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ed status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7초

사무직 근로자의 역할 관련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전략, 스트레스 반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Role-Conflict and Role-Overload, Coping Strategies, and Stress Response of Clerical Workers)

  • 김정희;김숙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6-67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role-conflict and role-overload, coping strategies, and stress response of clerical workers. The subjects were 115 clerical workers from two company. The instruments were the role-conflict and role-overload scale developed by Lee(1989), coping scale developed by Latack(1986), and the stress response scale developed by Chang(1993).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tnt,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 for the level of stress response was $83.6({\pm}9.1)$. The high risk stress group was 86.1% of the clerical workers, the latent stress group members was 13.9%, and healthy group was 0%. The overall stress level was very high. 2. Considering the coping strategies by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use of control cop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work-time. The use of symptom management cop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ge, married status, year of career, pay, and type of work. The organizational cop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year of education and type of work. 3. The clerical workers who had worked below 44 hours per week complained significantly lower stress response(F=4.942, p<.05). 4. Above 65% of 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all of organizational level coping strategies. 5. The role-confilct positively related to escape and organizational level coping strategies(r=.562, r=.495, p<.05). The role-overload didn't related to individual level coping strategies, but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level coping strategies(r=.320, p<.05). 6. The control coping strategies and the escape coping strategies positively related to symptom management, organizational level coping strategies(r=.409, r=.324, r=.316, r=.339, p<.05). 7.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related stress and stress response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r=.482, r=.431, p<.05),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sponse and control, symptom management coping strategie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r=-.3204, r=-.3146, p<.05).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relationship of role related stress, coping strategies, stress respon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 that coping strategies vary across situation of stress. Based on survey result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coping strategies in specific stress situation and concept of symptom management coping strategy. Also organizational or training interventions could be developed and initiate to help to increase the use of adaptive coping strategies in light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differences.

  • PDF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일반적 특징과 그들의 후원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dicting the Degree of Donors' Philanthropic Effort in Nonprofit Social Welfare Arena)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30
    • /
    • 1998
  • 본 연구는 민간 복지 자원의 중요한 한 축으로 기능하는 일반 시민들의 후원 활동과 관련하여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특징과 후원 행동 및 그들의 후원 노력(philanthropic effort)의 수준을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 그리고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각기 다른 수준의 후원 노력(philanthropic effort)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에 연구의 기본 관심을 둔다. 본 연구는 후원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안정된 직업을 갖는 사람들,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 기독교를 종교로 갖는 사람들, 기혼자들의 비중이 큼을 보여준다. 후원활동의 동기에서는 "joy of giving"과 같은 내적 동기를 갖는 사람들의 비중이 큼을 보여준다. 그리고 후원금 활용 신뢰도 및 후원 기관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후윈 활동에의 참여의 적극성 모두에서 대다수가 상당히 긍정적인 이해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후원 지속 기간에서는 3년과 4년을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이, 그리고 후원금 규모에서도 월 2만원을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이 관찰된다.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개인 후원 노력 비율은 1.2%를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이러한 후원 노력은 소득에 의해 가장 많은 설명을 할 수 있는 데 그 형태가 미국에서의 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U의 모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원 노력이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와 논의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여성인구변동과 노동시장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on the Change of Female Labor Market)

  • 장지연
    • 한국인구학
    • /
    • 제21권2호
    • /
    • pp.5-36
    • /
    • 1998
  • 본 논문은 지난 30여년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의 추이를 출산력 감소 등 인구학적 요인의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인구학적 요인들로는 교육, 혼인상태, 출산 등이 중요하다. 여성의 학력 수준이 평균적으로 높아지고,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이며, 자녀 수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이 인구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활동가능인구 중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고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의 비율은 줄었으며, 기혼 여성의 비율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구 구성의 변화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증가 시킨 것은 사실이다. 이에 더하여, 같은 인구학적 특성을 갖는 여성 집단의 노동력공급행태도 변화하였다. 고학력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졸,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초졸, 중졸 여성의 참여율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혼인하여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미혼여성의 그것보다 빨랐다. 출산이 경제활동참여를 억제하는 정도도 줄어든 것 같다. 즉, 지난 30년간 여성인구구성의 변화나 행위양식의 변화는 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 때, 여성은 더 먼저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 저연령, 저학력 등 인적자본이 열세인 여성, 그리고 여성노동자의 비율이 높은 산업, 직업에 속해 있는 여성이 더욱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 PDF

부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f Couple on the Induced Abortion in Korea)

