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water level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35초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논에서의 회귀율 조사분석 (Return flow analysis of paddy field by water balance method)

  • 정상옥;손성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9-68
    • /
    • 2001
  • A water balance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paddy field neighboring the Dongchang stream, downstream of the Unmun reservoir, which is constructed for the urban water supply. Daily rainfall data were collected and irrigation water flow rate, drainage flow rate, evaportranspiration, infiltration, and piezometeric head were measured in the field. The flow rates were continuously observed by water level logger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evaportranspiration and the infiltration were measured by N-type depletion meter and cylindrical infiltrometer, respectively. PVC pipes with 12mm diameter were used for piezometric head measurement. Total Irrigation and drainage flows were 3,608mm and 1,170mm in 1999, and 3,971mm and 1,548mm in 2000, respectively. The mean and range of the daily infiltration rate were 4.4mm/d and 3.4mm/d to 5.5mm/d in 1999 and 5.1mm/d and 4.1mm/d to 6.5mm/d in 2000, respectively. The net ground water flow including the change of soil water storage was 2,855mm in 1999 and 2,540mm in 2000. The evapotranspiration was 458.3mm in 1999 and 553.5mm in 2000. The range of daily evapotranspiration rate was from 1.6 to 8.7mm/d. The return flow ratio was about 32% in 1999 and 39% in 2000 and three year average was 35% including previous study in 1997.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was much higher than design standards or references in this study, This was caused by the inadequate water management practice in the area where water was oversupplied on farmers’ request rather than following sound water management principles.

  • PDF

Impac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n irrigation water quality of a canal - a case study of Tongi canal, Bangladesh

  • Zakir, H.M.;Islam, Md. Mahidul;Hossain, Md. Sohrab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09-123
    • /
    • 2016
  • The Dhaka city, the capital of Bangladesh is one of the most densely populated cities in the world. Tongi canal is situated on the north of the city, which connected the Turag river to the west and the Balu river to the east. A total of 26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anal to measure irrigation water quality on the basis of their trace metal and major ionic constituents. Trace metals concentrations in water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amount of Fe, Mn, Zn and Pb in water samples ranged from 0.01-0.80, trace-1.02, trace-0.054 and $0.43-0.64{\mu}g\;mL^{-1}$,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Ca, Mg, Na, K, $HCO_3{^-}$, $Cl^-$, $BO{_3}^{3-}$, $PO{_4}^{3-}$ and $SO{_4}^{2-}$ in water samples were 45.32, 15.33, 151.65, 11.98, 516.06, 94.69, 0.33, 14.02 and $56.21{\mu}g\;mL^{-1}$, respectively. In respect of $HCO_3{^-}$, $SO{_4}^{2-}$, $PO{_4}^{3-}$ and K contents, most of the water samples were found problematic for irrigation. In context of RSC and hardness, 96 and 92% of water samples were graded as unsuitable and hard class, respectively. The study concluded that Pb content in canal water was comparatively high, so it is desirable to take necessary initiative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level and to monitor its concentration in water routinely.

폐쇄식 사육 장치내에서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성장 (Growth of th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e Closed Aquaculture System)

  • 김인배;손맹현;민병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2
    • /
    • 1991
  • 1987년 4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4,000\;\ell$ 콘크리트 탱크 및 $270\;\ell$ 유리 수조를 이용한 폐쇄순환여과사육장치내에서 크기에 따른 일일성장률과 사료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체의 크기는 평균체중 7 g 에서 1,000 g 되는 일본계통 틸라피아 Oreoohromis niloticus 였다. 매실험마다 최초방양 무게는 콘크리트 탱크에서는 200 kg (수량의 $5{\%}$), 유리 수조에서는 $10{\~}20$ kg (수량의 $3.7\%{\~}7.4\%$)으로 조절하였다. 매실험사육기간은 14일 전후였다. 수온은 $26^{\circ}C$ 내외로 유지시키도록 했는데, 약간의 변화는 피할 수 없었다. 용존산소는 약 $3\;mg/\ell$ 이내로 조절하였으며, 암모니아는 유리 수조에서 일시 $18\;mg/\ell$ 까지 상승한 적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4\;mg/\ell$ 이었으며, 콘크리트 탱크에서는 약 $1\;mg/\ell$ 로 유지되었다. 어체중 약 10 g에서의 사료계수는 0.9, 일일성장률은 $3.5{\%}$ 였으며, 어체중 약 800 g 때의 콘크리트 탱크에서의 일일성장률은 $0.8{\%}$, 유리 수조에서의 일일성장률은 약 $0.5{\%}$이었다. 실험어는 대두정을 주성분으로 한 $32{\%}$ 조단백질을 함유한 사료를 공급하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에 따라서 식용어로 될 수 있는 틸라피아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계산상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즉, 콘크리트 탱크($7m^{2}$)에서는 50 g 되는 치어를 방양하여 1,000 g 까지 기르는데 223일 걸리며, 유리 수조에서는 10 g되는 치어를 방양 800 g 까지 기르는데 302일이 걸린다.

