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terial interaction

검색결과 1,304건 처리시간 0.027초

말뚝식과 블록식이 혼합된 시멘트혼합처리공법(DCM)의 구조체 해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on DCM Improved by Pile and Block Type)

  • 신현영;김병일;김경오;한상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5-1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천층블록/심층말뚝 혼합식 시멘트혼합처리 공법을 구조체적 관점에서 해석하였고, 각 방법별 특징 및 관련 거동을 분석하였다. 연속보 해석법의 경우 침하량을 매우 작게 예측하였고, 천층블록의 전단력과 휨응력은 다소 크게 예측하였다. Frame 해석법의 경우 천층블록의 부재력과 장주의 부재력은 수치해석법과 가장 근접한 거동을 예측하였지만, 장주의 침하는 작게 예측하여, 장주 반력을 이용한 별도 침하계산을 실시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아칭법과 말뚝지지전면기초해석법의 경우 장주의 하중분담율이 타방법에 비해 매우 커서 장주의 축력이 과대 예측되었다. 천층블록/심층말뚝 혼합식 시멘트혼합처리공법을 적용하면, 천층블록의 침하 및 지반반력은 중앙에서 가장 크고, 외곽에서 가장 작았다. 또한, 개량체와 지반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해석법에서 장주 개량체가 분담하는 하중은 약 20~45% 범위를 보였고, 응력분담비는 일반적인 말뚝식 DCM 공법보다 작은 약 2.0~5.0정도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장주 두부 경계조건에 따라 최대 부재력에서는 유사하지만, 두부 구속조건에서는 장주의 위치에 따라 축력 및 연직변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용융침투법으로 제조한 유리-알루미나 복합체: II. Kinetic 연구 (Glass-alumina Composites Prepared by Melt-infiltration: II. Kinetic Studies)

  • 이득용;장주웅;이명현;이준강;김대준;박일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5-152
    • /
    • 2002
  • 상용 알루미나 분말(0.5, 2.8, 12, 45 ${\mu}m$)을 die-press법을 이용하여 1120$^{\circ}C$에서 2시간 1차 소결하여 다공성 전성형체를 제조하고 1100$^{\circ}C$에서 0∼2시간까지 $La_2O_3-Al_2O_3-SiO_2$계 유리를 용융 침투시켜 유리 침투 깊이와 침투 시간간의 kinetic을 조사하였다. 침투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리 침투깊이는 Washburn 식의 포물선 관계를 가지면서 증가하였으며 침투 상수인 K는 알루미나 입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리-알루미나 복합체의 강도값은 2.8${\mu}m$ 알루미나가 분산된 복합체까지 충진률의 증가로 인하여 증가하다가 알루미나 입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파괴인성은 알루미나 입도가 증가할수록 균열 휨 현상과 균열과 알루미나 입자간 결합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CdS/Titania-나노튜브 복합 막을 이용한 광촉매적 수소제조 (CdS-Titania-Nanotube Composite Films for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 이현미;소원욱;백진욱;공기정;문상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30-237
    • /
    • 2007
  • 알칼리 수열합성법에 의해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티타니아 나노튜브(TiNT)를 합성하였다. 가시광용 광촉매로서의 응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CdS 나노입자와 조성(r=TiNT/(CdS+TiNT))을 바꿔가며 일련의 무기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티타니아 나노튜브 대신 티타니아 나노입자와 CdS로 구성된 복합체를 역시 제조하였다. 합성된 티타니아 나노튜브는 $200^{\circ}C$ 이상의 소결온도에서 부분적으로 튜브 구조의 붕괴가 시작되었지만, CdS와의 복합체는 $450^{\circ}C$ 까지도 비교적 안정한 구조를 유지하였다. (CdS+TiNT)복합필름은 티타니아 나노입자 복합계와 비교할 때 가시광 흡수 측면에서는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지만, 수소생산 활성과 광전류 발생은 오히려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티타니아 나노튜브는 그의 높은 비표면적에도 불구하고 자기들끼리의 응집성이 강하여 CdS와의 전기적 상호작용이 약하며, 특히 얇은 튜브벽 두께(${\sim}3nm$)와 낮은 결정성에 기인하는 약한 광전류 특성은 이의 광촉매로서의 응용성을 상당히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Fiber post의 Relining 방법과 시멘트 유형에 따른 Push-out Bond Strength의 비교 (Comparison of Push-out Bond Strengths According to Relining Procedure and Cement Type on Fiber Post)

