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change

검색결과 4,097건 처리시간 0.034초

광주광역시의 보호수와 기후변화 취약성 및 대응 (Th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Confrontation in Gwangju City)

  • 임동옥;제갈은기;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11
  •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9분류군 68개체다. 환경백서에 기록된 보호수 가운데 광산구 운남동 신가마을의 떡갈나무는 갈참나무로, 서구 벽진동 벽진마을의 양버들은 왕버들로, 남구 석정동의 소나무는 반송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IPCC는 21세기말에 평균기온은 최고 $6.4^{\circ}C$ 및 해수면은 59 cm 상승하므로 북극빙하는 완전히 녹아 없어지고 지구상의 생물종 95%가 멸종위기에 빠질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보호수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IPCC 예측 결과를 적용해 보면 21세기말 광주광역시 최한월 1월 최저기온은 현재 제주도 최한월 평균최저기온인 $3^{\circ}C$보다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21세기 말 광주광역시 지역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호수인 곰솔, 팽나무, 푸조나무 그리고 상록성활엽수가 잘 자랄 것으로 판단되지만 서울과 광주에서 함께 나타나는 보호수인 반송과 느티나무는 취약성을 드러낼 것으로 판단된다.

Weibull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굴참나무 임분 재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Prediction of Stand Volume and Carbon Stock for Quercus variabilis Using Weibull Distribution Model)

  • 손영모;표정기;김소원;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99-60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굴참나무 임분의 직경분포와 ha당 재적 및 탄소량을 추정하는데 있다. 영급과 임분구조를 고려하여 굴참나무 임분에서 354개소를 조사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임령에 따른 직경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Weibull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수의 추정은 단순적률법(Simplified method-of-moments)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자료 중에서 80%는 모형개발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20%는 개발된 모형의 검정에 사용하였다. 모형의 검정에는 적합도지수(Fitness Index)와 평균오차제곱(Root Mean Square Error), Kolmogorov-Smirnov 통계치가 이용되었다. 검정자료에서 추정된 지위지수, 수고, 재적식의 적합도지수는 각각 0.967, 0.727, 0.988이고 평균오차제곱은 2.763, 1.817, 0.007이며, Weibull 모형의 Kolmogorov-Smirnov 적합도는 75%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에서 50년생의 굴참나무임분이 14의 지위지수와 697본의 분수를 나타내는 경우, 재적은 $188.69m^3/ha$이고 지상부 탄소량은 90.30 tC/ha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활엽수 수종에 대한 생장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굴참나무 탄소량 추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 Climate Scenarios on Each Sub-basins)

  • 배덕효;정일원;권원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191-2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27km\;{\times}\;27km$)의 SRES A2 시나리오와 LARS-WG를 이용하여 국내 139개 소유역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해상도 시나리오는 약 350km 수평해상도의 ECHO-G 자료를 NCAR/PSU MM5를 이용하여 27km 수평해상도로 상세화한 것이다. A2 시나리오는 우리나라의 공간적 강수특성을 비교적 잘 모사하였으나, 한강과 금강유역의 강수량이 적게 모의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러한 기후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역스케일의 신뢰성 높은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 일기상발생기인 LARS-WG를 선정하고 국내 기후모의에 대한 적요성을 평가하였다. LARS-WG를 이용한 기후모의 결과 월평균최대.최소기온과 월평균강수량은 관측치에 평균에서는 ${\pm}20%$, 표준편차에서는 ${\pm}50%$ 이내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의 목적으로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LARS-WG를 이용하여 유역별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기후모형에서 모의하지 못하는 지역적인 기후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 곶자왈숲 삼림욕 후에 심박동변이에 미친 영향 (Effects of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Visiting the Gotjawal Forest in Jeju)

  • 신방식;이형환;이근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18
  • 제주 곶자왈 삼림욕 후 혈관연령타입, 혈관연령지수, 심박세기, 혈관탄성도, 심장의 잔혈량 및 평균맥박의 비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은 14명과 실험군은 49명을 대상으로 손끝의 맥파 측정기로 측정하여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에서는 혈관연령타입, 혈관연령지수, 심박세기(b/a 비율), 심장의 잔혈량(d/a 비율), 평균맥박의 비율의 변화는 대조군은 사전·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유의성이 있었으며(p<.011), 사후의 분산분석에서는 그룹 내 및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1). 혈관탄성도(c/a 비율)변화는 대조군과 실험군은 사전 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후의 평균 측정치의 분산분석에서는 그룹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룹 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평균맥박의 변화는 그룹 내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그룹 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주 곶자왈숲에서 2시간 이상의 삼림욕 후에는 심박동변이(HRV)가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서 b/a, c/a, d/a, e/a 비율 변이가 HRV의 변화 측정에 유용한 도구라 생각하며, 삼림욕이 심혈관의 건강 유지에 우수한 자연요법이라 판단한다.