  • PDF

낙동강 하구의 담수 방류와 표층 수온 및 염분 반응 : 계류형 센서 연속관측 결과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Mooring Observ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 김상일;윤석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19
  • 낙동강 하구에서 연속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담수의 방류와 수온 및 염분의 시간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였다. 낙동강 하구 서쪽 해역에 계류형 센서를 설치하고 2017년 4월 1일부터 2018년 3월 31일까지 10분 간격으로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였다. 담수의 방류량은 평상시에 $200m^3\;s^{-1}\;d^{-1}$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풍수기에는 $500{\sim}1000m^3\;s^{-1}\;d^{-1}$ 이상의 많은 양의 담수가 빈번하게 방류되었다. 담수의 방류는 대조기에는 간조를 전후하여 발생하였고, 소조기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일어났다. 평상시에 수온과 염분은 소조기 동안 큰 변동 없이 안정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대조기에는 방류주기에 따라 규칙적인 변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기간 동안 염분은 평균 29이었으며, 평상시에 염분 농도는 평균 이상으로 유지되었고 일시적인 감소 이후에도 빠르게 회복되었다. 풍수기에는 약 3개월 동안 평균 이하의 저염환경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담수의 방류량뿐만 아니라 방류의 지속시간과 대량 방류의 빈도가 낙동강 하구의 표층 수온과 염분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EFDC 수질모델을 이용한 영산강 수계 수질 예측 (Operational Water Quality Forecast for the Yeongsan River Using EFDC Model)

  • 신창민;민중혁;박수영;최정규;박종환;송용식;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9-229
    • /
    • 2017
  • A watershed-river linked modeling system was developed to forecast the water quality, particularly weekly changes in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the Yeongsan River, Korea.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and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were adopted as the basic model framework. In this study, the EFDC model was modified to effectively simulate the operational condition and flow of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ed in the main channel of rivers. The model was tested against hydrologic, water quality and algal data collected at the right upstream sites of two weirs in 2014. The mean absolute errors (MAEs) of the model calibration on the annual variations of river stage, TN, TP, and algal concentration are 0.03 ~ 0.10 m, 0.65 ~ 0.67 mg/L, 0.03 ~ 0.04 mg/L, and $9.7{\sim}10.8mg/m^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MAE values of forecasting results for chlorophyll-a level at the same sites in 2015 range from 18.7 to $22.4mg/m^3$, which are higher than those of model calibration. The increased errors in forecasting are mainly attributed to the higher uncertainties of weather forecasting data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used in model calibration.

물거미가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습지의 식생학적 특성과 보전 및 생태관광화 방안 (Vegetation characteristics, conservation and ecotoursim strategies for water spider(Argyroneta aquatica) in small marsh, Korean Natural Monument)

  • 유영한;이훈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9-106
    • /
    • 2009
  • 물거미(Argyroneta aquatica Clerck)는 전세계적으로 희귀한 거미로 물속에서 생활사를 보낸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 연천군 은대리의 소규모 습지에서만 발견되고 이곳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거미 서식 습지에서 개체군 밀도를 측정하고, 식생을 비롯한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고, 보전 방안과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물거미 밀도는 1마리/$m^2$, 총 개체수는 약 8,000마리/ha이었다. 물거미가 사는 곳의 습지는 수위변동이 심하였고, 현존식생은 나도겨풀과 갈대가 우점하였고, 물속에는 통발이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다. 본 지역은 현재 육화가 진행되고 있고, 서식지가 단절되어 있어 물거미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건기에 물을 공급하고, 서식지를 상호 연결하는 생태통로가 필요하다. 또한 물거미 서식지를 활용한 생태관광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낙동강 물금구취수장 상수도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 농도의 연간변동에 대하여(1974년-1975년) (SEASONAL VARIATIONS OF CHLORIDE, CALCIUM AND MAGNESIUM ION CONCENTRATIONS IN NAGDONG RIVER WATER AT MUL GEUM INTAKE STATION OF BUSAN CITY WATER FROM MARCH 1974 TO MARCH 1975)

  • 원종훈;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3-109
    • /
    • 1978
  • 1. 1974년 3월에서 1975년 3월사이 매월 대조일과 소조일에 낙동강 물금 부산시 상수도 구취수장 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의 량을 매시간 측정하였다. 2. 1974년 3월에서 1975년 1월사이의 염화이온 농도는 5.12-39.4 ppm에 평균값이 11.9pm, 총 경도는 27.8-70.8 ppm에 평균값이 49.5ppm였고, 1975년 2월 9일에서 3월 7일까지의 조차가 큰 기간에는 염화이온농도 10.8-876 ppm에 평균값이 89.8 ppm, 총경도는 48.0-407 ppm에 평균값이 89.9 ppm였다. 3. 계절적으로는 동계에 농도가 높고 조차가 큰 2월과 5월초 사이가 가장 높다. 염화이온농도 150 ppm를 넘은 날이 모두 2월에 들어있다. 4. 총경도 역시 염화이온농도와 비슷한 변동을 한다. 수도법의 허용한계인 300ppm를 넘는날이 2월 9일에서 3월 7일 사이에 약 4 일 정도 나타난다. 5. 수위는 하천수량과 조위로써 정해지는 까닭에 수위만으로는 염화이온 농도를 알 수가 어렵지만 염화이온농도와 수위의 시간적 변동관계는 수위가 높을 때 농도가 높으며, 2월 및 3월에서 더욱 그러하다. 6. 조위와 수위와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거의 같은 모양의 변동을 하며 최고조위에서 최고수위까지 대조일에는 약 2시간 30분, 소조일에는 약 3시간의 차가 나타난다. 끝으로 수위와 조위자료를 제공해 주신 부산시수도사업소와 부산수로국에 감사드립니다.

