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diatom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4초

전기분해원리를 이용한 선박평형수관리장치의 배출수에 대한 해양생태독성 및 해양환경위해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rine Eco-toxicity and Ecological Risk of Treated Discharge Water from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Electrolysis)

  • 손명백;손민호;이지현;손영준;이광현;문창호;김영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8-101
    • /
    • 2013
  • 외래종의 유입을 막기 위해 '선박평형수와 침전물의 제어와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이 2004년에 체결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선박평형수 관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선박평형수 내 해양생물 제거를 위한 장치로 개발된 AquaStar$^{TM}$ BWMS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차 생산자로서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 1차 소비자로서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 및 포식자로서 어류(넙치) Paralichtys olivaceus를 이용하여 AquaStar$^{TM}$ BWMS의 배출수독성시험과 생성된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배출수독성시험결과 가장 민감한 생물은 S. costatum이었고 염분 20 psu 배출수에 노출되었을 때 NOEC 25.00%, LOEC 50.00% 및 72hr-$EC_{50}$이 69.97%였다. B. plicatilis와 P. olivaceus는 염분 20 psu 배출수에 노출되었을 때 NOEC 및 LOEC가 각각 50.00 및 100.00%였다. AquaStarTM BWMS에서 생성된 물질은 총 18개로, bromate, 7개의 volatile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7개의 halogenated acetic acids, 3개의 halogenated acetonitriles 및 chloropicrin이었다. 생성된 물질들의 지속성과 생물축적성을 보이는 화학물질은 없었으나, 물질의 생태독성을 평가하기에는 불확실성이 높았다. 그러나 MAMPEC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18개 물질의 PEC는 $4.58{\times}10^{-4}{\sim}4.87{\mu}g\;L^{-1}$였고, PNEC는 $0.016{\sim}320.00{\mu}g\;L^{-1}$였으며, 18개 화확물질의 PEC/PNEC 비율은 1을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환경위해성평가결과는 AquaStar$^{TM}$ BWMS에 의하여 처리된 해수가 해양생태계에 수용 불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분해를 이용하는 BWMS의 배출수에 대한 S. costatum의 $EC_{50}$은 초기 TRO농도, HAAs의 농도 및 종류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 이진환;정승원;김종만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5-24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uctures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each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 species composition, standing crop, and dominant species were examined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April to October, 2000. During the studies, mea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8.8^{\circ}C$ and 33.1 psu, respectively. DO, SS and transparency varied from 5.43 to 11.39 mg/l, 14.6 to 32.4mg/l and 3.5 to 9.0m, respectively. Light intensities varied from 0.02 to $966{\mu}E/m^2/s$, which decreased with depth. $NH_4-N,\;NO_3-N,\;NO_2-N,\;PO_4-P,\;and\;SiO_2-Si$ were fluctuated from 0.059 to 0.332 mg/l, 0.040 to 0.800 mg/l, 0.001 to 0.468 mg/l, 2.3 to $143.0{\mu}g/l$, and 0.007 to 0.600 mg/l, respectivel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fluctuated from 0.7 to $8.9{\mu}g/l$. Among 130 taxa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observed. diatoms occupied more than 81.54% of the total species, and the others were dinoflagellates and silicoflagellates.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4.6{\times}10^4\;to\;2.6{\times}10^6cells/l$. In October, the standing crops were at bloom level showing more than $10^6cells/lat$ all stations. Dominant species changed by month and station. Leptocylindrus danicus occupied 59.84% in April and 22.03% in June. Pseudo-nitzschia pungens in August and Chaetoceros socialis and Skeletonema costatum in October were predominant species.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total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anding crops of diatoms, dinoflagellates, all phytoplanktons occurred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otal standing crops was 0.63 which explained 63% of variance and that of $R^2$ for diatom was 0.82. In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size of the communities were predominantly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ilicate.