  • 이성용;이정환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1-25
    • /
    • 2011
  • 이 연구는 두 개의 주된 목적을 가진다. 하나는 부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뿐 아니라 남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도 인공임신중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결정요인들이 출산순위와 출산시기에 따라 상이하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중요한 발견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97년과 2000년 자료 분석결과는 부인과 남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임신한 첫 자녀의 낙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초저출산 시대로 접어든 2003년 자료에서는 부인의 취업이 출산순위 0과 1에서 인공임신중절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남편의 교육수준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셋째, 인공임신중절의 결정요인들의 영향력은 출산순위와 출산시기에 따라 변하였다. 위의 발견들이 함축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출산은 2000년대 이전에는 보편적 현상이었지만, 2000년 이후에는 여성에게 의무가 아니라 선택이 되었다. 왜냐하면 자녀출산이 선택이 되기 위해서는 여성이 자녀출산에 대한 혜택과 비용을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리적 계산에서 여성취업은 핵심요인이다. 둘째, 특히 2000년 이후 한국의 출산행위에는 서구의 개인주의 이데올로기와 한국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가 동시에 여성에게 합리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출산율의 하강이 서구의 핵가족 개인주의 이데올로기가 비서구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를 대체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확산이론을 반박한다.

대구지역 일부 주민의 구취 실태 조사 (A Study of the Halitosis at Urban Area in Dae-Gu City)

  • 김혜진;김지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87-393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지역 일부 주민 332명을 대상으로 구취측정 및 구취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 대상자는 전체 332명 중 남자가 44.6%, 여자가 55.4%였다. 연령분포는 39세 이하가 32.5%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기혼이 82.2%였다. 직업은 무직이 28.6%로 가장 많았고 사무직이 15.7%, 전문직이 15.1%였다. 구강보건행태는 잇솔질 방법은 위아래로 닦는 사람이 46.4%로 가장 많았고 1일 잇솔질 횟수는 36.4%가 2회로 가장 많았고 55.6%가 혓솔질을 하고 있었다. 2. 구취측정시 마지막 식사시기는 1-2시간 전이 26.8%로 가장 많았고 현재 느끼는 구취인에서 63.3%가 '약간 난다'라고 하였다. 아침 식사 후가 구취가 가장 심하게 난다라고 26.3%가 응답하였고 냄새(구취)에 대한 인지는 '구린 냄새가 난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33.1%로 가장 많았다. 구취로 인해서 치과진료경험이 있는 사람이 11.4%였으며 구취치료에 대한 요구도가 63.9%였다. 3. 대상자의 구취농도는 100 ppb~149 ppb가 156명이며 평균 122.76 ppb였으며, 150 ppb이상은 54명이며 평균 195.26 ppb였으며 대상자의 63.3%가 구취관리 및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구취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현재 느끼는 구취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실제 구취농도가 높았고(p < 0.001). 구취로 인한 치과진료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취농도가 높았다(p < 0.01). 본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구취에 대한 지식 및 관리법의 미숙한 점과 구취에 대한 인지능력이 정확하지 않은 것을 고려해 볼 때 구취에 관한 홍보를 확대할 수 있는 기초자료수집과 계획 및 치과진료기관의 구취관리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비자 특성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Chatbots as Determined by Consumer Characteristics)

  • 정재환;변상운;김미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7호
    • /
    • pp.39-48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chatbots' innovation attribute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for consumers who have used chatbo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at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transactions in mobile shopp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aged 20 to 49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when purchasing fashion-related products via mobile circumstances. After a pilot survey of 31 customers, pre-questionnaire was revised for the final test,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500 subjects. Out of these, 244 were retrieved. After excluding 48 inappropriate responses, 196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 First, four factors of chatbots' attributes were extracte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complexity, sensibility, and diversity. Second, two factors were extracted for fashion leadership: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Two groups based on the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active innovation adopters and passive innovation adopters. Thir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divers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in order.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in groups by marital status and age.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 perceived sensibility as a more important attribute of chatbots than the unmarried in their twenties.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divers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Innovation among th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ctive innovation adopt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and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s chatbots'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items need to be modifi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leadership. Particularly, fashion leadershi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attribute as well as innovation acceptance.

직업훈련이 조직몰입의 영향에 관한연구 -자격증 취득자 중심으로- (Vocational Training Study on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 이재규;김경화;윤이중;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3-29
    • /
    • 2012
  • 본 연구는 자격증 취득이 조직몰입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직업교육훈련생의 인구사회학적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변인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대는 20대가 학력수준은 고졸 그리고 결혼유무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훈련경로와 연령에 관한 차이분석에서는 20대 16명(31.4%), 30대 14명(27.5%), 40대(33.3), 50대 3명(5.9%), 60대 1명(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훈련생들은 5~6시간 장시간 교육받은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규범적 몰입에서 높은 조직 몰입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40대와 50대가 조직몰입이 20대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만족도와 훈련만족도는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격증훈련은 조직몰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격증취득 후 만족도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기 수치는 정책당국의 대책마련에 시사점 줬다는데 의미가 있다.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o the Caregiving Satisfaction of Moth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 김연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371-398
    • /
    • 2006
  • 본 연구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돌봄만족감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및 낮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이며, 총 231명이다.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정신장애 관련 요인으로 정신장애인의 유병기간, 입원횟수 및 사회기능이,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으로 연령, 결혼상태, 가족수입, 신체적 건강이, 그리고 관계적 요인으로 정신장애인과 어머니관계의 질과 어머니가 가족, 친구 및 의미 있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받는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0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최종 회귀분석모델에서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결혼상태, 가족수입, 정신장애인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사회적 지지였으며,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 등 정신장애 관련 요인은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으로 실재하는 돌봄만족감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과 더불어 이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개입 방안이 연구의 함의로 제시되었다.

