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workbook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n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김상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41-364
    • /
    • 2006
  • 본 논문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온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개정 시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제해결전략, 문제영역, 문제유형별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High School Mathematical Education of Future Physicists

  • Dvorkin, Mikhail;Ryzhik, Valery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0년도 제44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 /
    • pp.237-247
    • /
    • 2010
  • Concordance of high school courses of mathematics and physics is a long-known and still-unsolved problem, at least in Russia. Lyceum "Physical-Technical High School" exists for more than 20 years and endeavors to solve this problem. During this work, Lyceum teachers worked out certain ideology of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methods of teaching specific topics. Textbooks and workbooks have been written for the Lyceum students by the Lyceum teachers (or in collaboration with them). This article reports on the cumulate experience of the Lyceum in mathematical education of future physicists.

  • PDF

High School Mathematical Education of Future Physicists

  • Dvorkin, Mikhail;Ryzhik, Valer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67-77
    • /
    • 2010
  • Concordance of high school courses of mathematics and physics is a long-known and still-unsolved problem, at least in Russia. Lyceum "Physical-Technical High School" exists for more than 20 years and endeavors to solve this problem. During this work, Lyceum teachers worked out certain ideology of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methods of teaching specific topics. Textbooks and workbooks have been written for the Lyceum students by the Lyceum teachers (or in collaboration with them). This article reports on the cumulate experience of the Lyceum in mathematical education of future physicists.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익힘책에서의 용어 사용 실태 분석: <수와 연산> 영역에서의 '곱', '자릿값', '구구', '숫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al State of Using Terms in Grade 1~2 Math Textbook/Workbook in Korea: Centered on 'Product', 'Place Value', 'Multiplication Stairs', 'Numeral')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33-8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익힘책 <수와 연산> 영역에서 '곱', '자릿값', '구구', '숫자'라는 용어를 잘못 사용하거나 또는 비일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네 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ll}$수학 3${\gg}$ 교과서에서 '곱'을 정의해야 한다. ${\ll}$수학 3${\gg}$ 교과서/익힘책에서 곱셈을 도입하지만, 그 계산 결과를 '곱'이라 하고 있지는 않다. 둘째, 초등학교 2학년 수학에서 '자릿값'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ll}$수학 3${\gg}$${\ll}$수학 4${\gg}$ 교과서/익힘책에서 사용하는 '자릿값'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명료하지 않다. 셋째, ${\ll}$수학 2${\gg}$${\ll}$수학 4${\gg}$ 교과서에서 '덧셈구구표'와 '뺄셈구구표'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넷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에서 '숫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수'로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측정 영역에 관한 제7차와 현행 교과서 및 익힘책 비교 분석: 안내 정도와 측정의 주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7th and th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on the Measurement Domain: Focused on the Degree of Guidance and Key Learning Elements)

  • 방정숙;김수경;최인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7-252
    • /
    • 2012
  • 본 논문은 그동안 별반 연구되지 않았던 측정 영역과 관련하여, 길이와 넓이를 대상으로 안내 정도와 측정의 주요 학습 요소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제7차와 현행 교육과정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안내 정도와 측정의 학습요소가 비슷한 점이 많았으나, 현행 교육과정 자료에서 안내형의 비율이 줄어들고 복합형과 개방형의 비율이 늘어난 점, 그리고 측정값 계산의 비율이 줄어들고 측정추론 양감 어림, 측정단위, 측정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율이 늘어난 점이 차이점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측정 영역의 교과서 개정과 교과서 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초기대수 학습 자료 개발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arly Algebra Learning Materials - Forcused on the 6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

  • 김지영;김해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65-486
    • /
    • 2010
  • 4-가 단계부터 6-나 단계까지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 사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 사용 실태가 Kuchemann의 문자 사용 6가지 유형 중 유형 1(문자를 수치화함)과 유형 3(문자를 어떤 대상으로 사용함)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결과는 강소희, 방정숙(2008, p. 142-143)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6학년을 담당한 교사들에게는 다양한 유형의 문자 사용 지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유형의 문자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6-가 단계, 6-나 단계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초기 대수적 관점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 PDF

0처리 오류에 기초한 교과용 도서 분석 및 활동 구성 (Analysing Textbooks and Devis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Errors of Zero(0))

  • 장혜원;최민아;임미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7-278
    • /
    • 2014
  • 0의 개념 및 0이 포함된 사칙계산은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운 내용 중 하나이다. 이는 0의 발생 과정 및 0을 포함하는 계산에 대한 인식 등에서 수학사적으로도 확인되는 바이다. 따라서 수학 교수 학습 시 학생들의 0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0을 포함하는 계산 절차의 숙달을 위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함의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0처리 오류가 주의 깊게 지도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바람직한 지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교과용 도서 분석을 통해 실제 수학 지도 시 0의 개념 및 0을 포함하는 계산이 적절하게 지도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0{\div}$수, 몫의 중간에 0이 포함되는 나눗셈의 지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련 내용의 학습을 목표로 하는 활동지를 구성하고, 0처리 오류 방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in the Material Domai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y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 조성호;임지영;이정아;최근창;전경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181-193
    • /
    • 2016
  • We examin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material domai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experimental work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framework was SEP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developing and using models',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and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Sub-SEP of each grade band were also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rd}{\sim}5^{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mainly emphasized 'make observations and/or measurements', 'represent data in tables and/or various graphical displays', or 'use evidence to construct or support an explanation or design a solution to a problem' among around 40 sub-SEP. In the case of the inquiry activities for $6^{th}$ grade, majority of sub-SEP included were also only 'collect data to produce data to serve as the basis for evidence to answer scientific questions or test design solutions', 'analyze and interpret data to provide evidence for phenomena' or 'construct a scientific explanation based on valid and reliable evidence obtained from sources'. The type of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or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were little found out of 8 SEP.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 평가문항 개발사례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f Primary School, Competence in Designing Mathematical Assessment Item Development)

  • 박미영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217-23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essment expertise of Mathematics' teachers, focusing on the competence in designing assessment item development. In this present research, I analysed how the teachers' competence appears in designing assessment items development when they generated problems the given problem into a new one. To examine this assump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nd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 How do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primary schools develop the assessment item when generating problems the given problems into new problems? The result from the case study of metamorphosing the given problem into a new problem teachers used similar patterns switching numbers or changing units in order to develop new problems. Also, teachers in primary schools tend to develop problems as commonly as in the mathematics workbooks. In-service teachers tend to have better skills developing assessment items, but there were quite much of variability between individuals.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Factors on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Cases of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Winners from Korea

  • Choi, Kyong Mi;McAninch, Melissa;Jensen, Jessica;Susadya, Laurentius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5-201
    • /
    • 2019
  • Spending as much time outside of school as in school, gifted youth are affected by non-school aspects including parents, other family members, peers, mentors, mathematics competitions and camp participations. These influences have been known to shape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s, and eventually college and career choices. From interviews with five former Olympians from Korea to identify out-of-school influence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we discovered, in addition to confirmation of previously identified factors, additional sources of positive influence seldom previously mentioned and more common to Korean culture were gleaned - mathematics workbooks and Ha-Gw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formative for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ment of gifted youth in providing ways to accommodate their special needs and in showing how they can carefully individualize those sources to be positively affecting intellectual develop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