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kit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어린이급식소용 밀키트 필요성 및 구매의도에 대한 인식 조사 - 창원 일부 지역의 어린이 급식담당자 대상 - (A Survey of Need and Purchase Intention for Meal Kits -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rs in Changwon Areas -)

  • 김서진;박재희;문혜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3호
    • /
    • pp.123-139
    • /
    • 2023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meal kits for children's foodservic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cooking process. It was performed among the foodservice managers in the 141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registered in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bout meal-kits in Changwon area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foodservice scale type. The biggest problem in a foodservice system was "difficult to purchase food ingredients directly every week" (38.4%) in small-scale children's foodservices, and "difficult to use the served menu without modification" (38.2%) in institutional children's foodservices (P<0.001).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the meal kit was "quality" (41.1%). Respondents on having an experience with using the meal kit were low at 34.8%, and the reasons for not using the meal kits were "expensive" (67.3%) and "not fresh food ingredients" (18.4%). The main reasons for not using children's foodservice meal kits were "expensiveness" (64.4%) and "necessity of adding disinfection process" (16.1%). Most of the reasons for not wanting to use children's foodservice meal kits were that they did not trust the safety of the meal kits. The use of meal kits in children's foodservices may reduce the preparation proces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odservice although the safety and quality of meal kits should be guaranteed. The appropriate hygiene management standards need to be set, and HACCP should be applied to develop meal kits for children's foodservices.

How Can Healthy Meal Kits Look Attractive to Consumers?

  • KIM, Choo Yeon;RYU, Hee Ryung;CHA, Seong S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2호
    • /
    • pp.1-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customers' selection attributes for meal kit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home meal replacement food market, and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oward meal ki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factors that customers consider the most when purchasing a meal kit are nutritional components, ingredients, hygiene, taste, and price. The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determine the extent that customer selection attributes for meal kit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survey is conducted online from January 1 to March 15, 2022, and 282 valid samples a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s that nutritional components, hygiene, taste, and pri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effect of food ingredi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s rejected becaus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re obtained. Conclusions: A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ustomer selection attributes of meal kits, this study ha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related industries and business-to-business operator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밀키트 선택속성이 내식/외식 컨셉의 밀키트 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al Kits Selection Attributes on Willingness to Buy At-home Concept and Eating-out Concept Meal Kits)

  • 황지희;엄하람;이동민;문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2-363
    • /
    • 2021
  • 본 연구는 밀키트 선택요인이 내식 컨셉과 외식 컨셉의 밀키트 구매의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키트 경험자(n=412)와 비경험자(n=153)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565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밀키트 선택속성의 경우 건강, 가격, 환경보호, 편리성, 친숙함의 5가지 특성으로 정리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편리함, 환경 보호, 친숙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외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함, 편리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숙함의 경우, 부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밀키트를 특정 컨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연구는 처음이며, 각 컨셉의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식품업계 마케터에게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채식 밀키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식 및 중요도-수행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Vegetarian Meal-Kit Development)

  • 이유나;장혜정;최영우;최윤솔;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24-335
    • /
    • 2021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언택트'가 주된 트렌드 키워드로 대두되면서 집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가정 내 취식이 편한 간편식, 특히 밀키트의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채식 인구는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채식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채식인들의 경우 채식 식당과 메뉴 다양성의 한계로 식당 이용보다 대부분 직접 조리하거나 간편식을 혼합하여 사용 중이다. 확대되는 밀키트 시장과 채식 인구로 인해 간편식으로 채식 밀키트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밀키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중요도-수행도를 파악하고자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들은 밀키트에 대한 경험이 확대되면서 밀키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긍정적 인식과 채식 밀키트에 대한 판매 필요성은 채식 밀키트의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채식 밀키트 개발의 방향과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아직 성장 단계에 있는 채식 및 밀키트 시장의 상품 개발 및 시장 확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이용 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Meal-Kits by Food-Related Lifestyle)

