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pping space

검색결과 1,041건 처리시간 0.034초

지질자원 연구개발에 대한 기술개발단계(TRL) 지표 개발 (Technology Readiness Levels (TRLs) Indicator Development for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R&D)

  • 안은영;김성용;이재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5호
    • /
    • pp.421-429
    • /
    • 2015
  • 지질자원 분야에서 지질도 및 주제도 제작, 조사 및 관측 사업 등은 실용화상용화 목적의 연구개발사업과 달리 장기적이며 계속적인 연구개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기적, 계속적인 사업의 경우 연구개발의 종료시점을 제시하기 어려워서 사업 평가 시 해당 연구사업의 현재 진행단계를 제시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 분야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량 지표를 제시하기 위해, 기존의 실용화 기술에 적용하였던 NASA 기술개발단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지질도 및 주제도 제작, 조사 및 관측 사업 등 지질자원 기반 연구개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지질자원 기반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적용범위(coverage) 개념을 적용하여 기본원리이해 기획연구(TRL 1)에서 최종 생산물(product)인 특정지역 및 전세계/전국토 정보 구축, 수요자 맞춤형 보급 연구(TRL 9)로 기술개발단계(TRL)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범적용 등의 실증연구 절차를 가지는 지질환경 등 분야에서도 실용화 성과를 기반으로 기술개발단계(TRL)를 적용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시범지구 적용 등 실증연구 시작 단계를 TRL 5, 시범지구의 규모 및 적용 개수 확대를 TRL 6, 실제 규모 1/10 수준 시범지구 적용을 TRL 7로 제시할 수 있다.

CAVE상에서의 방대한 볼륨 데이타의 실시간 입체 영상 가시화 (Real-Time Stereoscopic Visualization of Very Large Volume Data on CAVE)

  • 임무진;이중연;조민수;이상산;임인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6호
    • /
    • pp.679-691
    • /
    • 2002
  • 과학적 가시화의 한 분야인 볼륨 가시화는 3차원, 혹은 그 이상의 차원의 공간에서 정의된 추상적이고 복잡한 볼륨 데이타로부터 의미 있고 가시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기술에 관한 연구 분야로서, 기상학, 의학, 계산 유체 역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한편 가상 현실은 컴퓨터가 만든 가상의 세상에 사용자가 몰입하여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을 이용하여 세상을 경험하고 대화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러 기술에 관련된 연구 분야로서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VE라 불리는 몰입형 3차원 가상 환경 시스템 환경에서 인체 볼륨 데이타를 보다 개선된 볼륨 가시화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입체 영상을 생성해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기존 3차원 텍스처 매핑 기반 볼륨 렌더링 방법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고자, 영상 기반 렌더링에 기반을 둔 향상된 텍스처 매핑 기법을 사용하여 실시간 볼륨 입체 가시화 기능을 지원하며, 사용자를 위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능들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한 테스트 데이터로서 Visible Korean Human 데이타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입체 영상 시스템에 필요한 가시화 기법과 라이브러리, 그리고 구체적인 구현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LiDAR를 이용한 암반 불연속면 추출 기술의 개발 현황 (Technical Development for Extraction of Discontinuities in Rock Mass Using LiDAR)

  • 이현우;김병렬;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1호
    • /
    • pp.10-24
    • /
    • 2021
  • 지하 구조물 구축 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변 암반에 대한 암반 분류가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특히 암반 내에 존재하는 불연속면은 암반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암반 불연속면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획득을 통해 신뢰도 높은 암반분류값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암반 분류는 지금까지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지질조사와 같은 대형 조사면적에 대한 정확도의 부재, 비숙련자에 의한 암반 등급 결정값의 신뢰도 결여 등에 대한 문제점들이 항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 와서는 넓은 범위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암반 분류를 위해 LiDAR를 이용한 암반 분류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널리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LiDAR 촬영으로 획득되는 point cloud로부터 불연속면의 정보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며, 숙련자에 의한 수작업의 결과를 완벽하게 대체하기에는 미흡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AR 촬영으로 획득한 point cloud로부터 불연속면을 추출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설명하였으며, 이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제 암반 사면을 대상으로 불연속면을 추출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의 적용 과정은 향후 LiDAR 등을 통하여 획득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암반 불연속면을 추출하는 연구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화성 근접 탐사를 위한 우주선의 궤도전파 소프트웨어 (AN ORBIT PROPAGATION SOFTWARE FOR MARS ORBITING SPACECRAFT)

