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l

검색결과 2,253건 처리시간 0.034초

공간정보를 이용한 뇌 자기공명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Brain MR Images Using Spatial Information)

  • 김형일;김용욱;김준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7-206
    • /
    • 2009
  • 의료정보 시스템은 의료영상과 진단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효과적인 진단 보조 도구이지만 단순히 정보의 저장과 전송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진단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영상 분류 및 검색 시스템이 필요하다. 의료영상 분류 및 검색 시스템은 질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진단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사례 확인을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의료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상 분류 및 검색 시스템은 영상의 표면적인 정보만을 이용하므로 영상이 내포하는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영상의 표면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관계를 파악하여 영상을 분류할 수 있는 의료영상 분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의 표면적인 정보와 공간정보를 추출하여 뇌 자기공명영상을 학습하고 분류한다. 영상의 표면적인 정보는 영상 자체가 갖는 색상, 모양 등의 정보로 하위 영상정보라 하고, 영상의 논리정보를 상위 영상정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하위 영상정보와 상위 영상정보를 추출할 때 뇌의 해부학적 명칭과 구조를 활용하였다. 하위 영상정보는 뇌 영상의 부분 영역들에 대한 해부학적 명칭을 부여하기 위해 활용되고, 상위 영상정보는 명칭이 부여된 부분 영역들의 관계를 활용하여 정보를 추출한다. 각 정보는 학습과 분류에 사용된다. 실험에서는 질환을 갖는 뇌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하였다.

트레드밀 내리막 보행을 이용한 노인 낙상관련 위험요인의 운동역학적 분석 (Biomechanical Analysis of Elderly Fall Related Risk Factors using Downhill Walking on Treadmill)

  • 우정현;박상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643-655
    • /
    • 2016
  • 본 연구는 내리막 경사의 변화에 따른 노인집단과 젊은 성인집단의 운동역학적 보행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 보행패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노인들의 운동역학적 측면에서 낙상 요소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20대 건강한 젊은 성인여성집단(yrs: 21.17±1.5)과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여성집단(yrs: 66.67±1.33)을 대상으로 각각 18명씩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트레드밀 위에서 선호속도로 평지, -7.5°, -15°의 세 가지의 경사조건에서 보행을 실시하였다. 노인집단은 성인집단에 비해 내리막 보행 시 신체중심의 좌우변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p<.05), 경사에 따라 무릎과 발목 관절의 발목 가동변위는 노인집단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엉덩관절의 가동범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노인집단의 최대 신전 각은 성인집단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내리막 보행 시, 성인집단보다 더 적은 무릎 신전모멘트가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 결과 노인들은 내리막 보행 시 낙상 위험에 더욱 노출되고 불안정한 보행을 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젊은 성인집단보다 더욱 안정적인 보행 전략을 세워서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들의 보행특성 및 낙상과 관련된 운동역학적 변인을 수집하고, 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가동성과 목 관절가동범위의 상관연구 (Correlation Between Pectoralis Minor, Shoulder Mobility and Neck Range of Motion on Rounded Shoulder Posture for Life-Care Increase in Women University Student)

  • 서태화;김민선;정연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9-246
    • /
    • 201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둥근 어깨 자세의 작은가슴근, 어깨 가동성, 목 관절 가동 범위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둥근 어깨 자세를 가진 성인 여성 8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가 누운 자세에서 어깨의 높이를 측정하여 둥근 어깨 자세를 측정하였고, 작은가슴근의 길이, 어깨 가동성, 목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상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 둥근 어깨와 목 폄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다.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5(p<0.05)이었고, 오른쪽 작은가슴근 지수와 목 굽힘 상관계수는 -.25(p<0.5)이었다.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가쪽 굽힘의 상관계수는 -.23(p<0.05)이었고,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오른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3(p<0.5)이었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과 목 왼쪽 돌림의 상관계수는 -.25(p<0.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오른쪽의 둥근 어깨가 심할수록 목폄이 감소하였고, 오른쪽 작은가슴근이 단축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과 목 굽힘이 감소하였으며, 왼쪽 어깨 가동성이 증가할수록 목 왼쪽 가쪽 굽힘은 감소하였고, 오른쪽 돌림과 왼쪽 돌림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일차성 두통에서 초음파 유도 하 후두신경 차단술: 해부학적 주사부위에 따른 두 가지 테크닉의 비교 (Ultrasound-Guided Greater Occipital Nerve Block for Primary Headache: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by Anatomical Injection Site)

