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lateral incisor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2초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에 의한 상악 측절치의 변위 (DISPLACE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CAUSED BY IDIOPATHIC GINGIVAL FIBROMATOSIS)

  • 정지숙;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석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6-302
    • /
    • 2011
  •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은 드물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외과적 제거 후에도 쉽게 재발될 수 있다. 이 질환은 보통 전반적인 양상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고, 때때로 국소적인 양상으로 편측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국소적인 양상일 경우 보통 상악구치 부나상악 결절 부위에 나타난다. 이 질환으로 인해 치아 변위, 부정 교합, 저작, 발음, 심미적인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5세 남아가 상악 우측 유측절치 부위의 치은 비대를 주소로 내원하였고, 9세경에 재내원 시 상악 우측 측절치의 심한 변위가 관찰되었다. 본 환아는 이 질환에 연관된 어떠한 의과적 병력 및 가족력이 없었으며, 임상적,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으로 진단되었다. 교정적인 방법으로 변위된 치아를 재배열시키기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와변위된상악 우측 측절치 부위의 과증식된섬유성 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이 질환의 유전적 특성을 알기 위해 제거된 조직을 간단한 면역조직화학 배열법을 사용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병소 조직의 각질세포, 섬유모세포, 내피세포, 대식세포 내에 CTGF, HSP-70, MMP-1, PCNA, CMG2, TNF-${\alpha}$의 증가된 발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치은 섬유종증은 치은 조직의 섬유 상피성 증식과 염증 반응에 의한 CTGF, HSP-70, MMP-1, PCNA, CMG2, TNF-${\alpha}$의 수반하는 과발현에 의해 발생되었다.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using In-Ceram and Targis-Vectris system: A clinical report

  • Cha, Young-Joo;Yang, Jae-H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5-381
    • /
    • 2000
  • The conventional approach for replacing missing maxillary lateral incisors dictates the placement of either a conventional porcelain-fused-to-metal (PFM)bridge,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or single implant prosthesis. However, several appearance-related disadvantages have been reported in the use of a prosthesis which incorporates a metal substructur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metal -free restorative alternative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to expand the clinical options when fabrication of these prostheses is indicated. This clinical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 missing maxillary lateral incisor where the dentition was non-invasively restored with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RBFPD) using In-Ceram and Targis-Vectris system.

  • PDF

중심교합 및 비중심위교합에서의 치아접촉유형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OCCLUSAL CONTACT PATTERN IN CENTRIC AND ECCENTRIC OCCLUSION)

  • 양재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10호통권185호
    • /
    • pp.869-877
    • /
    • 1984
  • An objective examination of 123 subjects aged from 19 to 23 was made from a clinical standpoints to determine the natural occurrence in anterior tooth contact in centric occlusion, and tooth contact in protrusive occlusion, left and right lateral excursions, and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1. In centric occlusion, maxillary 6 anterior contact type was frequently observe (30.08%)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contact (incisor contact: 19.47%, no contact: 17.70%, canine and incisor contact: 15.04%, canines contact: 12.39%, unilateral canine contact: 5.31%) (P<0.01) 2. In protrusive position (edge to edge bite), maxillary central incisors contact was predominant (86.7%). (P<0.01) 3. In lateral excur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nine guided occlusion (47.79%) and group function occlusion (total 51.32%, AG:9.29%, PG:13.27%, G:28.76%). 4.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was observed in 12.4% of 123 subjects.

  • PDF

상악전치의 후방견인시 J-hook headgear의 사용이 응력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WHEN RETRACT WITH HIGH PULL J-HOOK HEADGEAR)