  • PDF

충적층 지하수 관측지점의 강우량 대비 지하수위 변동 자료를 활용한 비산출율 추정 (Estimation of Specific Yield Using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s at Shallow Groundwater Monitoring Sites)

  • 김규범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57-67
    • /
    • 2010
  • 국가지하수관측소와 같은 관측 지점에서의 지하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다면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율을 산정할 수 있으나, 비산출율 추정에 필요한 양수시험 자료와 토양시료 등의 부족으로 적용에 제약이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군집에 속하는 34개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충적 관측정을 대상으로 갈수기의 강우 이벤트와 지하수위 상승량 관계를 이용한 비산출율 산정 기법을 적용해 보았다. 군집 1과 군집 2에 속하는 관측정은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방법의 적용이 곤란하며, 군집 3에서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 시차가 2일 이내인 19개 관측정의 경우는 추정 비산출율이 0.06에서 0.27의 범위로써 평균 0.17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토양 입자에 따른 비산출율 및 양수시험에 의한 비산출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방법은 주변 하천과의 관계, 배출 작용, 증발산 및 양수 등의 영향으로 일부 과다 산정의 우려가 있으나 현장조사를 통하여 주변 영향이 적은 국가지하수 관측정을 선정한다면 적용 가능하다.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독립성 검정 기반의 적정 임계수준 결정 (Determining proper threshold levels for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based on independent tests)

  • 김태웅;박지연;신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93-200
    • /
    • 2020
  • 수문학적 가뭄은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과 같은 가용 수자원의 부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가뭄에 대한 체감이 기상학적 가뭄에 비하여 크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홍수기에 집중되는 강우 특성으로, 비홍수기에는 댐과 저수지의 저류량에 크게 의존하여 수자원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가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수문학적 가뭄은 정상보다 낮은 유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수문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주로 임계수준방법(threshold level method)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임계수준방법은 작은 미소가뭄으로 인한 독립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12개 지점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성 검정을 실시한 후, 우리나라의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였다. 일별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50 ~ 99 백분위수를 적용하여 가뭄사상을 추출하였다. 적정 임계수준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독립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포아송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여주시 지점과 평택시 지점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점들은 87~99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것을 나타났으며, 일반 파레토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80~90 백분위수 사이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평균 초과도표에서는 80 ~90 백분위수 구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권역에 해당하는 지역들의 공통범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강권역에서는 70~76 백분위수, 낙동강권역은 87~91 백분위수, 금강권역에서는 86~98 백분위수, 영산 및 섬진강권역에서 85~87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임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을 통한 가뭄의 정량적 표현기법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Drought Representation Methods by Drought Index Application)

  • 정상만;이주헌;김이형;김하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66-1171
    • /
    • 2006
  • Drought is defined by differently for the several scientific and technical fields such as hydrological drought, agricultural drought, meteorological drought, climatological drought, atmospheric drought. A lot of drought indices have been developed to quantify drought severity levels. However these drought indices might be expressed differently as the drought conditions for specific period because the drought severity level is using different types of data on each condition. It i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quantative drought representation methods by drought index application. In this research, the reaction to the historical droughts is analyzed after estimation of PDSI, SPI and MSWSI(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in south korean territory. Lastly the drought representation methods were examiner combining the drought indices by drought indices. The arithmetic mean drought indices that include PDSI, SPI, in yearly basis from 1971 to 2001 and MSWSI in yearly basis from 1974 to 2001 were estimated through the whole nation. The applicability of drought indices are examined based on the observed drought data for national and regional droughts. The result shows that PDSI, SPI(3), SPI(6), and MSWSI have proven to be sensitive enough to the historical drough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drought index was conducted whether they could show the long and short term drought equally. The analysis of how appropriately represent for the historical drought was used for determining for the combined drought index. Consequently, PDSI, SPI(3), SPI(6), and MSWSI have been appeared as suitable indices for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drought representation methods. For the decision of weight on combining PDSI, SPI(3), SPI(6), and MSWSI, drought map was made for eighteen alternative to decide weight. The results showed that PDSI(20%), SPI(3)(60%), SPI(6)(10%), and MSWSI(10%) have been the most well matched weights. Using selected weights of each drought indices and by reconstructing the national mean drought severity on yearly basis, the fact that the year of historical drought is in accordance with the verified one for drought representation. In short, the acquired technique using combined drought index can be used for useful and believable quantitative method of drought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