  • PDF

하악전돌증환자의 악교정수술후 하악각변화에 관한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GONIAL ANGLE CHANGE AFTER ORTHOGNATHIC SUGERY IN PATIENTS WITH THE MANDIBULAR PROGNATHISM)

  • 권영호;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06-216
    • /
    • 2000
  • 저자는 1996년 1월에서 1998년 10월까지 본원에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환자중 35명(남자15명, 여자 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수술전, 수술직후 및 술후 1년의 하악각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5명 환자의 하악각평균은 술직후에는 술전에 비해 $9.3^{\circ}$ 감소하였다가 술후 1년까지 $4.0^{\circ}$증가하여 술전에 비해 술후 1년의 하악각은 $5.3^{\circ}$감소하였다(p<0.01). 2. 35명 환자의 악교정수술전 하악각평균은 $129.4^{\circ}({\pm}6.27)$로 정상에 비해 유의있게 큰 값을 보였으며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 후 1년의 하악각평균은 $124.1^{\circ}({\pm}6.33)$로 비교적 개선되었다. 3. 술전과 술후 1년 사이의 남녀의 하악각변화는 여자는 $5.4^{\circ}$감소, 남자는 $5.3^{\circ}$감소로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35명의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술전과 술후 1년 사이의 하악각변화에서 하악각감소에 관여하는 가장 주요한 변수는 하악후퇴량이었다. 5. 35명의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술직후부터 술후 1년까지의 하악각변화에서 하악각증가에 관여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은 수평회귀율이었으며 원심골편후방부의 흡수현상도 하악각증가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악전돌증 환자에 있어 하악각이 정상보다 큰 경우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은 하악각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하악각이 정상에 가깝고 과도한 하악후퇴량이 요구되는 경우는 Short lingual cut 방법, 부가적인 원심골편의 후방변연절제술, Obwegeser II 방법과 같은 하악우각부 형태를 유지하는 수술법을 선택함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고 술후 회귀방지책이 안정된 하악각유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공적(人工的) 발정유기견(發情誘起犬)의 질세포상(膣細胞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Vaginal Cytology after Induction of Estrus in the Bitch)

  • 강병규;최한선;나진수;손창호;오기석;이차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3-211
    • /
    • 198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strous behavior and vaginal smear after induction of estrus with exogenous hormones in the premature, metestrous and anestrous bitches. A total of 21 bitches(Mixed breed: 16, Jindo breed: 5), from 10 months to 5 years of age and weighing 8 to 15 kg was studied the change of vaginal smear and the estrous behavior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estru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n the treatment A(They were given the $PGF_2{\alpha}$, estrone, estradiol-$17{\beta}$, PMSG and HCG) proestrus commenced in $10.16{\pm}1.44$($Mean{\pm}SEM$) days after treatment, The mean duration of proestrus, and estrus was $7.50{\pm}1.44$ and $13.50{\pm}3.44$ days, respectively. In the treatment B(They were given the PMSG and HCG) proestrus commenced in $5.53{\pm}0.59$ days after treatment. The mean duration of proestrus and estrus was $6.60{\pm}0.71$ and $14.60{\pm}1.14$ days, respectively. 2. All of the 6 bitches in the treatment A showed vulval swelling and vaginal discharge, 14 of the 15 bitches in the treatment B showed vulval swelling and vaginal discharge. However, all of the treatment A and B showed male acceptance. 3. The main change of vaginal smear in proestrus and estrus after induction of estrus was a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nuclear and superficial cell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small intermediate and parabasal cells. By the estrous behavior and vaginal smear the estrus was induced in all the premature, metestrous and anestrous bitches.

  • PDF

광릉 숲 나비류의 생활주기 변화분석 및 문제점 (Analysis on Changes, and Problems in Phonology of Butterflies in Gwangneung Forest)

  • 권태성;변봉규;강승호;김성수;이봉우;김영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9-216
    • /
    • 2008
  • 지구온난화로 인한 나비 생활주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광릉 숲에서 1958년과 2004년에 주별로 조사한 나비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에 비해 2004년에 나비류의 최초 출현시기와 평균 출현시기가 빨라졌는지, 출현기간이 길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최초발생시기와 발생기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평균 출현시기에서는 느려진 종들이 오히려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예상되는 나비류 생활주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기온 증가에도 불구하고, 예견되는 생활주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나비를 지구온난화 지표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현재 나비상 연구에 있어서 문제점과 해결책을 검토하였다.