  • 이유진;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97-709
    • /
    • 1997
  • 발치 환자의 치료에서 결과의 안정성과 심미적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악 전치의 전후방 및 수직적인 위치와 순설측 경사를 올바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상악 치열에서 제 1 소구치를 발거하고 견치를 발치 공간으로 후방이동시킨 상태에서, 호선을 이용하여 전치를 후방견인시킬 때 치아의 설측 경사와 정출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힘과 모멘트의 조절을 시도하여야 한다. 치관의 한 지점에 적용되는 힘의 크기와 모멘트의 비율에 따라 치근막에 나타나는 응력분포가 변화하고 이를 알아냄으로써 치아이동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상악 전치부에 직접 힘을 가하게 되는 J-hook headgear는 전치부의 모멘트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호선의 전치부에 각각 다른 토오크를 부여하고 각 상태에서 J-hook headgear를 후상방으로 적용하였을 때 모멘트 변화에 따른 응력분포의 변화를 광탄성법으로 관찰하였다. 치조골 부위를 광탄성 레진으로 대체한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 치아에 .022" slot의 standard edgewise bracket을 부착하였다. 측절치 bracket 원심 1mm지점 에 높이 7mm의 vertical loop을 가지는 호선을 .020" $\times$ .025" stainless steel wire 로 제작하였으며 중절치와 측절치 사이에 high pull f-hook headgear를 위한 hook을 납착하였다. 전치부에서 $0^{\circ},\;7^{\circ},\;14^{\circ}$ 의 토오크를 각각 부여한 뒤, loop을 1mm activation하였을 때 나타나는 응력분포와 각각에 high pull J-hook headgear를 교합면에 대하여 후상방 $35^{\circ}$ 방향으로 200mg의 힘을 적용했을 때의 응력분포를 비교하였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론 1. $0^{\circ}$ 토오크에서는 치근의 치근단측 1/2부위에 응력이 분포하였으나 순측에 비해 설측이 약하고 좁게 나타났고 특히 치근단에 집중된 응력은 순, 설측 모두에서 high pull J-hook headgear의 사용으로 감소하였다. 2. $7^{\circ}$ 토오크에서는 치근면을 따라서 응력이 분포하는데, 순측으로는 치조정에서부터 나타나는 응력이 치근면을 따라 서 치근단측 1/3부위까지 점차 폭이 좁아졌고, 설측은 순측보다는 약한 응력이 치근의 치관측 1/3에서부터 치근단까지 나타났다. 치근단에서는 순측보다 설측이 더 강하게 나타났고, high pull J-hook headgear의 사용으로 전반적으로 응력의 크기와 폭의 증가가 있었다. 3. $14^{\circ}$ 토오크의 호선에서는$7^{\circ}$ 토오크의 호선과 분포하는 응력의 양상은 유사하지만 좀 더 강하게 나타났고, 순측에서 는 치근면의 중앙부위가 폭이 가장 넓게, 설측에서는 순측에 비해 균일한 폭으로 응력이 분포하였다. 치근면을 따라서 나타나는 응력은 headgear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강하였고 순측보다는 설측이 더 강하였다. headgear를 사용하였을 때 치근단의 응력 집중은 순측에서보다 설측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for a growing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 Baek, Seung-Hak;Park, Yoon-Hee;Chung, Jee Hyeok;Kim, Sukwha;Choi, Jin-Yo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3-1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for a growing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A 5-year-old boy patient with Tessier number 0 cleft presented congenitally missing maxillary central incisors (MXCI), a bony defect at the premaxilla, a constricted maxillary arch, an anterior openbite, and maxillary hypoplasia. His treatmen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management of the bony defect at the premaxilla and the congenitally missing MXCIs using a fan-type expansion plate, iliac bone grafting, and eruption guidanc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into the graft area for substitution of MXCIs; management of the maxillary hypoplasia using sequential facemask therapy with conventional and skeletal anchorage; and management of the remaining occlusal problems us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was 15 years and 10 months. Class I canine and Class II molar relationships and normal overbite and overjet were achieved at the end of treatment. Although the long-term use of facemask therapy resulted in significant protraction of the retrusive maxilla, the patient exhibited Class III profile because of continued mandibular growth. However, the treatment result was well maintained after 2 years of retention.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and customized approaches are mandatory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maxillary hypoplasia, bony defect, and dental problems in Tessier number 0 cleft. Moreover,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orthognathic surgery or distraction osteogenesis, meticulous monitoring of mandibular growth until growth completion is important.

한국 유치 모델에서 유전치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Primary Anterior Zirconia Crowns in Korean Tooth Models)

