관점 비교에 대한 연구 (Mega Sport Event and Social Capital: A Host Community Perspective Comparison in Korea and the US through Social Conflict Theory)

  • 박성희;마이클 코팅험;서원재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9호
    • /
    • pp.63-74
    • /
    • 2018
  • Purpose -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cognition of stakeholders on hosting a mega sports ev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ir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towards hosting a mega sports event, the study employed conflict theory. Furthermore, the study reviewed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mega sports ev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f homogeneous sampl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criterion-based selection approach were used to collect interview data from key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hosting a mega sports ev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were reviewed multiple tiems after transcription to extract concepts and meanings that were pertinenet to the experience involving hosting a mega sports event. Further member checks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results. Results -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stakeholders of Korea have a strong desire for positive economic effects of a mega sports event, compared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who are more concerned in enhancing the public interests and concerns. Second, in Korea, various socio-political issues emerged at the same time and conflicts among multiple stakeholders have aggravated the situations to coordinate the issues. This was because legal system supporting socio-trust has not been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major stakeholders of the United States consisted of community members who have socio-trust and networks. Thereby these social resources have been found playing a key role in building social capital that assists the stakeholders to coordinate the current issues and to solve them. Conclusions -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of stakehoders in a mega sports event. Social capital has beend found as a key catalyst to increase a network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In order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managing a mega sports event hosted in Korea, legal systems that establish network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stakeholder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systematic guideline needs to be developed, organizing the sub-committe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keholders and the categorized common needs.

공간 집약적 관광지에서 사회적 수용력 연구 (Study on the Social Carrying Capacity in the Mega-Event -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Kwangju Biennale, Korea -)

  • 김진선;정성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8-3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rrying capacity at mega-events, especially the 2000 Kwangju Biennale in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has proposed some management policies for mega events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arrying capacity, satisfaction and crowding. The research method was to look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ve forms of the location, and then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ampling the factors involved in satisfaction degree; last, A factor analysis for causal analysis of perceived crowding was performed. The study needed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expected crowding and perceived crowding, and performed regression to examine the causality of perceived crowding and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of expected crowding, perceived crowding, and the total satisfaction was very low or meaningless.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elements for factor analysis such as convenient facilities and value experience showed partial meaningfulness. The factors of convenient facilities, entrance fee, parking lot use, toilet convenience, and exhibit room use had meaningful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of value experience showed a meaningful result in the guide service of an event place. In conclusion when those holding an event make a basic project, they should consider management measures for convenience of facilities, proper education for guide service, and systematic guidance. Also, as a method for perceived crowding lower than expected crowding, the study has proposed that it is possible to lower expected crowding by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ourists expected on the weekends and weekdays. Future research should control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seasons proper for vacation and holidays, and carefully consider their investigation and desig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ables involved in expected crowding of more various space-intensive sightseeing places (mesa-events).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모형 분석 (Analysis of Model of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o Watch Mega Sports Event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경진;김재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33-439
    • /
    • 2022
  • 이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에 대해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과 변인들 간의 인과적 영향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하위 변인들의 문항들을 바탕으로 전문가 회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Cronbach's a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CFI, NFI, IFI의 평가지수가 수용의 기준을 충족하여 이 연구모형의 적합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 의도 연구모형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행동신념과 규범신념은 관람 의도에 정(+)의 유이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학생의 통제신념 관람 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 준비의 실효성 평가: 교통대책을 중심으로 (Appraisal of the Effectiveness of Preparation for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Korea 2012: Focusing on the Transport Management Measures)

  • 최창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9-122
    • /
    • 2013
  •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다. 105개국 및 10개 국제기구가 참가한 이번 대회의 관람객은 820만 명에 이른다. 본 연구는 여수엑스포 준비의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교통대책의 수립과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특이사항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국제행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규모 국제행사의 교통대책을 수립할 때는 개최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교통수단의 통행저항을 적절하게 반영해야 한다. 둘째,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업무분장을 명확히 하여 이로 인한 갈등과 예산낭비 및 교통대책의 비효율을 예방해야 한다. 셋째, 교통운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교통안내의 효율성을 확보해 관람객의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넷째, 교통대책의 대외적 객관성과 합리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시기적절한 예산조달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속호우사상기반의 댐 붕괴 시나리오에 따른 최적대피소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ccording to Dam Break Scenario Based on Continuous Rainfall Event)

  • 김경훈;임종훈;김형수;신성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433-447
    • /
    • 2023
  • 이상기후와 댐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댐에 대한 위험관리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저수지·댐 등의 붕괴에 따른 비상대처계획에서는 단일호우사상에 의해 댐 붕괴가 발생한 경우만을 다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속호우사상으로 인한 댐 하류부의 피해 발생 상황을 모의하고, 각각의 상황에 대한 최적 대피소를 선정하여 저수지·댐 등의 붕괴에 따른 비상대처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5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거대강우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거대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거대강우 시나리오가 충주댐에 발생하였을 때 무피해방류량 이상의 방류로 인해서 하류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시나리오 A)와 댐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 (시나리오 B)로 나누어 하류부에 발생하는 피해를 분석하였다. 2개의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피해를 분석한 결과, 시나리오 A에서의 침수면적은 50.06 km2이며, 시나리오 B에서의 침수면적은 약 6.1배 큰 307.45 km2로 나타났다. 침수피해가 발생한 하류부 지역 중 시가화 지역의 비율이 높은 충주시를 대상으로 행정구역별 최적 대피소를 선정하였다. 국내·외 대피소 선정기준들을 이용하여 7가지 대피소 평가지표들을 설정하였으며, 계층화(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기법을 활용하여 대피소 대안들을 평가하였다. 각 시나리오별로 최적 대피소를 선정한 결과, 선정된 6개의 최적 대피소 중에서 5곳이 학교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상대처계획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연속호우 사상에 의한 상황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상대처계획 수립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