  • 이경지;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5-30
    • /
    • 2021
  • 본 연구는 밀키트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357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이용 현황과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밀키트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는 '건강추구 집단', '안전추구 집단', '편리추구 집단', '경제추구 집단', '미식추구 집단' 등의 5가지 집단으로 군집화되었다. 밀키트 월평균 구매가격은 미식추구 집단의 경우 밀키트 '3-5만원'이 36.66%로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밀키트를 구매하는 장소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체 대상자의 52.38%로 나타났고 밀키트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맛'으로 경제추구 집단의 경우 전체의 58.46%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밀키트 선호 음식 종류는 '한식'이 전체의 49.02%가 선호하였다. 식재료는 모든 유형 집단에서 '육류'가 전체 42.58%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미식추구 집단(53.33%)에서 높았다(p<0.001). 밀키트 만족도에서 '조리방법의 간편성'이 4.05점으로 미식추구 집단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재료의 원산지'의 경우 편리추구 집단에서 2.98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p<0.01). 전체 대상자의 93.28%가 앞으로 밀키트를 이용하겠다고 하였다. 전체의 93.28%는 다른 사람에게 밀키트 이용을 추천하겠다고 하였으며, 추천이유로는 '구매 또는 조리의 편리성'이 전체의 67.23%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모든 군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맛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방법의 간편성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재료의 원산지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밀키트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밀키트 품질 개선과 다양한 메뉴 개발이 이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밀키트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조절효과 (A Study of Meal Kit Purchase Intention Us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Awareness on ESG Management)

  • ;오지은;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6-257
    • /
    • 2023
  • In this study,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was applied to analyz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meal kits. The perception of ESG management practiced by companies wa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to investigate its influence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each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ver 4 days in January 2023 on consumers aged 20 years or older who had purchased meal kits within 6 month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4.0 programs with an effective sample size of 324 copies (100%).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erceived sustainable package, and price sensitivit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ward meal kit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all research hypotheses were accept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perceptions of ESG management practiced by compan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식생활스타일이 밀키트 구매의사 및 지불의사금액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Food-related Style for Purchase and Willingness-to-Pay of the Meal-kit)

  • 이유진;양성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34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willingness to pay for meal kit products of Millefeuille Nabe and Gambas al-Ahiyo, and willingness to pay and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to suggest a meal kit marketing strategy that reflected consumer preference. It was found that the price of meal kits is higher than the price of individual ingredients and lower than the price of meal kits in the current market. The willingness to pay for Millefeuille Nabe is higher in the group that pursues quality and taste, and the more satisfied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both Millefeuille Nabe and Gambas al-Ahiyo.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leasure, taste, and price of the meal kit,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future. Therefore,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pay and purchases intentions in the future, the quality of meal kit ingredients must be carefully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various products are developed and reflected in the marketing strategy.

충청지역 대학생의 가정간편식 섭취 실태 및 섭취 정도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Home Meal Replacement Use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Its Use Frequ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 황다윤;정세빈;강지원;최인영;김미현;최미경;배윤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3-26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factors related to Home Meal Replacement (HMR)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its consumption. A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HMR and Nutrition Quotient (NQ)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The study included 232 university students (88 males, 144 females) from Chungcheong.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at least once a week was 71.55% for ready-to-eat foods, 55.60% for ready-to-cook foods, 40.95% for fresh-cut products, and 21.12% for meal-kits. The preference ratings were as follows: ready-to-eat foods, 3.77 out of 5 points, meal-kits, 3.53 points, fresh-cut products, 3.52 points, and ready-to-cook foods, 3.45 points. In terms of satisfaction, convenience (4.06 out of 5 points), taste (3.71 points), variety (3.67 points), and food hygiene (3.62 points) were rated the highest. The scores in the moderation NQ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that consumed ready-to-eat foods (p=0.0002), ready-to-cook foods (p=0.0002), and meal-kits (p=0.0068) at least once a week compared to the groups that consumed them less than once a week. In conclusion, th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for proper consumption of HMR among university students.