2006년~2009년 새만금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의 변화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09)

  • 최충현;정승원;윤석민;김성현;박종규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213-224
    • /
    • 2013
  • 새만금호는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를 통해 영양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부영양이 가속화되고 있었다. 또한 담수 유입에 따라 구역별로 환경요인들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의 차이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양상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새만금호의 부영양화된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개체수가 증가하고 종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었으며, 와편모조류 등의 일부 종이 대발생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2009년에는 기존에 크게 출현하지 않았던 Heterocapsa triquetra, Karlodinium veneficum, Heterocapsa rotundata가 우점하여 새만금호 내부의 부영양화에 따른 수환경변화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새만금호의 서식환경의 변화는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 등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환경 적응력과 연관하여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018년 금강 하구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및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Geum river estuary, West Sea of Korea in 2018)

  • 김혜선;김하련;양동우;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54-270
    • /
    • 2020
  • 금강 하구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및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2월, 5월, 8월 및 11월, 4계절에 거쳐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은 58속 116종으로 겨울과 봄에 단순하였고, 여름과 가을에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현존량은 가을에 10 cells mL-1에서 겨울에 2,904.0 cells mL-1까지 큰 변동 폭으로 평균 577.2 cells mL-1의 높은 현존량을 보였으며, 출현 종과는 달리 봄과 가을에 낮고, 여름과 겨울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연중 규조류 점유율이 높았으며, 겨울은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Cerataulina bergonii, Skeletonema costatum-ls 및 Coscinodiscus angustelineata, 봄은 S. costatum-ls 및 C. bergonii, 여름은 Eucampia zodiacus 및 Th. nordenskioeldii, 그리고 가을 하구역은 Aulacoseira cf. granulata, 혼합해역은 S. costatum-ls 및 외해역은 Lingulodinium polyedra가 우점하였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 의하면 금강 하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간 금강하굿둑을 통해 유입되는 높은 영양염을 포함하는 담수의 유입량과 확장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하굿둑을 통한 직접적인 담수 영향은 금란도 주변까지의 영역에 한정되었고, 그 외 해역은 해수와 담수가 강하게 혼합되었다.

해수에 잠긴 인공기질 표면에 먼저 부착된 박테리아가 규조류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re-attached Bacteria on Attachment of Diatoms to Artificial Surf aces Immersed in Seawater)

  • 강정훈;조병철;심재형;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271-275
    • /
    • 1998
  • 해수에 잠긴 인공기질 표면에 부착한 박테리아가 규조류의 후속부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반된 견해가 있다. 그러나 자연조건의 해수에서 인공기질 표면에 먼저 부착한 해산 박테리아가 규조류의 후속부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산 박테리아를 일정 시간별로 미리 부착시킨 여러 재질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유리 슬라이드에 미리 해산 박테리아를 0~133 시간별로 부착시키고 해수에 일정기간 노출시킨 후 규조류의 부착수도를 조사하였다. 규조류의 부착은 먼저 부착된 박테리아의 수도와 관련이 없었으며(p>0.05), 무처리 슬라이드에 가장 많은 수의 규조류가, 가장 높은 수도의 박테리아가 부착된 표면에는 가장 적은 수의 규조류가 부착하였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유리와 아크릴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해산 박테리아를 6 일 동안 먼저 부착시킨 것과 한천(agar)을 입힌 슬라이드 그리고 대조구로서 무처리 슬라이드를 해수 중에 함께 노출시켰다. 박테리아가 가장 높은 수도($5.4{\pm}0.02{\times}10^5\;cells\;cm^{-2}$)로 부착된 아크릴 슬라이드에서는 무처리 슬라이드보다 적은 수의 규조류가 부착하였으나, 박테리아가 $2.5{\pm}1.0{\times}10^5\;cells\;cm^{-2}$로 부착된 유리 슬라이드에서는 무처리 슬라이드와 차이가 없었다. 반면 점액질을 모사한 표면에 부착한 규조류의 수도와 이입계수는 다른 표면들에 비해 평균 2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해산 박테리아의 부착이 규조류 후속부착의 선결요건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남극반도 서 대륙붕의 빙해양 퇴적물의 규조군집 특성과 고해양 변화 (Diatom Assemblages and its Paleoceanography of the Holocene Glaciomarine Sediments from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shelf, Antarctica)

