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crop safe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1초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수확 후 처리 환경의 위생지표세균 및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iriope platyphylla at Post Harvest Environments)

  • 김연록;하지형;김세리;박영춘;김경철;김원일;류송희;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9-106
    • /
    • 2016
  •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를 대상으로 충청남도 청양의 맥문동 재배 농가 3곳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작업자가 착용한 장갑의 일부에서만 정성적으로 검출되었다. 수확한 맥문동과 접촉가능성이 있는 주변환경(토양, 수확기, 수확용기, 세척기, 세척수, 채반 등)의 미생물 오염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다만 일부 세척기에서 대장균군이 $4.35log\;CFU/100cm^2$ 검출되어 위생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문동은 수확 이후에 세척과정과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 오염도(총호기성균, 대장균군, B. cereu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P 인증 수삼의 표적시장 연구 (Studies on Target Market of GAP Certified Raw-Ginseng)

  • 김관후;이가순;이두희;홍승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84-691
    • /
    • 2011
  • GAP 인증제도 도입초기의 시기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GAP 인증 수삼이 어떤 소비자를 대상으로 어떠한 방향의 마케팅전략을 수행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수삼 선택속성별 부분가치를 산출하였으며 GAP 인증 수삼의 시장예상점유율 시뮬레이션, 시장세분화(segmentation), 표적시장선정(targeting), 표적시장 소비자 특성 등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삼 선택의 주요 속성인 안전성, 크기, 가격에 대한 부분가치효용을 분석해 본 결과 일반 수삼보다는 GAP 수삼을 선호하였으며(1.373), 크기에 있어서는 큰 수삼을 선호하였고(1.014), 가격대는 낮은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각 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안전성이 47.2%, 크기가 35.0%, 가격이 17.8%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GAP 인증 수삼의 가상 상황에서의 시장점유율 시뮬레이션에서는 GAP 인증 수삼이 일반수삼과 비교하여 같은 크기에 가격이 다소 높거나, 같은 가격에 크기가 작은 경우에 도 소비자의 선택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자 선호특성을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통하여 수삼시장을 세분화한 결과, '큰 수삼 선호시장', '안전성 선호시장', '저가격 선호시장' 셋으로 나눌 수 있으며, 표적시장(target market)인 '안전성 선호시장'의 규모는 전체 수삼시장의 26.8%인 약 2,968톤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표적시장 소비자의 구매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구입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대형 마트에서의 수삼구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지에 안전성이나 연근에 대한 정보를 표기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가격 및 재배년근과 관련해서는 750g 한 채당 자가 소비용은 2~3만원, 선물용은 5~6만원대를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배년근의 경우에는 4년근 선호비율이 타 군집(세분시장)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GAP 인증 수삼은 굳이 고년근으로 재배할 필요는 없을것으로 생각된다. 표적시장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대는 40대 이하가 많았고 학력과 관련해서는 군집 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산초유 산패방지를 위한 항산화물질과 혼합유의 영향 (Effects of Blending Oil and Antioxidants to Prevent Rancidity of Sancho Oil)

  • 김학곤;강승미;박동진;용성현;양우형;박준호;유찬열;타미랏 솔로몬;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463
    • /
    • 2018
  • Backgrou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and Zucc) oil is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al material to treat severs stomach inflammation and as a diureti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antioxidants and blended oil the storage stability and safety of the biomaterial. Methods and Results: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on sancho oil were investigated, and the ability of antioxidants in preventing rancidity of the oil was discovered. Under fluorescent light and in darkness, the acidity of the oil was much lower than that under direct sunlight.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decreased the acid value of sancho oil; the antioxidant that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is regard was 0.5% propolis. The acid value of canola oil, which had the lowest acid value compared with that of other oils, and blended oil, containing 5% canola oil in sancho oil, decreased by 5.5% and 15%, respectively. About one acid value decrease was observed for every 1% increase in blending with canola oil. As the concentration of canola oil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lightness (L valu) of sancho oil increased slightly, while the blueness (b value)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nsuring food safety during preservation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presevation of sancho oil.