경남지방의 월강수량의 변동율과 Anomaly Level의 출현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omaly Level and Variability of the Monthly Precipitation in Kyeongnam, Korea)

  • 박종길;이부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79-191
    • /
    • 1993
  • This paper aims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the anomaly level and variability of the monthly precipitation in Kyeongnam, Korea.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주e distribution of the annual and cont비y mean precipitation, the precipitation variability and its annual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the anomaly level in Kyeongnam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she mean of annual total precipitation averaged over Kyeongnam area is 1433.3mm. I'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shows that in Kyeongnam area, the high rainfall area locates in the southwest area and south coast and the low rainfall area in an inland area. 2) Monthly mean precipitation in llyeongnam area was the highest in July(266.4mm) 각lowed by August(238.0mm), June(210.2mm) in descending order. In summer season, rainfall was concentrated and accounted for 49.9 percent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Because convergence of the warm and humid southwest current which was influenced by Changma and typhoon took place well in this area. 3) The patterns of annual change of precipitaion variabilit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a coast type and the other an inland type. The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generally appears low in spring and summer season and high in autumn and winter season. This is in accord with the large and small of precipitation. 4) The high frequency of anomaly level was N( Normal)-level and the next was LN( Low Informal) -level and 25(Extremely Subnormal)-level was not appeared in all station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N level was high in high rainfall area and distinguish성 in spring and summer season but the low rainfall area was not. hey Words : anomaly level, variability, precipitation, coast type, inland type.

  • PDF

Effect of Inhaled Tiotropium on Spirometric Parameters in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 Yum, Ho-Kee;Park, I-Na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4호
    • /
    • pp.167-171
    • /
    • 2014
  • Background: In Korea, patients with destroyed lung due to tuberculosis (TB)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ose affected by chronic pulmonary function impairment. The objective of our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haled tiotropium bromide in TB destroyed lung. Methods: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inhaled tiotropium bromide for 2 month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pulmonary function tests performed on 29 patients with destroyed lung due to TB. Results: The mean age of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63{\pm}9$ years, where 15 patients were male. The pre-treatment mea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was $1.02{\pm}0.31L$ ($44.1{\pm}16.0%$ predicted). The pre-treatment mean forced vital capacity (FVC) was $1.70{\pm}0.54L$ ($52.2{\pm}15.8%$ predicted). Overall, the change in $FEV_1%$ predicted over baseline with tiotropium was $19.5{\pm}19.1%$ (p<0.001). Twenty patients (72%) got better than a 10% increase in $FEV_1$ over baseline with tiotropium, but one patient showed more than a 10% decrease in $FEV_1$. Overall, the change in FVC% predicted over baseline with tiotropium was $18.5{\pm}19.9%$ (p<0.001). Seventeen patients (59%) experienced greater than a 10% increase in FVC over baseline with tiotropium; 12 (41%) patients had stable lung function. Conclusion: The inhaled tiotropium bromide therapy may lead to improve lung functions in patients with TB destroyed lung. However,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still needs to be further assessed.

한국 청소년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Adolescent Women)

  • 김유섭;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3
    • /
    • 1993
  • 본 연구는 15~16세의 여자 고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같은 생활양식과 식생활 환경하에서 에너지 섭취량(GE)과 체내 에너지 보류량(BE)의 변동을 측정하므로써 (에너지 평형법)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에너지 섭취량과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FE)은 열량계로 측정하였고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 (UE)은 질소 배설량으로부터 환산하였다. 체내 지방조직량 (FM)은 피부두께를 측정하여 산출한 신체 밀도법에 의하였다.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및 지방질의 구성비는 각각 70.1$\pm$1.8%, 12.2$\pm$0.7% 및 17.7$\pm$2.0% 이었다.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율은 2.8%이었다. 대변과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을 감하여 산출한 1일 1인당 평균 대사에너지량(ME)은 2022 $\pm$50㎉ 이었다. 28일동안의 체성분 변동량으로부터 산출한 체내 총 에너지변동량(BE)은 평균 2400$\pm$950㎉ 가 증가하였다. 1일 1인당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1958$\pm$87㎉로서 체중 kg당 39$\pm$2㎉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