  • 강현영;조소연;유미경;이광원;김경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3호
    • /
    • pp.253-265
    • /
    • 2011
  • 근관치료된 치아의 수복에서 fiber post 크기와 포스트 공간의 직경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포스트 공간은 두꺼운 레진 시멘트로 채워지게 된다. 레진 시멘트가 두꺼워지면 시멘트 내에 기포가 형성되어 포스트 분리가 발생되기 쉽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composite resin을 이용하여 fiber post를 relining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해부학적 포스트는 포스트 공간에 잘 적합하고 시멘트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relining 과정과 임상 과정의 간소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luting agents 종류에 따른 fiber post의 push-out 결합 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42개의 발치된 치아는 6개의 그룹(n=7)으로 나누어졌다. (A1: relined fiber post를 Luxacore/all-bond 2로 합착, A2: non-relined fiber post를 Luxacore/all-bond 2로 합착. B1: relined fiber post를 Calibra/XP-bond로 합착. B2: non-relined fiber post를 Calibra/XP-bond로 합착. C1: relined fiber post를 RelyX Unicem으로 합착. C2: non-relined fiber post를 RelyX Unicem으로 합착.) Push-out 결합 강도는 relining procedure와 cement type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ined fiber post 그룹이 non-relined fiber post 그룹보다 더 높은 결합 강도를 가지며 fiber post relining 과정은 결합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가진다.(p<0.05) Luting agent에 따라 모든 그룹에서 RelyX Unicem의 결합강도가 Luxacore/All-bond 2와 Calibra/XP bond에 의한 것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Titanium Implant의 Removal Torqu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TORQUE OF TITANIUM IMPLANTS)

  • 이준석;김영수;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8-169
    • /
    • 1994
  • The concept of biologic attachment of load-bearing implants has developed over the past decades as an alternative to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long term implantation using mechanical fixation and bone cement. The choice of implant material is also as critical an element as site preparation or insertion procedure. The properties of implants that affect host tissue responses are not limited to chemical composition alone, but also include shape, surface characteristics, site of implantation, and mechanical interaction with host tissues. Initial mechanical interlocking prevents micromotion and may be a prerequisite for direct bone apposition. A hard tightening of screws does not necessarily mean a stronger fixation and final tightening of the fixtures is dependent on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Removal torque is lower than insertion tor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removal torques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of polished and sandblasted Titanium. This experiment will give insight into important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in vivo screwing forces on implants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transmucosal abutments. We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t surface textures by comparison of the withdrawal forces necessary for removal of otherwise identical rough and polished implants of Titanium and also evaluated interfacial response on the light microscopic level to implant surface. And the priority of the area of insertion on osseointegration were evaluated. 9 Titanium implants - among them, 3 were for the developmental - of either a smooth or rough surface finish were inserted in the dog mandible in the right side. 3 months later Kanon Torque Gauge was used to unscrew the impl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removal torque due to variation in surface treatment, 23 Ncm for the sandblasted and 23.33 Ncm for the polished surface (p>0.05). 2. Implants in the anterior (25 Ncm) mandible showed better resistance to unscrewing in comparison to ones in the posterior (18 Ncm) region (p<0.05). 3. Developmental fixtures (22 Ncm) had similar pullout strength to the control group (p>0.05).

  • PDF

한국 청동기시대 '사회' 고고학의 문제 (The Problems of the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the Bronze Age Society)

  • 이성주
    • 고문화
    • /
    • 68호
    • /
    • pp.7-24
    • /
    • 2006
  • 이 논문은 한반도 청동기시대 '사회' 고고학을 어떠한 관점과 방법으로 연구할 것인가를 검토해 보고자 작성되었다. 먼저 한국의 '사회' 고고학 접근을 연구사적으로 검토하였는데 1970년대까지는 민족사의 흐름과 같이 모호한 실체와 과정으로 사회진화의 단계를 서술하는데 그쳤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념에서 벗어나 단위사회의 규모와 지배권력의 성격 등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였고, 고고학 자료의 위계와 분포를 분석하여 사회단위와 그 조직을 복원해 보려는 노력은 1990년대 들어와서야 가능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영미와 일본 고고학에서 이루어진 사회에 대한 접근의 틀을 참고하여 청동기시대 취락을 분석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년 전의 일이다. 다음으로, 어떤 고고학적 실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정착된 'OO유형' 이라는 개념과 종족집단의 존재가 전제된 문화단위에 대한 관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고고학자들은 한편으로 취락 내부와 취락 간의 유물분포를 분석하여 사회적인 특성들은 정의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OO유형' 이라는 문화적 실체의 생성과 확장, 및 소멸에 관한 논의를 하고 있는데 이것은 생산적인 '사회' 고고학 연구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보았다. 비파형동검과 같이 광역으로 분포하는 물질문화의 요소들을 고대 종족명과 관련시키는 연구관점에 대해 비판하였다. 이와 같이 광역으로 분포하는 물질문화의 존재는 지역집단들 사이에 형성된 모종의 관계망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관계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성격과 함께 그 물질문화의 상징적 의미가 지역에 따라 어떻게 변용되는지에 대해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PDF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and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 장유미;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75-283
    • /
    • 2015
  •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의료재활서비스와 심리사회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 만족도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2,000명 중에서 산재장애가 있으면서 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9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3가지 모델에 대한 변인간의 관계는 SPSS Macro 및 Sobel 방법을 적용하여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직업재활 서비스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사회적재활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료를 평균중심화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지고, 심리사회재활서비스가 높아질수록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가 일상생활만족에 간접효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이 재활서비스를 통해 일상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특성과 형성 분석에 관한 연구 (Phys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Fly Ash Generated from the Coal Fired Power Plant)

