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spatial management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교육 수요 조사를 통한 스마트 수산 양식 분야의 융합형 인재 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stablishment of a development direction on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cultivating convergence human resources in smart aquaculture through a demand survey)

  • 권인영;김태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3호
    • /
    • pp.265-276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cultivating smart aquaculture experts through a education demand survey of industries,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and field workers. The industry demand analysis was conducted as an in-depth interview on representives from seven companies. Education dem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96 students and field workers in the Jeonnam region. Results on the demand surve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The company representatives responded that they want to participated in internship and retraining programs to proactively secure manpowers with convergence capabilities about smart aquaculture. Seven companies preferred manpowers with basic competencies o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or aquaculture. The most respondents in the demand survey want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experience on advanced technology, self-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work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some respondents said that the education is time-consuming and that the education program does not fit their level. Thus,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o minimize the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of education targets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on-majors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human resources in the industrial field.

GIS기반의 해양탐사자료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S based management of the marine exploration data)

  • 김무준;김계현;송현오;유해수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5-109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육상자원의 고갈로 해양광물을 개발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탐사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학적 특정으로 주변국과의 자원경쟁이 불가피하여 전략적 체계적 탐사자료의 관리와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탐사 분야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가 상이하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해양자원에 대한 정밀탐사가 이루어지고 과학적인 정보제공이 요구됨에 따라 해양광물자원정보시스템이 구축 운영되고 있지만 몇 가지 제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히 시추 퇴적물 탐사 분야에 있어 GIS기반의 표출 가능한 대상항목을 분류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이는 위치기반의 분석결과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해저 퇴적층에 분야의 과학적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반도 주변에 해양광물자원의 부존 가능 지역을 파악하는데 있어 과학적 정보를 지원하고 나아가 광물자원의 매장량 추정이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정보제공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시추퇴적물의 깊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안과 더불어 3차원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와 모델링 결과를 통해 실제 데이터에이스 구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펄스압축기법을 이용한 활어 개체어에 대한 광대역 음향산란신호의 분석 및 식별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roadband Acoustic Echoes from Individual Live Fish using the Pulse Compression Technique)

  • 이대재;강희영;곽민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7-220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d the species-specific,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s of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that facilitate classifying fish species using the pulse compression (PC) technique. Controlled acoustic scattering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nine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using linear chirp signals (95-220 kHz) over an orientation angle range of ${\pm}45^{\circ}$ in the dorsal plane at approximately $1^{\circ}$ incre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gular-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broadband echoes and the frequency-dependent variability in target strength (TS) were useful for inferring the fish species of interest. The scattering patterns in the compressed pulse output were extremely complex due to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fish species, but the x-ray images strongly suggested that spatial separation correlated well with scattering for the head, skeleton, bone, otoliths, and swim bladder within each specimen.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부유물질과 입자성유기탄소의 분포 특성 및 연간 변화 (The Distribution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Suspended Soli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김동선;최상화;김경희;김철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219-229
    • /
    • 2009
  • In order to establish annual variations in the marine ecosystem of the East China Sea, suspended solids (SSs)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were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8. Surface SS concentrations showed large spatial variations in spring and fall, but not in summer. Surface SS concentrations in spring were lower than those in summer and fall. In summer, SSs discharged from Changjiang were mostly deposited in the coastal areas and did not reach our study area which was located about 260 km from the river mouth. High SS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near the bottom, which resulted from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by the bottom currents. Surface POC concentrations did not exhibited large seasonal variations. Phytoplankton biomass was a main factor controlling surface POC concentrations. POC/chlorophyll ratios showed large seasonal variations, with maximum numbers in summer. POC/PON ratios were higher in summer than the Redefied ratio (6.6), while they were lower in spring and fall. In summer, higher POC/chlorophyll and POC/PON ratios were probably attributed to the high phytoplankton mortality caused by nutrient depletion in surface waters.

1차원 모델상에서 태풍통과시의 혼합층 수온 변화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Mixed Layer with the Passage of Typhoons Using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 홍철훈;마스다 아키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7-112
    • /
    • 2018
  •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i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mixed layer depth (MLD) with the passage of typhoons. In the model, we assume a non-divergent, infinite ocean and consider wind effects only, excluding isostatic effects (inverse barometric effects) and upwelling with vertical movement of the water column. Numerical experiments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hoon tracks on temperature variations, including their dependence on vertical resolutions in the MLD and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in a three-dimensional primitive equation model (POM). The model reproduces features of the observed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MLD fairly well, and implies that wind effects, rather than isostatic effects, play a predominant role in temporal and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MLD. After the passage of typhoons, however, the model does not reproduce well the temperature variations observed in the MLD, because a limitation of the model is its inability to reproduce events such as cyclonic eddy formation (Hong et al., 2011; Masuda and Hong, 2011). The model also shows well the so called 'rightward bias' (Price, 1981) of sea surface cooling which is the most predominant in the right hand side of typhoon's track.