유전자교정작물 내 비의도적 돌연변이의 안전성 논란에 관한 과학적 고찰 (Scientific considerations for the biosafety of the off-target effects of gene editing in crops)

  • 이신우;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185-193
    • /
    • 2020
  • 최근, 유전자교정 작물의 상업화 승인 건수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유전자교정 작물의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전자변형작물의 상업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잠재적인 위해성 논란이 유전자교정 작물에 대하여서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비의도적 돌연변이(off-target)가 가장 큰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리뷰는 식물이 내포하고 있는 장점인 배수체, 체세포 돌연변이 그리고 자연 상태에서 아그로박테리아의 T-DNA 단편의 수평 전이로 창출된 자연적인 유전자변형작물과 기존에 상업화가 승인된 유전자변형작물 이벤트들의 게놈 내 비의도적 돌연변이 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 유전자교정 작물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비의도적 돌연변이는 인체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위해성을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할 수 있었다. 이에, 유전자교정 작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새로운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유전자변형작물의 안전 관리규정을 일부 "용어의 정의" 등만 개정하여 적용하면 충분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

목향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효과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 from Saussurea lappa)

  • 윤태숙;성윤영;장자영;양원경;지윤의;김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1-156
    • /
    • 2010
  • Obesity has become one of the main public health problems. Saussurea lappa (Asteraceae), syn Aucklandia lappa and Saussurea costus, is a well-known herbal medicine that has been used for treating various ailments, such as inflammator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 of S. lappa extract (SLE) in 3T3-L1 adipocytes and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e mouse model. S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from preadipocytes to adipocytes of cultured 3T3-L1 in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SL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gain and the food efficiency ratio of mice fed HFD during 9 weeks. Further study must be performed for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 and safety of SLE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 in SLE. Our results revealed that S. lappa suppresses the adipogenesis in cultured cells and the obesity in rodent models. Therefore, S. lappa may be useful toward the development of new potent anti-obesity drugs.

한약재 중 아플라톡신 Monitoring (Monitoring of Aflatoxins in Herb Medicines)

  • 이성득;김연선;윤용태;박애숙;신영;김화순;김유경;최병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8-344
    • /
    • 2010
  • Our paper shows the results of 302 samples of herb medicines about fungal contamination at Yakyeang markets in Seoul. The sample medicines were treated VICAM pretreatment and analysed by post column derivatisation procedure(PHRED-HPLC)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Aflatoxin B1 was founded from 50.3% of samples, aflatoxin B2 was 39.7%, aflatoxin G1 was 21.2% and aflatoxin G2 was 23.5%. The detected ranges of aflatoxin B1, B2, G1 and G2 were from 0.1 to $57.2\;{\mu}g/kg$, 0.1 to $42.6\;{\mu}g/kg$, 0.1 to $23.5\;{\mu}g/kg$ and 0.1 to $9.5\;{\mu}g/kg$ respectively. Among total samples, 26 samples contained aflatoxin B1 violated the regulation (less than 10 ug/kg) for aflatoxin B1 of KFDA. From the result, we could presumed that more than a half of samples were contaminated by aflatoxin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the new safety giudeline will be established aflatoxin B2, G1 and G2 from herb medicines as aflatoxin B1.

오디 재배양식 및 지역에 따른 균핵병 방제 효과와 농약 잔류 특성 (Pest Control and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of Mulberry Fruit and Leaf against Popcorn Disease by Cultivated Type and Region)