  • 신유나;김예동;강천윤;윤호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52-163
    • /
    • 2001
  • 남극반도 서 대륙붕의 흘로세 빙해양 퇴적작용과 고해양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서 대륙붕에서 얻은 두 개의 코어퇴적물에 대하여 C-14 연대측정, 퇴적학 및 지화학 특성과 규조군집 특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코어는 크게 세 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코어 최하부는 사질과 각력이 많고, 분급이 불량한 다이아믹튼으로 구성된다. 이 퇴적상이 유기물과 규조각이 적고, 사질함량과 평균 입도의 변화가 큰 것으로 보아 빙붕 밑에 발달한 기저쇄설층으로부터 역의공급을 받아 퇴적된 다이아믹튼으로 해석된다. AMS C-14분석 결과 이 퇴적상은 11,000 yrs BP전 까지 빙붕 아래에서 퇴적되었으며, 특히 11,500${\sim}$12,700 yrs BP동안에 기온의 하강으로 빙하가 다시 진출함에 따라 유기물이 급격히 감소하고, 접빙종의 산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시기적으로 이 기간은 북대서양 일원에서 일어났던 영거드라이아스 냉각기와 잘 대비된다. 다이아믹튼 바로 위에 나타나는 규조질 이토가 유기물과 규조각이 최대이며, 접빙종의 산출이 최소인 점으로 보아, 이 퇴적상은 원양환경에서 일차생산력의 증가로 형성된 많은 양의 유기물이 해저로 공급된 결과로 보인다. AMS C-14분석 결과, 유기탄소 함량이 최대이고, C. resting spore의 산출빈도가 최대인 구간의 퇴적시기는 9,000${\sim}$2,500 yrs BP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흘로세 중기에 오늘날보다 더 따뜻했던 고열기와 잘 일치한다. 코어 최상부의 규조질 사질 이토가 아래의 규조질 이토에 비해 접빙종의 산출과 사질함량이 많은 것은 빙하 진출로 인해 육상기원 물질의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AMS C-14분석 결과 상부 퇴적상의 퇴적시기는 2,500yrs BP경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는 남극반도 지역에서 홀로세 말에 있었던 신빙하기(neoglacial)의 출발과 일치한다. 남극반도서 대륙붕에서 얻은 이상의 연구 결과는 향후 남반구에서 흘로세 동안에 일어났던 천년단위의 고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고해양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PDF

여수 연안 표층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 (Zooplankton and Neustonic Microplastics in the Surface Layer of Yeosu Coastal Areas)

  • 강희승;서민호;양윤석;박은옥;윤양호;김대진;정현경;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11-20
    • /
    • 2018
  •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5월 12일부터 14일까지 여수근해 (여자만, 가막만, 여수해만, 봇돌바다) 총 10개의 정점에서 수표성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을 채집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13종을 포함해 총 26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그 중 요각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는 $61{\sim}763indiv.m^{-3}$, 미세플라스틱은 $0.0047{\sim}0.3471particle\;m^{-2}$의 범위였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스트로폼, 페인트 조각, 섬유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Acartia omorii, Paracalanus parvus s. l., Labidocera euchaeta, A. hongi, 십각류 유생, 따개비 유생이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을 먹이식성에 따라 입자식성 동물플랑크톤과 육식성 동물플랑크톤으로 구분하였고, 동물플랑크톤 건조중량도 측정하였으며, 동물플랑크톤 유생은 따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측정한 환경요인으로는 수온, 염분, 탁도, Chl-${\alpha}$ 농도, 식물플랑크톤 (규조류, 와편모조류) 밀도를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RDA를 실시한 결과 동물플랑크톤은 미세플라스틱보다 다른 환경요인인 수온, 염분, 탁도, Chl-${\alpha}$ 농도와 밀접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는 연안해역과 같이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동물플랑크톤 주요 먹이로서 과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인조기판 위에서 해양 부착생물의 발달 및 천이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Marine Fouling Organisms on Artificial Substrata)

