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collaboratio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7초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의 개방형 혁신 특허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patent through open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pharmaceutical and biotechnology firms)

  • 이병호;이상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56-365
    • /
    • 2017
  • 본 연구는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내부특허, 산학특허, 매입특허의 양적 수준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내부특허 중심으로만 이루어진 기존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하였다. 기존의 연구방식으로는 산학협력 및 매입을 통해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글로벌 대기업들의 경영성과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의 경우 M&A를 통한 특허의 매입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어 매입 특허의 분석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하나하나의 특허 명세서를 추적해 권리관계의 변동을 조사해야하는 어려움 때문에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었다. 또한 연구방법 측면에서도 기존 성장모형에 특허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안해 t-3년까지의 유한 시차를 고려한 확장모형을 제시했다. 분석결과 양적 특허수준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고 시장가치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수익에는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미쳤다. 3가지 특허중 기업의 시장가치에는 내부특허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매출과 수익에는 매입특허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제약 바이오 기업에 있어서 매입특허가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오는 이유는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이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여러 가지 기술의 융복합이 필요한 연구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기업들이 특허를 매입하거나 M&A를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는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기업들이 최적 특허 포트폴리오 구성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현실 기반 가정환경 수정에 관한 내러티브 문헌 고찰 (A Narrative Review of Home Modifi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황나경;심선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95-504
    • /
    • 2021
  • 본 고찰은 가상현실 기반 가정환경 수정 프로그램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 가상현실 기반 가정환경 수정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위해 Medline, Embase, Scopus 등의 데이터 베이스와 수기검색을 이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6월 현재까지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정환경 수정을 다루는 있는 학술연구, 컨퍼런스 및 심포지엄 속의 연구 등을 수집하였다. 선정기준을 통해 총 7편의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연구들은 가정환경 수정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및 프로그램의 수용성 및 사용성 등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들로 나타났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정환경 수정 프로그램은 가정환경 수정에 관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 적용되고 있으며, 가정환경 수정 전문가 양성 및 이해당사자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과 원격 가정환경 평가, 수정 프로세스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가정환경 수정에 관여하는 여러 이해당사자들과의 소통과 협업을 촉진시키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향후 국내 주택의 특성을 반영한 가상현실 기반 가정환경 수정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가정환경 수정 현장에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도구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비타민 D와 소아 호흡기 감염의 위험성: 무작위 대조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Vitamin D and Risk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안종균;이도경;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109-116
    • /
    • 2016