  • PDF

일부(一部) 농어촌주민(農漁村住民)의 상병(傷病) 및 의료이용도(醫療利用度)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Sickness and Utilization of Medical Care in a Rural Area of Kyunggido)

  • 장용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139-146
    • /
    • 1976
  • This survey attempted to determine the overall health situation in Kyunggido in terms of sickness prevalence, sickness distribution, demand for medical care by type, and utilization of medical car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766 households, or 4,065 people, from July 1-31, 1975.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age distribution, 28.7% of the sample was from 10-19, the 40-49 age group was the next largest group, and those over 60 made up 7% of the sample. 2. The education distribution is as follows, 30.4% completed primary school, 22.4% had no formal education, 20.6% attended but did not onplete primary school, and 1.8% attended unversities or higher. 3) In terms of occupation, 55.9% were unemployed or family employees, which represents a large dependent population, 30.4% of the workers were employed in farming or fisheries. 4. The marital status is as follows, 58.8% of the women were married, 32.3% unmarried, and 7.5% divorced. 5) The prevalence rate of mouthy illness was 19.7% of 100 infant, 42.8% became fatally ill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This is a very high percentage compared with more developed nations. 6) Of those reportion on illness, 54.6% sought treatment. The rate of treatment was highest in infants at 77.7%. Us age increased, demand for treatment decreased to 43.1% for those in the aldest age group. The oldest age group also had the highest rate of non treatment at 56.8%. 7) The demand for medical care showed that 65.6% utilized drug stores, 20.2% utilized hospitals and clinics, 5.4% used herbdrug-stores and herb clinices, and 3.9% relied upon folk medicine and withch craft. 8) The utilization of medical facilties by sex is as follows, 65.1% of the men and 66.0% of the women used drug stores, and 19.2% of the men and 20.2% of the women used hospitals and clinics. However, more men (3.5%) were hospitalized than women (1.8%) 9) In terms of out-patient care, the largest age group of males was 10-19 (28.2%), and the largest age group of females was 0-9 (30.8%).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the use of western pharmacies. Menaged 30-39 and women aged 50-59 were the most frequent users of herb clinics. 10) The rate of receiving treatment at drugstore hospitals went towards declining level in the second case of what While increaing much more at herb clinics and folk medicines in the second case than the first one. 11) After primary utilization of hospitals, 32.7%. of the adults aged 20-59 used drug-stores as a secondary source of care, and 12.8% of children and youth under age 20 continued receiving care at hospitals. 12) After primary utilization of drug-stores, 32.5 % of the adults continued to seek care at drug stores and 1.8% used hospitals. 4.2% of those over age 60 utilized folk medcine and witch craft.

  • PDF

미용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ress Level of Workers in Beauty Shops)

  • 김성우;남철현;이명선;최연희;곽형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9-15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o causes and symptoms of stress and factors influencing stress management of workers in beauty shops. 811 people who were working in the shops located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2000 to July 10,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emale was 90.8%. 42.1 % of them was in their twenties and 73.7% of them did not marry. 57.5% of the respondents grew up in big cities and 41.1% had no religion. 63.6% was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44.6% of them worked for below I year and 33.9% earned below four hundred and ninety thousand won per month. 55.8% of them was satisfied with their work aptitude, while 34.2% was not satisfied with it. In the case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ing environment, ‘common level’ was 46.3%, while 12.8% of them was unsatisfied with it. In the case of stress level by factors of stress related to working, male was higher (9.34 $\pm$ 2.38 points). Those who grew up in towns or villages and those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 showed high stress level. Those who married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lso displayed high stress level. It also appeared that monthly income influenced the stress level related to working.. The extent of stress level influencing physical causes appeared in order of health condition, education level, sex,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economic status, and working hours. The extent of stress level influencing whole organizational level appeared in order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working hours, education level, health condition, and sex. The extent of stress factors influencing depressed feeling of stress symptom appeared in order of working hours, sex, amount of smoking, absence due to stress, age, health condition, and education level. The extent of influencing factors on active stress management appeared in order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health condition, size of the shop, drinking, sex, and the number of day off. The extent of influencing factors on avoidable stress management appeared in order of age, absence due to stress, drinking, health condition, and s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