  • 김현복;이영보;임정대;이소라;구본우;권해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35-444
    • /
    • 2020
  • Background: As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is implemented in broad application to agricultural products, attention to the correct use of pesticides is also needed in the production of mulberry leaves and fruit. In this regard, three types of pesticides against mulberry popcorn disease were applied 2 - 3 times both in the field and greenhouses to prepare safety standards.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conducted on mulberry fruits and leaves. Methods and results: Three pesticieds, thiophanate-methyl,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and fluopyram registered as PLS pesticides for mulberry popcorn disease, were sprayed in the Wanju and in Buan regions, after which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 three pesticieds were either undetected or below the permissible level in mulberry fruit, demonstrating that they were suitable for safe spraying. However, 5.6 mg/kg of thiophanate-methyl was detected in the greenhouse after three application, which was slightly above maximum residue limit (MRL). Furthermore the level of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was higher than 0.2 mg/kg ("Gwasang No. 2" variety, spraying twice) or similar to 0.09 mg/kg ("Daesim" variety, spraying thrice) the permissible level (0.1T mg/kg) as the thiophanate-methyl was detected in mulberry leaves in the greenhouse. Conclusions: The spraying frequency for controlling mulberry popcorn disease in greenhouses should be limited to two times or less, especially when mulberry leaves are treated with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f the leaves are to be used as food materials.

고려인삼(高麗人蔘)에 대한 제초제(除草劑) Fluazifob-butyl의 안전성(安全性) (Safety of the Herbicide Fluazifop-butyl application on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조재성;원준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6-150
    • /
    • 1995
  • 선택성 화본과 잡초의 제초적인 Fluazifop-butyl의 고려인삼에 대한 안전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을 위시하여 이의 3배 또는 4배 약량까지 약량별로 인삼의 경엽에 분무처리한 후 인삼 잎의 광합성량과 호흡량 및 인삼의 경엽생육을 측정하였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 또는 2배 약량을 경엽처리할 경우에는 인삼의 광합성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배 또는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직후 광합성량의 저하를 초래하였던바 3배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7일에 인삼 잎의 광합성 능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지 않았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으로 경엽처리 할 경우에도 인삼잎의 호흡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호흡량의 감소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Fluazifop-butyl의 경엽처리에 따르는 호흡량의 감소정도는 처리약량을 증가할수록 현저히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의 3배 약량으로 경엽처리 하여도 인삼 엽병의 길이나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인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의 생육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우리나라 주요 산약 재배지 GAP와 관련된 재배환경 실태 (Cultivation Environment in Relation to Good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Disocorea batatas)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0-295
    • /
    • 2011
  • 본 연구는 산약(Disocorea batatas)을 대상으로 토양 및 관개용수의 질 평가, 화학비료 및 퇴비의 사용실태 그리고 잡초 및 병해충 실태에 대한 현장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산단계에서 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기반조성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약 재배지 토양과 관개용수 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 모두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산약재배지 관개용수 가운데 총질소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총인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 화학비료와 퇴비가 복합적으로 과량 투입되고 있음이 현장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최적의 양분종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서 우점 잡초는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그리고 깨풀(Acalypha australis)로 나타났으며, 제초제 처리횟수는 1년에 2회 처리가 가장 많았고, 일부 농가에서는 4회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산약 재배지에서 병해는 탄저병과 잎마름병이 주로 발생하였고, 해충으로는 응애가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연 4~5회 처리하고 있었다. 산약의 안전성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투입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유기농업에 의한 우수 산약의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려엉겅퀴를 가해하는 여뀌못털진딧물에 대한 몇 가지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Organic Materials Against Artichoke Aphid (Capitophorus elaeagni, Del Guercio) that Damage Korean Thistle)

  • 이상구;정충렬;한경숙;박부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293-297
    • /
    • 2022
  •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서 식용이 가능하며 곤드레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근 고려엉겅퀴에 여뀌못털진딧물(Capitophorus elaeagni, Del Guercio)의 발생이 확인되어 재배농가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한 친환경적인 방제방법 구명을 위해 시판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고려엉겅퀴 식물체에 발생한 여뀌못털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pyrethrins+paraffinic oils 이 98% 수준의 방제가를 보여주었으며 pyrethrins+matrine+pyroligneous 가 약 95%의 방제가를, azadirachtin+rotenone 성분이 7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중 pyrethrins 성분이 가장 좋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여겨지며 유기농업자재 살포로 인한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