  • 목적: 최근 관찰연구들에서 낮은 혈중 25(OH)D 농도가 호흡기 감염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소아의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 비타민 D의 투여가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번 연구는 비타민 D 보충 요법이 호흡기 감염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MEDLINE, EMBASE,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을 이용하여 소아의 호흡기 감염 예방을 위해 비타민 D 보충을 실험한 무작위 대조 연구들이 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 문헌의 비뚤림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코크란 연합의 질 평가 방법(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the risk of bias)을 사용하였다. 연구별로 상대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추출한 후, Review Manager 5.3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7편의 무작위 대조 연구들이 메타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 임의효과모형을 사용하여 산출된 전체 비타민 D 보충군에서 상대적 위험도는 0.82 (95% CI: 0.69-0.98)이었고, 이질성에 대한 $I^2=62%$ 이었다. 연구 간의 이질성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하위 집단 분석에서 추적 관찰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대상군의 나이가 5세 이상인 경우, 대상군이 환자인 경우, 비타민 D 투여 요법이 매일 요법인 경우 이질성이 감소하였다. 깔때기 그림에서 출판 비뚤림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비대칭 소견을 보였다. 결론: 메타분석 결과는 소아에서 비타민 D 보충요법이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에 포함된 연구들이 적고, 연구들 간에 이질성이 존재하며, 출판 비뚤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결과를 주의해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현안과제와 직무확충 방안 (Problems to Solve and Job Enlargement on the Inclusion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 이다솜;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40-348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요구와 논의가 있는 현 시대적 상황에서 치과의료인력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를 위한 선행과제와 의료인이 되었을 때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 259명, 치과의사 128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인식과 선행 과제, 긍정 및 부정적 효과와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해 치과위생사의 94.2%, 치과의사의 46.9%가 인지하였고, 치과위생사는 협회매체(52.5%), 치과의사는 치과신문(23.4%)을 통해 인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찬성도는 치과위생사의 95.0%, 치과의사의 64.1%였으며, 당위성은 치과위생사가 84.9%, 치과의사 51.6%였다. 당위성의 근거로 치과위생사는 업무 전문성과 교육과정 부합성이 높았고 업무 부합성이 낮았으나 치과의사는 의료체계 유사성이 높았고 교육과정 부합성이 가장 낮았다. 의료인화를 위한 선행 과제 중 직업적 영역에서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 모두 직업의식과 윤리의식이 높았다. 제도적 영역에서도 두 직종 모두 치위생교육 질 관리가 가장 높았으며, 학제 일원화가 가장 낮았다. 사회적 영역에서 치과위생사는 중앙정부설득과 국민공감대 형성이 높았고, 치과의사는 유관단체 협력과 중앙정부 설득이 높았다.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시 긍정적 효과는 치과위생사 인식 확장이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 모두 가장 높았고, 부정적 효과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임금상승 심화와 위임진료 증가가 높았고, 치과의사는 임금상승 심화와 구인난 심화가 높았다. 의료인화 시 확장 가능한 전문업무로는 독자적 치주관리프로그램 운영으로 치과위생사(79.9%)와 치과의사(69.6%) 모두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는 치주관리를 위한 진단(44.4%)과 전신질환자 구강건강관리(44.0%), 비외과적 치주처치(41.3%), 근육 정맥주사(27.4%) 순이었고, 치과의사는 근육 정맥주사(44.1%), 비외과적 치주처치(34.3%), 전신질환자 구강건강관리(29.4%), 치주관리를 위한 진단(13.7%)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 의료인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의료인화와 관련하여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합리적으로 조정되고 합법화하는 데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얼굴마비 환자의 의·한의 협진 의료이용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데이터를 이용 (A study on the facial palsy patients' use of Western-Korean collaborative treatment: Using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 박효성;엄태웅;김남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75-86
    • /
    • 2017
  • 본 연구는 의 한의 협진 진료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인 얼굴마비에 대하여, 2014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자료 (HIRA-NPS, 2014)를 이용해서 진료 에피소드 단위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보험 급여 청구현황에 근거한 진료 에피소드 단위 분석결과, 의 한의 협진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는 50세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마비 환자들에서 확인된 의료이용 패턴은 의과 단독 진료 군의 경우 진단 및 검사가 다 빈도로 확인되었으며, 한의과 단독 진료와 의 한의 협진 진료 군의 경우는 치료 항목들이 다 빈도로 나타났다. 치료 행태별 요양일수는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의과 단독진료 등의 순으로 다 빈도가 확인되었으며, 내원일당 요양급여 비용은 의과 단독 진료,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의 한의 협진 의료이용 행태는 향후 본 질환의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의료 정책의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양방 협진을 위한 한의학 교육에 대한 의사 한의사의 인식조사 (Attitudes of Western Medicine Doctors and Korean Medicine Doctors toward Korean Medicine Education for Cooperative Practices)