  • 유명철;김희상;이종하;유승돈;윤동환;김동환;이승아;소윤수;김용;한영록;권정호;장하늘;전진만
    • Clinical Pain
    • /
    • 제18권1호
    • /
    • pp.24-30
    • /
    • 2019
  • Objective: Greater occipital nerve block (GONB) is a widely accepted treatment of primary headaches. Two ultrasound (US)-guided blockade techniques exist: 1) the classical distal nerve block technique performed medial to the occipital artery at the superior nuchal line, and 2) the new proximal nerve block technique performed at the obliquus capitis inferior muscle at the level of C2. Our study aim was to perform a head-to-head comparative study of these two US-guided techniques. Method: Forty-nine patients with primary headache treated in our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of the classical nerve block and the new proximal nerve block techniques. The headache questionnaire was made to assess the intensity of the pain of headache attacks, number of days they experience headache, duration of headache, and amount of pain medication they consumed. Results: In both groups, a decrease in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the headache was observed. There was no measurable difference in outcom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the classic and new proximal techniques are equall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headache severity and frequency.

젊은 성인의 근 피로가 발생된 무릎관절 폄근에 냉 찜질과 온 찜질의 적용이 균형, 고유수용성감각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ce and Hot packs on Balance, Proprioception and Muscle Strength in Young Adults with Knee Extensor Muscle Fatigue )

  • 하헌호;장희진;이동엽;홍지헌;유재호;김진섭;남연교;김성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1-13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ce and hot packs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knee extensor muscle fatigue. METHODS: A total of 3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twenties from a university in A, Chungnam, Korea,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proprioception, and muscle strength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muscle fatigue, and following intervention. RESULTS: In the case of stability typical (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illow with eye open (PO) when a Hot pack was applied (p < .05). The weight distribution index (W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mal eye open (NO) and Normal eye closed (NC) tests when ice packs and hot packs were applied (p < .05). In the dynamic balance assessment using Y-bal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values except for pre- and post-intervention in the medial and lateral directions (p < .05). The recovery of proprioceptive sens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ce packs were applied (p < .05). In muscle streng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comparisons between measurement time points (p < .05). CONCLUSION: Rest was most effective for static balance, and cold and warm compresses were most effective in recovering dynamic balance. For proprioception, cold compresses were most effective. Muscle strength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in all three intervention methods. These results show that cold and warm compresses can be useful in the recovery of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muscle fatigue.

낙지 Octopus minor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scopic Anatomy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Long Arm Octopus Octopus minor (Cephalopoda: Octopodidae))

  • 김성진;김현진;신소령;서명교;김평우;김은하;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8-185
    • /
    • 2023
  • 본 연구는 낙지의 생식생태 이해에 필요한 수컷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낙지는 교접완의 유무를 통하여 성을 구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갖는 종이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일차수정관, 저정낭, 이차수정관, 정포선, 정포낭으로 구성된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으며, 수컷 생식세포들은 층상배열상을 보였다. 일차수정관은 정소와 저정낭을 연결하는 관으로 상피층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저정낭은 일차수정관과 이차수정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피층은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된다. 점액세포는 AB-PAS (pH 2.5) 반응에서 푸른색, AF-AB (pH 2.5) 반응에서 보라색으로 반응하였다. 이차수정관은 저정낭과 정포선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다. 정포선은 다수의 관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정포낭은 주머니 모양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으며, 상피층에 공포상의 분비세포가 존재하였다. 정포는 길이 약 83.5 mm로 전방부의 당김사, 중간부의 발사체와 고정체, 후방부의 정자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발목관절 검사 보조기구의 유용성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an Ankle Joint Examination Assistive Device using a 3D Printing)

  • 홍동희;김은혜;주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099-1108
    • /
    • 2023
  • Mortise view 검사는 발목관절 검사로써 발목관절의 외상이나 염좌, 탈구가 의심되는 병변의 유무를 관찰한다. mortise view 검사 시 사용되는 보조기구는 영상에 인공물을 발생하거나,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가격이 비싸다. 이에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mortise view 검사보조기구(ShinHan Device; SHD)를 제작하였다. SHD를 사용했을 때와 시제품인 hologic tool을 사용했을 때의 목말종아리관절, mortise 관절, 목말정강관절의 길이를 5명의 연구자가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SHD를 사용했을 때 평균값의 범위는 TTJ에서 39.42~39.47 mm, TCJ 31.41~31.57 mm, MJ 21.21~21.23 mm의 범위로 나타났다. hologic tool를 사용했을 때는 TTJ 39.73~39.79 mm, TCJ 31.46~31.50 mm, MJ 21.31~21.35 mm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모든 위치에서의 오차범위가 hologic tool에 비해 SHD를 사용 때 TTJ는 24%, TCJ는 17%, MJ는 36% 감소하였으며, SHD를 사용하였을 때 재현성 높은 검사자세를 구현할 수 있었으며(ICC=0.99), hologic tool에서 발생하던 인공물을 제거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Impac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ith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on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Cartilage of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Based on MRI T2 Mapping