즉석섭취 신선편의 절단 과일 및 채소의 원충류 및 병원성 식중독균의 미생물학적 품질 실태 연구 (Microbial Qualities of Parasites and Foodborne Pathogens in Ready to Eat (RTE) Fresh-cut Produces at the On/Offline Markets)

  • 전지혜;노준혜;이채림;김근향;이정연;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9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켓에 유통 중인 100건의 신선편의 절단 과일을 계절별로 수집하고 50건의 신선편의 절단 채소와 50건의 밀 키트(월남 쌈 및 무 쌈) 내 절단 채소에 대하여 위생지표세균, 효모 및 곰팡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5개의 식중독균(B. cereus, S. au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E. coli O157:H7)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밀 키트 채소의 일반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의 평균 오염수준이 신선편의 절단 채소 및 절단 컵 과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은 두 식품 유형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병원성 식중독균의 경우, S. aureus만 총 200건 중 6건이 검출되었는데(3%), 절단 과일 중 파인애플 1건에서 S. aureus가 0.6 log CFU/g로 검출이 되었고, 분리된 균주는 non-enterotox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선편의 절단 채소 중 절단 채소 셀러리에서 1건, 밀 키트 채소 4건에서 S. aures 정성 검출되었으나, 정량적 분석 결과 밀 키트 채소인 적색 양배추 1건에서만 4.8 CFU/g 오염수준을 확인 하였으나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의 S. aureus 규격(100 CFU/g)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절단 채소에서 검출된 S. aureus의 독소형을 분석한 결과 셀러리와 적색 양배추에서 분리된 균이 각각 seg 와 sei 독소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절단 채소 제품 공정에서, 특히 밀 키트 채소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의 오염에 대하여 더 엄격한 관리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50여종의 신선편의 식품과 밀 키트 제품에서는 모두 원포자충 및 작은와 포자충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원충류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신선편의 식품의 세척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30대 성인의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Study on the consumption practice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meal-kit selection attributes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 김세은;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315-329
    • /
    • 2023
  • 전국의 20-30대 성인남녀 249명을 대상으로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85.5%가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었고, 밀키트 구매 경험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직장인이 직장이 없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많았다. 밀키트는 주로 대형할인마트 (44.6%), 온라인 쇼핑몰 (33.3%)에서 식사용 (60.6%), 여행용 (18.3%), 야식용 (13.1%)으로 구매하였다. 밀키트 구매 이유는 재료 손질 및 조리가 간편해서 (89.2%), 여러 식재료를 한 번에 구매할 수 있어서 (60.1%), 요리를 잘 못해서 (27.7%)의 순이었고, 밀키트를 혼자 먹는 경우는 전체의 31.0%였으며 전체적인 만족도 (5점 척도)는 평균 4.11점이었다. 밀키트 중 구매 비율이 높은 제품은 한식 국물요리 (69.5%), 한식 주찬류 (47.4%), 분식류 (46.9%) 순이었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분식류 (p < 0.01), 샐러드류 (p < 0.05), 동남아 음식 (p < 0.05)의 구매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서양식 육류요리의 구매 비율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p < 0.05), 혼자 섭취하는 경우가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고, 밀키트를 식사용으로 구매하는 경우는 20대가 30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밀키트 선택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식품의 품질', '포장과 다양성', '밀키트의 품질', '편리성과 가격'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밀키트의 품질'과 '편리성과 가격'은 중요도 평가 점수 평균이 4점 이상이었고 '식품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포장과 다양성'요인의 중요도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5), 30-3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01),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01), 30-39세와 25-2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1)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ISA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된 항목은 '가격'이었다. 밀키트 이용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가성비가 좋은 다양한 용도의 밀키트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