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porridge (藥線)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사상체질에 근거한 노인의 한방약선죽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riental Medicinal Porridges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 the Elderly)

  • 홍종숙;임현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07-621
    • /
    • 2021
  •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South Korea, and interest in food development considering the Sasang constitution theory from oriental medicine and balanced nutrition is increasing. We developed the oriental medicinal porridges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 for the elderly. By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aeyangin has a large lung and small liver, and Soyangin has a large stomach and small kidney. Taeeumin has a small lung and large liver, and Soeumin has a small stomach and a large kidney. In this study, proper oriental medicine and food ingredients were identified, and a total of 12 oriental medicinal porridges were developed for 3 items by 4 Sasang constitution types. A single portion was developed based on about 600±66kcal, and the food ingredients were chopped. After cooking the menu developed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Five items, such as taste, appearance, aroma,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evaluated on a 7-point scale. Sewage omegaenggul porridge among porridges for Taeyangin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nce (6.17±0.7 points). Sukjihwang abalone black sesame porridge for Soyangin had the highest score(5.83±0.9 points). Sanyakyulmu hwangtae porridge for Taeeumin had the highest score(5.90±0.6 points). Ginseng chicken curry porridge among porridges for Soeumin had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in taste, appearance, aroma,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6.53±0.7 points). A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clinical trial could not be conducted on the elderly classified as Sasang constitution. In the future, the elderly will be able to have oriental medicinal foo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