  • Hongyue Tao;Yiwen Hu;Rong Lu;Yuyang Zhang;Yuxue Xie;Tianwu Chen;Shuang Che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3호
    • /
    • pp.384-394
    • /
    • 2021
  • Objective: To quantitatively assess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cartilage of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in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CLAI) patients with isolated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injuries and combined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injuries using MRI T2 mapping.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regulations of the Committee for Human Research at our institution, and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Forty CLAI patients (26 with isolated ATFL injuries and 14 with combined ATFL and CFL injuries) and 25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underwent MRI scans with T2 mapping. Patients were assessed with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rating system. The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were segmented into 14 cartilage subregions. The T2 value of each subregion was measured from T2 mapping images.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the Student's 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2 values of most subregions of the subtalar joint and the calcaneal facet of the calcaneocuboid joint in CLAI patients with combined CFL injuries were higher than those in healthy controls (all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2 values in subtalar and midtarsal joints between patients with isolated ATFL injuries and healthy controls (all p > 0.05). Moreover, T2 values of the medial talar subregions of the posterior subtalar joint in patients with combined CFL injuri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OFAS scores (r = -0.687, p = 0.007; r = -0.609, p = 0.021, respectively). Conclusion: CLAI with combined CFL injuries can lead to cartilage degeneration in subtalar and calcaneocuboid joints, while an isolated ATFL injury might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tilage in these joints.

대용량 복수후보 TTS 방식에서 합성용 DB의 감량 방법 (A DB Pruning Method in a Large Corpus-Based TTS with Multiple Candidate Speech Segments)

  • 이정철;강태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72-577
    • /
    • 2009
  • 대용량 음성 DB를 사용하는 음편접합 TTS는 부가적인 신호처리 기술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문맥을 반영하는 여러 합성유닛들을 결합해 합성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높은 자연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중복되는 음편의 감량을 위해서 음성인식분야에서 사용되는 결정트리 기반의 트라이폰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음편 내의 음향적 천이 특성을 반영하기가 어렵고 문맥질의 적용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TTS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DB감량을 위해 결정 트리 기반의 새로운 음소 군집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음편의 처음, 중간, 끝 3프레임의 각 13차 MFCC벡터를 통합한 39차의 벡터로 음편내의 변이성과 연결성을 표현한다. 결정 트리의 상위부분에서는 포괄적인 문맥질의를 하위부분에서는 세부적인 문맥질의를 적용시켰다. 그리고 기존 결정트리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과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평가용 트라이폰 모델의 음편과 트리에서 탐색한 트라이폰 모델의 음편들 간의 음향적 유사도를 DTW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체 음성DB의 크기를 23%로 줄일 수 있었고, 음향적 유사도가 높은 음편을 선택함을 보이므로 향후 소용량 DB TTS에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Decay-Accelerating Factor Differentially Associates With Complement-Mediated Damage in Synovium After Meniscus Tear as Compared to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V. Michael Holers;Rachel M. Frank;Michael Zuscik;Carson Keeter;Robert I. Scheinman;Christopher Striebich;Dmitri Simberg;Michael R. Clay;Larry W. Moreland;Nirmal K. Banda
    • IMMUNE NETWORK
    • /
    • 제24권2호
    • /
    • pp.17.1-17.16
    • /
    • 2024
  • We have reported that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leads to the differential dysregulation of the complement system in the synovium as compared to meniscus tear (MT) and proposed this as a mechanism for a greater post-injury prevalence of post traumatic osteoarthritis (PTOA). To explore additional roles of complement proteins and regulators, we determined the presence of decay-accelerating factor (DAF), C5b, and membrane attack complexes (MACs, C5b-9) in discarded surgical synovial tissue (DSST) collected during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ve surgery, MT-related meniscectomy, osteoarthritis (OA)-related knee replacement surgery and normal controls. Multiplexed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to detect and quantify complement proteins. To explore the involvement of body mass index (BMI), after these 2 injuries, we examined correlations among DAF, C5b, MAC and BMI. Using these approaches, we found that synovial cells after ACL injury express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DAF as compared to MT (p<0.049). In contrast, C5b staining synovial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ACL injury (p<0.0009) and in OA DSST (p<0.039) compared to MT. Interestingly,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AF & C5b (r=0.75, p<0.018) and DAF & C5b (r=0.64 p<0.022) after ACL injury and MT, respectively. The data support that DAF, which should normally dampen C5b deposition due to its regulatory activities on C3/C5 convertases, does not appear to exhibit that function in inflamed synovia following either ACL injury or MT. Ineffective DAF regulation may be an additional mechanism by which relatively uncontrolled complement activation damages tissue in these injury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