쓰나미 파형이 수중식생의 에너지소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sunami Waveform on Energy Dissipation of Aquatic Vegetation)

  • 이우동;박종률;전호성;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1-129
    • /
    • 2017
  •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waveform distribution on the tsunami-vegetation interaction using a non-reflected wave generation system for various tsunami waveforms in a two-dimensional numerical wave tank. Firs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wave attenuation mechanism due to the tsunami-vegetation interaction from the spatial waveform, flow field, vorticity field, and wave height distribution. The combination of fluid resistance in the vegetation and a large gap and creates a vortex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difference in and out of the vegetation zone. Thus, the energy of a tsunami was increasingly reduced, resulting in a gradual reduction in wave height. Compared to existing approximation theories, the double volumetric ratio of the waveform increased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tsunami-vegetation interaction by 34%, while decreasing the transfer coefficient and energy attenuation coefficient by 25% and 13%, respectively. Therefor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tsunami is highly likely to be underestimated if the solitary wave of the approximation theory is applied for the tsunami.

인덕션·메탈할라이드 집어등에 의한 갈치(Trichiurus leptueus)의 유집 효과 비교와 시공간 분포 (Comparison of the effect of fish gathering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eus) using induction and metal halide fishing-lamp)

  • 박근창;박성욱;노시열;오우석;오선영;이사라;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4호
    • /
    • pp.334-344
    • /
    • 2022
  • In this study, we used underwater acoustics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eus) based on the luminous thronging of metal halide fishing lamps and induction fishing lamps. As a result, the illuminating power was approximately 1.3 times higher using the metal halide fishing lamp whereas the density of hairtals by distance was approximately 1.9 times higher using the induction fishing lamp. Regarding water depth distribution, hairtails were detected depths of 25-30 m during August and at all water depths in November as assessed using fishing lamps.

포항시 장길리 해역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군집변화 분석 (Studies on Temporal Variabilities of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Organisms on Horn Triangle Artificial Reefs along the Jangkil-ri Coast of Pohang, South Korea)

  • 이지현;김완기;손용수;박기열;윤종국;이채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4-109
    • /
    • 2016
  • 정부는 해양환경복원과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1971년부터 2014년까지 약 44년 동안 222,627ha의 인공어초어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인공어초 설치사업은 증가되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설치된 어초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항시 장길리 해역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에 부착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시간적 군집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 포항시 장길리 해역 수심 5~7m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를 대상으로 2009년 2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어초에 부착된 저서동물의 군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점하는 분류군은 연체동물이고 우점종은 바다방석고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현종들은 대부분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시설해역과 목적하는 종의 특성에 적합한 인공어초 개발 연구, 사후관리에 관한 이용, 관리제도 제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 김상우;고우진;김성수;정희동;야마다게이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5-3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신두 해양생태계보호구역 해빈과 조하대의 퇴적물 특성 (Sediment Characteristics of the Beach and Subtidal Zone in Shindu Marine Protected Area)

  • 신영호;서종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12-832
    • /
    • 2014
  • 신두 해양생태계보호구역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조하대 20개와 해빈 9개 지점에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입도평균은 전체적으로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름철에는 신두리 해안의 서쪽과 해빈에서 멀어질수록 세립해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겨울철에는 뚜렷한 공간적인 경향이 없이 대체로 조립질 퇴적물이 분포하였다. 이러한 계절적-공간적인 퇴적물 입도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계절별 파랑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심의 공간적 차이와 여름철 다우기에 남쪽 하구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세립질 퇴적물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양이온 함량은 1차에서 $Na^+$>$Ca^{2+}$>$Mg^{2+}$>$K^+$, 2차에서 $Na^+$>$Mg^{2+}{\fallingdotseq}Ca^{2+}$>$K^+$의 순으로 나타났다. $Na^{2+}$, $Mg^{2+}$, 그리고 $K^+$는 입도평균이 작고 세립질 함량이 높은 곳에서 높았으며, 상호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렇지만 $Ca^{2+}$은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조하대-해빈-해안사구로 이어지는 신두 해안시스템의 시공간적으로 독특한 퇴적환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적으로 건전한 해안관리를 위해서 이러한 특성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