  • 박정하;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1-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와 기성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 및 크기를 3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고 수복시 임상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0명의 어린이의 건전한 상태의 상악 유중절치, 유측절치를 3차원 스캔하여 평균 형태를 재현하였고, 4개의 제조사(NuSmile $ZR^{(R)}$ Crown, Cheng $Crowns^{(R)}$, Kinder $Krowns^{(R)}$, EZ $Pedo^{(R)}$ Crown)의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3차원 스캔하여 형태 및 크기 비교를 위한 좌표점을 측정하여 치아와 크라운 형태의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근원심 길이, 절단연에서 치경부까지의 길이, 치관 형태 비율, 같은 좌표에서 치아와 크라운의 거리, 순면의 곡률반경, 그리고 체적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상악 유중절치는 Cheng $Crowns^{(R)}$ 3번, 유측절치는 NuSmile $ZR^{(R)}$ Crown 2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졌으며, 이 크라운의 내면을 스캔하여 크라운 수복시 필요한 치아 삭제량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어 있는 양보다 전반적으로 더 적은 치아 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n Root Resolution in the Malocclusion Patients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 황충주;송영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9-237
    • /
    • 1999
  • 영구치의 치근흡수는 대개 특별한 상황, 즉 외상, 감염, 교정적 치아이동, 또는 전신질환의 경우에만 일어난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영구치의 치근흡수를 나타낼 수 있음이 보고된 이래로 치근흡수의 원인을 밝히려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특히, 교정치료와 연관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영구치열기의 부정교합 환자에서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 중에서 제 3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영구치의 치근 형성이 완료된 사람을 대상으로 전치부는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한 구강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구치부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와 나이, 성별, Angle씨 분류법에 따른 부정교합 분류, 수평피개 및 수직피개, 상하악 전치부 치축각도 등의 분류에 따른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그리고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 및 뚜렷한 교합마모면과 치근흡수의 빈도에 대해서 분석해 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든 사람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에서 치근흡수를 나타내었고, 총 22,099개의 치아 중에서 7,920 개의 치아, 즉 $35.84\%$에서, 또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빈도가 높았다(p<0.01). 2. 개개 치아에서의 치근흡수 감수성은 전체적인 이환치아에 대해서는 하악 전치, 상악 전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지만, 뚜렷한 치근흡수에 대해서는 상악 중절치, 상악 제 1 소구치, 상악 측절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다. 3. 상하악 전치의 치축 각도에 대해서는 상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상악4전치의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하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하악 4 전치의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 PDF

급속 구개확장을 이용한 상악 견치의 이소맹출 치료: 증례보고 (RAPID PALATAL EXPANSION FOR THE TREATMENT OF AN ECTOPICALLY ERUPTING MAXILLARY CANINE: CASE REPORTS)

  • 장수영;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3-481
    • /
    • 2010
  • 상악 견치 매복은 소아 청소년기 환자들에게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구개측 매복이 순측 매복 보다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서양에서는 오히려 순측 매복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의 순측매복이 의심되는 8-10세의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급속 구개확장(rapid palatal expansion)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악 측절치의 근원심 치근각도를 조절하여 매복 가능성이 있는 견치의 정상맹출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rown-root angulation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ccording to malocclusion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in Korean population

  • Lee, Kyoung-Hoon;Choi, Dong-Soon;Jang, Insan;Cha, Bong-Ku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32-438
    • /
    • 2022
  • Objective: To compare crown-root angulations of the permanent maxillary anterior teeth in skeletal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using cone-bean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Methods: Sixty CBCT images were collected from orthodontic patients archive based on skeletal Class I (0˚< A point-nasion-B point angle [ANB] < 4˚), Class II (ANB ≥ 4˚), and Class III (ANB ≤ 0˚) to have 20 samples in each group. Mesiodistal crown-root angulation (MDCRA) and labiolingual crown-root angulation (LLCRA) were evaluated after orientation of images. Crown-root angulations were compared among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groups and among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in each group. Results: LLCRA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lateral inciso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lass III group than those in Class I group. However, those of the canin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MDCRA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groups either.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ight affect LLCRA of the maxillary incisors, especially the central incisor.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와 유지시 골격치성요소의 변화 (Skeleto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reten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김상철;김선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87-698
    • /
    • 2000
  •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Edgewise방법으로 치료하고 유지시킨 II급 부정교합의 골격 및 치성요소의 변화를 치료 전, 후 및 유지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알아봄으로써 성인 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양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발치로 치료한 II급 부정교합자 22명과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한 2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하였으며, 발치치료군 4명과 비발치치료군 4명의 유지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유지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두개저 및 상,하악 기저골에 기준으로 서로 중첩시켜 골격양상의 변화 및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수평적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전,후방 안면고경과 하안면고경 등의 수직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교합평면의 유의한 경사를 보였다. 2. 비발치군에서 상악 중절치는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 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을,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를 보였으나, 근심이동은 보이지 않았다. 유지 기간 동안 상하악 구치는 약간의 근심경사를 보였다. 3. 발치군에서 상하악 중절치 모두 치료에 따른 후방견인과 정출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 순측경사되었다. 상악 구치부는 수직적인 정출과 동시에 유의한 근심이동을 보였으며, 하악 구치부는 원심경사와 수직적인 정출 및 근심이동을 보였으나 유지기간 동안 약간의 근심경사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