  • 한경연;구현경;윤영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0-169
    • /
    • 2013
  • Objectives: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itudes of western medicine doctors (WMD) and Korean medicine doctors (KMD) toward Korean medicine education (KM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KME programs. Methods: We selected study objects in western medicine (WM) - Korean medicine (KM) collaborative institutions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both WMD and KMD for comparison. The data from 167 WMD and 135 KM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frequency, ${\chi}^2$ test and T-test analysis. Results: 61.1% of WMD have never experienced KME and 15% were not interested in cooperative practices and research. Most KME was done in medical schools (45%) and only 5% in residency education. WMD interested or experienced in cooperation have had more KME than the uninterested and inexperienced groups. Intentions of WMD to cooperative practices and research made a difference on the willingness to take KME, while relevant experiences didn't. WMD and KMD differed in ideas about major KME topics; WMD put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herb-drug interaction, while KMD did on KM diagnosis and treatment. They also have different views on the optimal KME course load. Conclus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more continuing KME and motivation for cooperation is required for WMD. Improvements are also needed in the form and contents of KME to meet the demands of learners.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을 위한 Critical Pathway개발과 적용효과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the Chemotherapy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nd Its Effects)

  • 최자윤;장금성;최은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5-9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critical pathway for the chemotherapy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after implementation. Critical pathway was developed through 5 steps including content and clinical validity tests with collaborative efforts of nurses, clinicians, and other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while minimizing cost to the patients. This paper was described an evaluation of the impact of a developed critical pathway on complication rate, length of stay, costs, the interval of treat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b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only non-synchronized research design.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of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occurrence of bone marrow suppress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0.01, p=0.99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verage length of stay(t=-10.45, p=0.000), in the average cost(t=-2.988, p=0.004), and in the interval of treatment(t=-6.75, p=0.000) after implementation of the critical pathwa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atient satisfaction after implementation of the critical pathway compared to control group(t=4.57, p=0.000). This paper concludes that critical pathway in chemotherapy for lung cancer,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an general hospital, is the useful tool to shorten the hospital stay, reduce treatment cos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dentify other clinical outcomes including job satisfaction, collabora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and potential for use in education. Also, it is recommended that nurses should revise continuously the developed critical pathway through clinical implementation and maintain their role of patient advocacy through monitoring pathway compliance.

  • PDF

병원근무자의 직무만족 요인 분석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 장미경;최윤경;황지인;김은경;박노현;이지영;황정해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81
    • /
    • 2004
  • Purpose: To identify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and the relating factors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a total of 1,031 healthcare workers(doctors, nurses, pharmacists, medical engineers, office workers, etc)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 expert group.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1 items including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five Likert scale.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on job characteristics was 3.24 on the five Likert scale.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was 4.14 in role clarity, 3.26 in communication participating rate, 3.10 in work variety, 3.06 in autonomy, and 2.64 in workloa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3.00. Particularly, the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was 3.83, co-worker's support. 3.73, identity, 3.62, education/training opportunity, 3.12, pay, 2.62, welfare, 2.35, promotion, 2.34, and organizational conflict, 2.00.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3.00. In the satisfaction of each item, the score of disposition was 3.83, contribution to the hospital, 3.75,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 3.70, and attitude on job performance, 3.68.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work variety. The satisfaction related significantly to loyalty index(r=.486, p=.000), autonomy(r=.415, p=.000), pride as a member of hospital(r=.411, p=.000), supervisor support(r=.364, p=.000).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developing organizational strategy to promote job satisfaction can decrease the turnover rate and increase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t will contribute to enhance productivity in hospital.

  • PDF

재가노인 기능상태 평가도구를 이용한 재가노인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ffects of Case Management using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RAI-HC) in Home Health Services for Older People)

  • 전경자;이지윤;윤종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6-375
    • /
    • 2009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using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RAI-HC) in home health service for older people. Methods: All elder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3 months later using RAI-HC. The change of func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intervention group. Function was measured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Cognitive Performance Scale(CPS), Depression Rating Scale(DRS), Pain and the number of Clinical Assessment Protocols(CAP). Results: Among ninety two eld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59 were allocated to the case management group and 33 to the conventional group. The intervention, home health service by a nurse over a 3 month period, consisted of comprehensive assessment, case conference for care plan, direct care, education and referral, and outcome evaluation. The percent of elders whose function impro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greater than the conventional group for depression(odds ratio [OR]: 10.941, confidence interval [CI]: 2.338-51.206), IADL(OR: 4.423, CI: 1.151-16.999) and the number of CAP(OR: 11.443, CI: 3.805-34.410). Conclusion: Case management was effective for older people in the community. The effect might have resulted from individual, systematic intervention, however, standards of service including eligibility criteria for case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of multi-disciplines is required for more effective home health service programs.

일부 만성 중증 정신질환자의 약물 복용에 따른 구강건조증상과 자극성 타액분비율 (Subjective oral dryness and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in medicated patients in chronic severe psychiatric patients)

  • 문소정;서혜연;전현선;백지현;노희진;정원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3-362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xerostomia in the chronic severe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because there were few reports on xerostomia in the psychiatr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61 psychiatric patients in the mental hospital by convenience cluster sampling. A self-reported symptom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the three researchers on the basis of medical records by the informed consent.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by saliva sampling. Results : The subjects consisted of 45.9% of male and 54.1% of female. High school graduation accounted for 40.0% and 20.0% did not attend the school.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medicaid recipients. Schizophrenia accounted for 86.9% and most patients were long term care recipients. A total of 68.9% of the patients suffered from salivary dysfunction. The medication in schizophrenia seemed to decrease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nd made the patients difficult in chewing and swallowing due to xerostomia and low saliva secretion(p<0.05). Conclusions : Medica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caused the salivary dysfunction. So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psychiatry doctors and dental hygienists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alivary secretion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The continuous and long term care of the xerostomia will help the patients maintain the good oral hygi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