  • 송영주;박은서;유성문;박상영;최규홍;윤재철;임조령;김한돌;최준민;김학정;김병교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351-360
    • /
    • 2004
  • 향후 우리나라의 화성 근접 탐사 임무를 대비한 우주선의 궤도전파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화성 주위를 비행하는 우주선의 동력학 모델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되었으며, 탐사우주선의 모든 위치 정보는 화성 중심 좌표계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정밀한 탐사 우주선의 위치 계산을 위하여 화성의 세차 및 장동 운동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였다. 화성의 작용권구 안으로 진입한 탐사 우주선은 화성 주위에서의 다양한 섭동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동력한 모델의 계산을 위해 가능한 모든 섭동들을 고려하였다. 특히 화성의 비대칭 중력장에 의한 영향을 계산하기 위해 Jet Propulsion Laboratory(JPL)의 Mars50c 모델을 적용하였고 화성 대기 항력에 의한 영향의 경우 Mars-GRAM 2001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태양을 비롯한 다른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JPL의 DE405 정밀 천체력을 이용하였고 화성 위성들(포보스와 다이모스)의 천체력 계산은 해석적인 방법으로 하였다. 개발 소프트웨어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Mars Global Surveyor의 화성 지도 작성을 위한 초기 궤도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Satellite Tool Kit(STK)의 Astrogator모듈을 이용하여 산출된 결과와 본 논문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결과 값과 비교 하였다. 비교 결과 우주선의 모든 위치성분(반경방향, 궤도 진행방향 그리고 진행수직방향)은 화성 근접 탐사 우주선이 화성 주위를 12번 공전(약 1화성일)하는 동안 최대 ${\pm}5m$ 이내의 오차를 보여 주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발된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는 향후 우리나라의 화성 근접 탐사를 위한 우주선의 임무 설계시 활용 될 수 있다.

Stereo cameras calibration bases on Epipolar Rectification and its Application

  • Chaewieang, Pipat;Thepmanee, Teerawat;Kummool, Sart;Jaruvanawat, Anuchit;Sirisantisamrid, Kaset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46-249
    • /
    • 2003
  • The constraints necessary guarantee using the comparison of these extrinsic parameters, which each Rotation matrix and Translation Vector must be equal to the either, except the X-axis Translation Vector. Thus, we can not yet calculate the 3D-range measurement in the end of camera calibration. To minimize this disadvantage, the Epipolar Rectifica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Epipolar Rectification to calibrate Stereo cameras. The required computation of the transformation mapping between points in 3D-space is based on calculating the image point that appears on new image plane by using calibrated parameters. This computation is assumed from the rotating the old ones around their optical center until focal planes becomes coplanar, thereby containing the baseline, and the Z-axis of both camera coordinate to be parallel together. The optical center positions of the new extrinsic parameters are the same as the old camera, whereas the new orientation differs from the old ones by the suitable rotations. The intrinsic parameters are the same for both cameras. So that, after completed calibration process, immediately can calculate the 3D-range measurement. And the rectification determines a transformation of each image plane such that pairs of conjugate Epipolar lines become collinear and parallel to one of the image axi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proposed technique are agreed with the expected specifications.

  • PDF

Lymphatic vessel mapping in the upper extremities of a healthy Korean population

  • Lee, Yun-Whan;Lee, Soo-Hyun;You, Hi-Jin;Jung, Jae-A;Yoon, Eul-Sik;Kim, Deok-W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2호
    • /
    • pp.152-157
    • /
    • 2018
  • Background Intraoperative indocyanine green (ICG) lymphography can effectively detect functioning lymph vessels in edematous limbs. However,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ir course in later-stage edematous limbs. For this reason, many surgeons rely on experience when they decide where to make the skin incision to locate the lymphatic vess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lymphatic vessel flow patterns in healthy upper extremities in a Korean population and to use these findings as a reference for lymphedema treatment. Methods ICG fluorescence lymphography was performed by injecting 1 mL of ICG into the second web space of the hand. After 4 hours, fluorescence images of lymphatic vessels were obtained with a near-infrared camera, and the lymphatic vessels were marked. Three landmarks were designated: the radial styloid process, the mid-portion of the cubital fossa, and the lower border of the deltopectoral groov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s was draw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ed lines and the marked lymphatic vessels was measured at 8 points. Results There were 30 healthy upper extremities (15 right and 15 left). The average course of the main lymph vessels passed $26.0{\pm}11.6mm$ dorsal to the styloid process, $5.7{\pm}40.7mm$ medial to the mid-cubital fossa, and $31.3{\pm}26.1mm$ medial to the three-quarters point of the upper landmark line. Conclusions The main functioning lymphatic vessel follows the course of the cephalic vein at the forearm level, crosses the mid-cubital point, and travels medially toward the mid-axilla.

영상 융합을 통한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토지 피복 분류 (Land Use Classification in Very High Resolution Imagery by Data Fusion)

  • 서민호;한동엽;김용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22
    • /
    • 2005
  • 일반적으로 위성 영상의 분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은 특징 공간에서 화소 값들의 거리 유사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화소들을 동일 클래스로 결정하는 분류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을 고해상도 위성 영상에 적용시킬 경우 다양한 분광 반사 값을 가지는 영상의 특성상 정확한 결과를 얻기 힘들다. 특히 도시 지역의 경우 분광 정보만을 이용할 경우 높은 이질성과 복잡성으로 영상이 가지는 다양한 정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선 이러한 복잡한 토시지역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위성 영상과 LiDAR의 높이값 및 반사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융합을 통해 단계적인 방법으로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에 앞서 영상 정보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LiDAR 자료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였을 경우의 MLC 및 ISODATA 분류를 수행하였고, 단계적 방법의 결과와 시각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전체 분류 결과에 있어서 단계적 방법이 가장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MLC, ISODATA 분류에 있어서도 LiDAR 자료를 활용할 경우 더 향상된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apping the Polarization of the Radio-Loud Lyman Alpha Nebula B3 J2330+3927

