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anxiet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자기주도적 학습과 일제학습에서의 수학불안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Anxiety raised from Self-Directed-Learning and Learning in a Body)

  • 김동복;김인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39-457
    • /
    • 1999
  •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out what makes the students feel anxious to mathematics and the ways to decrease their anxiety by comparing two learning types, self-directed-learning and learning in a body, by means of continuous observation and interviews. To perform this study, two classes of self-directed-learning and other two classes of learning-in a body were chosen from the third year-students in Wando Middle School in Chollanamdo.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high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less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2. In average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much more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3. In low group in math grade, both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nd students in teaming-in a body feel anxious about math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m. 4. Anxiety about math hove positive influence on high group in math grade. 5. Anxiety about math have negative influence on average and low groups in math grade. Especially, low group students had no interests about mathematics because of their math anxiety. We observed that some students got over the math anxiety to some meaningful extent by means of interviews or appropriate advices, and became to have confidence and interests in mathematics.

  • PDF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its Validity)

  • 옥보명;이창연;류병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33-2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불안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실행을 위한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설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로 수학교과, 수학태도, 수학시험, 환경 등 4개 요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MASS-M이 개발되었다.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으로서 '수학시험' 요인, '환경' 요인, 특히 수학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교과' 요인과 심리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태도' 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화한 검사 도구로써,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련 연구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처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Brain Activity Related with Mathematics Anxiety

  • YUN, Eun Jeong;SHIN, In S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7-139
    • /
    • 2015
  •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of math anxiety, we conducted an EEG measurement for 22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cluding 11 students with high math anxiety (HMA group), and 11 students with low math anxiety (LMA group). We found that in HMA group, delta wave was significantly generated from the right frontal lobe, and in LMA group, four paths are clearly connected while they perform math tasks (right inferior occipital gyrus ${\leftrightarrow}$ left superior parietal lobule /left middle frontal gyrus ${\leftrightarrow}$ left inferior parietal lobule /left middle frontal gyrus ${\leftrightarrow}$ right inferior parietal lobule / right middle frontal gyrus ${\leftrightarrow}$ right inferior parietal lobul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math anxiety is related to emotions associated with pain, reduces working memory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math performance.

좌우뇌선호도에 따른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 anxiety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brain preference)

  • 심슬기;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43-458
    • /
    • 2010
  • 본 논문은 학생들의 좌우뇌선호도에 따라 수학불안정도와 수학불안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지를 통해 고동학교 2학년 학생들의 좌우뇌선호도와 수학불안 요인을 검사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뇌선호형이 가장 수학불안이 높았으며, 수학불안에 영향을 마치는 요인도 더 많았다. 우뇌선호형 학생들의 수학불안 정도가 높은 이유로, 감정요인을 더 선호하는 우뇌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학문제를 접할 때 좌뇌를 활성화시켜 긴장을 완화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시각적으로 다양한 경우를 제공할 수 있는 교구를 이용하여 수학불안을 감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문제를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이해하여 문제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단계를 찾아내는 추론능력을 신장시켜 수학에 대해 두려움을 갖는 학생들의 불안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 통계 수업에서 가르치기가 수학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aching on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in university statistics class)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99-108
    • /
    • 2021
  • 다른 사람에게 학습 자료를 가르치는 것의 이점은 학업 성취도에서 나타났다. 불안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수학 불안은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통계를 학습할 때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수학 불안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통계수업에 등록한 학생들 59명이 참여했고 30명의 학생은 그룹 안에서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했고, 29명의 학생은 수행하지 않았다. 그룹 과제를 제외하고 강사, 강의, 문제 풀이 과제와 시험은 모두 동일했다. 그 결과,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의 수학 불안은 학기 말에 감소하였다. 수학 불안이 증가하면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학습 성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수학 불안과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으로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르치기는 수학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학습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등학생의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른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수학흥미도 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Interest and Mathematical Grad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th Socialization)

  • 황선욱;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1-3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 진학의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뒤 수학사회화 경험이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며,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불안, 흥미도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학사회화 경험과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수학사회화 경험은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를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sychological Model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for High School Girl Students

  • Hajibaba, Maryam;Radmehr, Farzad;Alamolhodaei, Hass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9-220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i.e. math anxiety, attention, attitude, Working Memory Capacity (WMC), and Field dependency) and student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A sample of 169 K11 school girls were tested on (1) The Witkin's cognitive style (Group Embedded Figure Test). (2) Digit Span Backwards Test. (3)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MARS). (4) Modified Fennema-Sherman Attitude Scales. (5) Mathematics Attention Test (MAT), and (6) Mathematics questions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RBT).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se item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different in each cognitive process and level of knowledge dimension.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ath-Friendly Activity Program for the Alleviation of Mathematics Anxiety)

  • 윤락경;전인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83-613
    • /
    • 2010
  • 수학불안은 방치할 경우 수학학습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수학불안 요인을 찾고 그에 알맞은 처치 방안을 고안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시킴으로써 수학불안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서울시 동대문구 I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 32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수학 불안 검사를 통하여 나타난 평균값 보다 높은 수학불안 하위 요인인 시험불안 부모의 태도 시간 부족 이해 학습동기의 수학불안 감소에 중점을 둔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사전 수학불안 검사 결과와 7차 교육과정 수학과 목표 및 내용 체계, 4-가, 나 수학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심리적 처치(긍정적 사고 훈련)와 비심리적 처치(수학활동)를 복합적으로 구성한 활동지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조사한 수학불안 검사로부터 전체 학생의 수학불안 하위 요인에 대한 유의미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비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 의한 고등학생 수학불안집단 간의 뇌파 연구 (A Brain-based Study with Two Groups of High Math Anxiety and Low Math Anxiety through the Non-psychological Remedy Program of Functional Tasks)

  • 고상숙;이창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383-3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highschool students' brain waves on functional tasks such as a transition(F task) from equation to graph and the other transition(G task) vice versa. A total of 3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attended a high school located in Gyunggi province. The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MA and LMA by MASS test revised by Ko, & Yi (2012). The functional tasks for the stroop task to measure EEG were provided from a previous study, Seok(2015). The results indicated two groups on G tasks showed deeper and wider brain waves which demonstrated G tasks were more difficult than F tasks. However, HMA group had an effect of the non-psychological program which had given more chances on G tasks rather than F tasks within Student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lso, HMA group's brain waves had more ranges in amplitude and width of wav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rain waves with math anxiety are consistent to the previous studies.

수업과 연계한 수학 클리닉 상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 Clinical Counseling based on Connection with Class)

  • 김홍겸;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13-129
    • /
    • 2018
  • 근래 들어 수학 학습 부진아들을 위해 수학클리닉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지만 수학 수업과는 별개의 상담을 실시하거나 수학 학습 상담과는 무관한 기초학습 지도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 상담이 수학 수업과 무관할 수 없다는 관점에 따라 수학 클리닉 상담을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즉, 학생이 호소하는 인지적, 정의적, 수업 활동에서의 문제점을 수학 수업과 연계시키면서 수학 클리닉 상담을 통해 개입하는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