  • 심재형;정문섭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70
    • /
    • 1987
  • 1982-1983년 진해항 및 마산만에서 발달하는 부착생물 군집을 슬라이드 글라스 및 浸漬基板실험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15일의 침적실험후 세균의 개체수는 1.7$\times$$10^{4}$CFU/$cm^{2}$로 산출되었고, 微小生物群集에서 발달한 저생 규조류 는 총 46분류군이었다. 부착생물군집의 順次的 변화과정을 명백히 볼 수 있었고, 우 점 규조류 종은 Licmophora flavellata, Navicula grevillei, 및 Nitzschia closterium 로 나타났다. 대형생물군집의 주요 종은 Mytilus edulis, Balanus amphitrite mphitrite, Hydroides ezoensis및Celleporina sp. 로서 5개월의 침적후에 500g/100cm $^{2}$이상의 생물량을 보였다. 두 조사해역에서의 군집발달양상이 큰 차이를 보이 는데 이는 주로 주변수의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영양상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 된다. 부착생물군집의 발달과정은 유생의 생성시기 및 성장률에 매우 큰 영향을 받 는 것으로 밝혀졌고, 군집발달의 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이 된다. 세균 및 규조류-다세포해조류-따개비류, 홍합류 및 다모류-해면류, 말미잘류 및 해초류.

  • PDF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nauplii 생산에 미치는 미세조류의 영향 (Effect of Microalgal Species on Nauplii Production in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김미정;김정창;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8-275
    • /
    • 2009
  • The survival and growth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depend on the nutritional value of micro alga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etary value of the many microalgal species used for food by benthic larvae. Therefore, we tested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hich grazes microalgae on substrata in a manner similar to abalone larvae. It also has short generation time and is easy to rear which makes to be easier to examine the dietary value of each micro algal species. We measured the daily production of nauplii from gravid females of T. japonicus fed 26 microalgal species separatel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the micro algae and the copepod was also analyzed. The nauplii production of T. japonicus was the highest (10.7) when they were fed Navicula sp. (B-394) and the lowest (0.8) when they were fed Scrippsiella trochoidea. In Tetraselmis suecica the nauplii production was so high (8.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diatom group. We determined that Navicula sp. (B-394), Rhaphoneis sp. and T. suecica were good sources of food for T. japonicus. We suggest that a diet of with a mixture of these three micro algal species may be also good for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울릉분지 돌고래 시추공의 생층서: 고환경 및 이들의 석유탐사에의 응용

  • 이성숙;윤혜수;배부영;박세진;이의형;강소라;김재호;김기현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9년도 제6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0-67
    • /
    • 1999
  • Biostratigraphic and paleoenvironmental analyses are carried out on cutting samples from the Dolgorae wells drilled in the Ulleung basin. The clayey, silty, and sandy sediments of the wells yield various microfossil assemblages of relatively good preservation, among which five fossil groups are reported; a total of 97 foraminiferal species of 66 genera, 19 nannofossil species of 12 genera, 86 ostracod species of 41 genera, 107 diatom species of 44 genera, and 124 dinoflagellate cysts species of 45 genera. Based on microfossils the geologic ages of the Dolgorae wells are dated to be from late Early Miocene to Early Pleistocene. Several biohorizons are defined in Neogene successions by the LOD (Last Ocurrence Datum) and FOD (First Ocurrence Datum) of marker species including G. truncatulinoides (LOD: 1.9 Ma) of foraminifera; C. macintyeri (LOD: 1.64-1.60), G. oceanica (FOD: 1.65 Ma), G. caribbeanica (1.72 Ma), D. brouweri (LOD: 2 Ma), R. pseudoumbilica (LOD: 3.66 Ma), P. lacunosa (FOD: 4.2 Ma) of nannofossils; S. ellipsoideus (LOD: 4 Ma), S. palcacantha (LOD: 10.2), C. giusepei (LOD: 14 Ma) of dinocysts; D. seminae v. fossilis (FOD: 3.7 Ma), T. antiqua (LOD: 1.7 Ma), T. convexa (LOD: 2.4 Ma), N. kamtschatica (LOD: 2.58 Ma), T. oestrupii(FOD: 5.1 Ma) of diatoms. Abundance patterns of microfossils throughout the wells reflect changes in paleoenvironmental and sedimentological settings of the basin in relation to sea-level variations. According to these data the large-cycle and small-cycle changes of transgression and regression phases are observed in terrestrial to marine sediments. This high-resolution sequence biostratigraphy established by various fossil groups enabled more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strata and refined interpretation on deposition systems of the basin. It also proved to provide fundamental and precise informations regarding stratigraphic correlation, tectonic events, basin, and depositional history for hydrocarbon explorations, especially in collaboration with seismic-stratigrahic analy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