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anxiety scal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불안 대처행동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ping Behavior Scale to Mathematics Anxiety)

  • 이세나;이승훈;한석실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scale to measure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the first 45 items select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33 items were selected by content validation, modification and revision. Validity, reliability, and item discrimination was based in responses of 1,831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s, and t-test. The resulting Scale of Children's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consisted of 26 items with 5 factors : active problem-solving, aggressive emotion expression, avers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Cronbach's $\alpha$ ranged from .67 to .86 for five factors. T-test showed the 26 items of the scale to be discriminant.

  • PDF

수학학습유형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 (Mathematics Anxiety by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nd the Grade in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세나;한석실;이승훈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6
    • /
    • 2007
  • In this study of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nd grade in school, 1,264 elementary students completed the Mathematics Anxiety Scale(Lee, 2005)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Scale(Yang & Whang, 2005)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alysis of their responses showed that anxiety about mathematics increased with grade in school. Among sub-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ubject itself, learners' attitude, and learning environment increased the anxiety of upper grade students. Motivation, initiative, and regulation styles of learning mathematic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 김리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49-6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 절차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 간 유기성을 검증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검증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its Validity)

  • 옥보명;이창연;류병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33-2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불안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실행을 위한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설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로 수학교과, 수학태도, 수학시험, 환경 등 4개 요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MASS-M이 개발되었다.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으로서 '수학시험' 요인, '환경' 요인, 특히 수학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교과' 요인과 심리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태도' 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화한 검사 도구로써,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련 연구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처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공계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college of engineering)

  • 김영옥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4호
    • /
    • pp.469-481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for engineering major freshman students. An revised and modified 30-item version of the Mathematics Anxiety Scale(MAS) was completed by 176 university engineering students enrolled in introductory calculus course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complex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nxiet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for engineering major student, and also those support the claim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have non-linear patterns.

  • PDF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431-4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을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는 수학 사교육 여부와 상관없이 수학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와 수학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 총 2종으로 개발되었다. 문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수학 시험, 수학 수업, 수학 교사, 수학 수업과 관련한 부모님의 태도, 수학 상황에 대한 걱정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사교육 수학 시험, 사교육 수학 수업, 사교육 교사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두 측정 도구에 대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에게 수학 불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개의 수학 불안 측정도구 문항과 7개의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법을 이용한 수학학습 불안 분석 사례 (Mathematics Anxiety Analysis using Topological Data Analysis)

  • 고호경;박선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77-189
    • /
    • 2018
  • Recently, 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has attracted attention among various techniques for analyzing big data. Mapper algorithm, which is one of TDA techniques, is used to visualize the cluster diagram. In this study, student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mathematics anxiety using a mapper, and students were visualized according to mathematics anxiety. In order to do this, Mathematical Anxiety Scale (Ko & Yi, 2011) in the aspect of mathematical instability in terms of teaching - learning, ie, Nature of Mathematics, Learning Strategy, Test/Performance is used.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can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most relevant items among the item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고등학생의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른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수학흥미도 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Interest and Mathematical Grad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th Socialization)

  • 황선욱;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1-3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 진학의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뒤 수학사회화 경험이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며,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불안, 흥미도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학사회화 경험과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수학사회화 경험은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를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불안증 감소를 위한 연구동향 탐색 (Finding the Direction to the Research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Anxiety)

  • 고상숙;이창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89-611
    • /
    • 2014
  •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람이면 누구나 불안을 경험하기 때문에 수학불안증에 대한 연구는 수학교육이 발달하면서부터 주요 주제가 되어왔다. 최근엔 기기의 발달로 그간 연구하기 힘들었던 뇌 과학 연구의 새 영역이 가능해진 바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수학불안증을 재조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수학불안증 감소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써 몇 안 되는 뇌 과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에서는 단순연산과제만을 사용하였는데 심지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를 사용하였다. 검사지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모두 조사할 수 있는 다차원적 검사척도가 개발되었다. 수학불안증 감소를 위한 처치로는 인지적 행동적 방법에 체계적 둔감법, 이완훈련, 그리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임상상담기법 등이 사용되었으며 교수 학습 방법으로 STAD 교수법, 쓰기기법 등 개발되었으나 좀 더 세분화되고 신뢰도 있는 방안들이 앞으로 더 많이 연구되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와 수학불안 간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 유경훈;황선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337-346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불안과 수학적 성취가 성별과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수학불안과 수학성취 요인 간의 상관 및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지역의 고등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검사와 수학성적을 조사하고 SPSS 24.0을 활용하여 T-test와 상관관계, 회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수학 점수는 흥미, 수학성취 요인 및 수학적 자신감 요인에 의해 의미 있게 설명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수학 성취와 흥미요인이 의미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적 불안과 수학성취는 1학년과 3학년에서 상관이 있었으며, 모든 학년에서 수학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수학에 대한 흥미요인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이해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