  • 이정언;이재근
    • 에너지공학
    • /
    • 제7권1호
    • /
    • pp.146-156
    • /
    • 1998
  • 석탄을 연소한 후 형성되는 석탄회는 미세한 분말상태로 입자의 형상은 다공성이며 단단한 구형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발전소에서 생성된 9종의 석탄회의 물리적, 형태적 및 화학적 조성 분석을 통해 국내 석탄회 데이터 베이스화, 연소효율 개선, 석탄회 집진설비인 전기집진기의 성능향상과 석탄회의 재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석탄회의 물리적 특성은 입도분포와 비중을 입자카운터와 한국공업규격(KS L-5110)에 따른 비중 측정계를 이용하였으며, 형태적 특성은 입자의 구형성 정도, 표면특성 그리고 색상변화 등을 전자현미경(SEM)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도결합 플라즈마방출 분광기(ICP)와 에너지스펙트럼 분석기(EDXA)를 이용하여 석탄회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고 한국공업규격 KS L-5405에 따른 석탄회에 함유된 미연탄소분을 측정하였다. 삼천포 화력발전소 전기집진기에서 포집한 석탄회에 대한 질량평균입경은 각각 15~25 $\mu\textrm{m}$로 나타났다. 석탄회 입자의 형상은 석탄 입자가 보일러의 연소 영역에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구형성, 투명성 및 색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완전 연소에 가까울수록 무색의 구형입자가 형성되었다. 석탄회는 보일러 내의 연소 조건과 원탄의 성분에 따라 구형, 무정형, Cenosphere 그리고 Plerosphere와 같은 유형의 입자를 형성하며 입자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집괴, 응집 그리고 결정형의 입자군들을 형성한다. 석탄회는 산회광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성분 SiO2, Fe2O3, Al2O3로 약 85%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10% 정도는 미연탄소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PDF

Streptococcus iniae의 형태학적 특성과 병원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Streptococcus iniae)

  • 김현정;우승호;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 iniae의 병원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capsule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capsule과 병원성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즉, 집락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viscous form (V+)과 non-viscous form (V-)의 균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리균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으로는 숙주의 방어 기작에 대한 저항성이나 병원성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V+인 경우 cell wall 표면에 capsule이 존재하지만 V-에서는 capsule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는 넙치 혈청에서 증식할 수 있지만 V-는 넙치 혈청에 의해 살균되는 것으로 나타나 capsule의 유무에 따라 넙치의 체액성 면역 요소에 대한 저항력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V+는 넙치 신선 혈청으로 감작한 경우에도 V-에 비해 macrophage의 식균율이 낮았으며 식균된 이후에는 균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 어류 주화 세포 내로 침입하여 생존 및 증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앞으로의 백신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광경화 나노 실리카 잉크의 합성 및 잉크젯 프린팅 적층 특성평가 (Formulation and ink-jet 3D printability of photo curable nano silica ink)

  • 이제영;이지현;박재현;남산;황광택;김진호;한규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45-351
    • /
    • 2019
  • 디지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고해상도, 빠른 인쇄 속도, 높은 잉크 효율과 같은 장점과 함께 다양한 소재 적용이 용이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세라믹 타일 등의 산업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잉크 소재에서 벗어나 우수한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등을 보이는 기능성 소재도 잉크젯 프린팅 공정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2차원 인쇄뿐만 아니라 3차원 적층인쇄에 관한 연구도 시작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토출되는 잉크의 유변학적 물성과 프린트되는 기판과의 상호작용를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실리카 입자가 포함된 광경화성 세라믹 잉크를 합성하고 잉크의 물성과 프린팅 기판의 표면특성을 제어하였다. 나노 실리카 입자가 포함된 광경화성 세라믹 잉크의 퍼짐현상을 억제하고 기판과의 접촉각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프린팅 해상도 및 적층성을 향상시켰으며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광경화 나노 실리카 잉크의 3D 프린팅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