  • Yang, Yujin;You, Chang;Zabludoff, Ann;Smith, Paul;Jannuzi, Buell;Prescott, Moire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28.3-29
    • /
    • 2015
  • $Ly{\alpha}$ nebulae, or "$Ly{\alpha}$ blobs", are extended (~100 kpc), bright (L[$Ly{\alpha}$] ~ 1044 erg/s) clouds of $Ly{\alpha}$-emitting gas. The origin of the $Ly{\alpha}$ emission remains unknown, but recent theoretical work suggests that measuring the polarization could discriminate among powering mechanisms. we will discuss current status of $Ly{\alpha}$ polarization observations at high-redshift and our on-going survey program. We will present the first narrow-band, imaging polarimetry of a $Ly{\alpha}$ blob, B3 J2330+3927 at z=3.09, with an embedded, radio-loud AGN (C. You et al. in prep.). The AGN lies near the blob's $Ly{\alpha}$ emission peak and its radio lobes align roughly with the blob's semi-major axis. With the SPOL polarimeter on the MMT telescope, we map the polarization in a grid of circular apertures of radius 0.6" (4.4 kpc), detecting a significant (>$2{\sigma}$) polarization fraction P% in 10 apertures and achieving strong upper-limits (as low as 2%) elsewhere. The degree of the polarization map increases from P% ~ 5% at ~5 kpc from the blob center to ~20% at the outer part (~30 kpc). The detections are distributed asymmetrically, roughly along the blob's major axis. The polarization angles (${\Theta}$) are mostly perpendicular to this axi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icture that $Ly{\alpha}$ photons produced at the AGN (or the host galaxy) are resonantly scattered away from the center. Higher polarization fraction on the radio jet suggests that the gas is more optically thin along the jet than the off-axis region.

  • PDF

Water vapor in high-mass star-forming regions and PDRs: the Herschel/HIFI view

  • Choi, Yunhee;van der Tak, Floris F.S.;van Dishoeck, Ewine F.;Bergin, Edwin A.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42.2-43
    • /
    • 2015
  • Massive stars play a major role in the interstellar energy budget and the shaping of the galactic environment. The water molecule is thought to be a sensitive tracer of physical conditions and dynamics in star-forming regions because of its large abundance variations between hot and cold regions. Herschel/HIFI allows us to observe the multiple rotational transitions of H2O including the ground-state levels, and its isotopologues toward high-mass star-forming regions in different evolutionary stages. Photodissociation regions (PDRs) are also targe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water and its chemistry. We present line profiles and maps of H2O using data from two guaranteed-time key programs "Water In Star-forming regions with Herschel" and "Herschel observations of EXtra-Ordinary Sources". We analyze the temperature and density structures using LTE and non-LTE methods. We also estimate turbulent and expansion velocities, and abundance of water in the inner and outer envelopes using the 1D radiative transfer code. Around high-mass protostars we find H2O abundances of ~10-8-10-9 for the outer envelope and ~10-4-10-5 for the inner envelope, and expansion and turbulent velocities range from 1.0 km s-1 to 2.0 km s-1. The abundances and kinematic parameters of the sources do not show clear trends with evolutionary indicators. The Herschel/HIFI mapping observations of H2O toward the Orion Bar PDR show that H2O emission peaks between the shielded dense gas and the radicals position, in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and the observational PDR structure. The derived H2O abundance is ~10-7 and peaks at the depth of AV ~8 mag from the ionization front. Together with the low ortho-to-para ratio of H2O (~1) presented by Choi et al. (2014), our results show that the chemistry of water in the Orion Bar is dominated by photodesorption and photodissociation.

  • PDF

얇은막대 배치작업에 대한 N-R 과 EKF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의 평가 (Evaluation of Two Robot Vision Control Algorithms Developed Based on N-R and EKF Methods for Slender Bar Placement)

  • 손재경;장완식;홍성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4호
    • /
    • pp.447-459
    • /
    • 2013
  • 실제 산업현장에서 비젼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의 기구학모델의 정확도, 로봇이 움직이는 동안 카메라 초점거리와 방위에 대한 보정, 3 차원 물리적 좌표에서 2 차원 카메라 좌표로의 매핑에 대한 이해 등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 제안된 비젼 시스템 모델은 카메라와 로봇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알려지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하고, 카메라 보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 개의 카메라 매개변수를 가지는 비젼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 개발에 N-R 방법과 EKF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N-R 과 EKF 방법에 의하여 개발된 로봇 비젼 제어 알고리즘의 위치 정밀도와 데이터 처리 시간을 얇은 막대 배치작업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