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re fertilizer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7초

Estimating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of Veterinary Antibiotics in Manure and Soil

  • Kwon, A-Young;Kim, Sung 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0-104
    • /
    • 2015
  • Adverse effect of veterinary antibiotics (VAs) released into environment has been issued recently and concerns about analysis and management for VAs in the environment were increased.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alculate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of the VAs in soil based on avaiable statistical data and result of previous study such as consumption rate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VAs. Total of 5 VAs, Chlortetracycline (CTC), Oxytetracycline (OTC), Sulfadimethoxine (SDX), Sulfamethazine (SMT), and Tylosin (TYL) were examined. Result showed that calculated PEC value in manure and soil was ordered as SMT > TYL > SDX > CTC > OTC. Range of calculated value for manure and soil was 0.50-67.04 and $0.48-64.45mg\;kg^{-1}$ respectively. Comparing to measured concentration of VAs in manure and soil, lower concentration of VAs in manure and soil was evaluated due to fate and degradation of VAs in manure and soil. Overall, evaluated simple modeling for calculating PEC of VAs in manure and soil can be adapted for preliminary screening purpose i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nd more refined modeling is necessary to examine detailed assessment of VAs in manure and soil.

한국 중부지역에서 우분의 연용이 유기 벼의 생산성 및 유기 볏짚의 사료가치,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tinuous Use of Cow Manure on Productivity of Organic Rice and Feed Value, Stock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Rice Straw in Central Region of Korea)

  • 박상수;노진환;이희충;김윤중;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1-282
    • /
    • 2013
  • 본 실험은 중부지방에서 벼 재배 시 유기 우분의 연용과 화학비료 시용이 유기 벼의 생산성, 볏짚의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 벼의 생초수량, 건물수량, 식물 1개체 당 낱알의 건물 중 및 개수는 1, 2년차에는 화학비료 시용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3년차에는 각 시험구 간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수확지수는 3년 모두 화학비료 시용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해가 거듭할수록 각 시험구 간의 차이가 약간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단위면적당 가축사육능력은 $K_{CP}$$K_{TDN}$의 평균값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화학비료 시용구가 높은 값을 보였고, 각 시험구 간의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K_{ME}$의 경우 3년차에 우분 시용구가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높은 값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부 지방에서 유기 벼 재배 시 우분을 연용 했을 경우, 처음 1, 2년은 화학비료를 시용했을 때 보다는 수량이 낮았지만 3년차부터는 화학비료를 시용했을 때와의 격차가 줄어들기 시작하였으며, 추후 우분을 연용한다면 그 격차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고랭지에서 녹비 생산성 증진을 위한 헤어리베치와 호밀 혼파 재배 효과 (Effect of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on Green Manure Yield in Mountainous Highland)

  • 김세원;서영호;최용범;안문섭;강안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42-447
    • /
    • 2011
  • Co-incorporation of Leguminosae with Gramineae could reduce the risk of nitrogen starvation phenomena caused by appling green manure of Gramineae alon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seeds on soil quality in mountainous highland.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increased the yield of green manure and nutrients compared with those for sowing of hairy vetch or rye alone. The yield of green manure from row seeding was $5.3Mg\;ha^{-1}$ compared with $4.8Mg\;ha^{-1}$ for broadcast seeding. Incorporation of the two green manure crops increased yield of red-bean by 58~92% as compared with yield for incorporation of rye alone.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imply that mixed sowing of hairy vetch and rye can solve the problem of low emergence of hairy vetch in spring and high C/N ratio and rough incorporation of rye, in addition to increase in yield of green manure.

지역 양분관리를 위한 조사료 단지의 양분수지 개선효과 (Improvement of Nutrient Balance using Feed Crops for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 양헌용;김정균;오병욱;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9-95
    • /
    • 2020
  •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질소기준 양분수지가 1위로 양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양분관리를 위해서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통하여 생산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농경지에 올바르게 살포하여 양분이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농경지에 대한 양분관리와도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분수지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양분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조사료의 생산을 통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양분관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로 생산된 퇴·액비를 지역으로 다시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분뇨 액비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농경지의 토양에서의 총 질소의 농도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소농도의 감소는 작물의 사용량 뿐 아니라 토양에 축적되거나 지하수 및 지표수로 유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수질개선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방목초지에서 우분 퇴비 시용이 목초생산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Forage Productivity and Soil Characteristics of Pasture)

  • 황경준;고서봉;박형수;박남건;고문석;김문철;송상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2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의 기존 혼파 방목초지(해발 200m)에서 실시하였으며 방목 혼파초지에 우분퇴비 시용에 따른 사초생산성 및 토양 개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학비료 단용구, 우분퇴비 단용구, 화학 및 우분퇴비의 시용수준, 화학비료와 퇴비의 연차별 교호시용 등의 처리를 두어 우분퇴비 시용이 혼파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간 총건물수량을 비교해보면 시험1년차에는 T1처리구가 11,342 kg/ha, 시험2년차에는 T5처리구가 13,468kg/ha, 3년차는 T6처리구가 10,724kg/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가 11,486kg/ha으로 가장 높은 건물생산성을 보였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없었다. 처리별 토양성분 변화는 퇴비구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 등이 증가를 보임으로서 토양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목초의 식생구성율은 처리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봄철에는 화본과가 다소 높다가 여름철이 지나면서 두과와 잡초의 비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축분뇨의 처리형태와 시용수준이 영년초지의 생산성, 지력증진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and Application Levels of Swine Manure on Herbag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Mixed Grassland)

  • 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202
    • /
    • 2003
  • 본 연구는 가축분뇨의 처리형태별 시용수준에 따른 목초의 생산성과 질소의 이용효율 및 질소의 용탈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비료, 톱밥발효돈분, 무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을 100, 200, 400kgN/ha 수준으로 시용했을 때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학비료와 분뇨의 처리형태별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N 생산량에 미치는 시용효과는 화학비료 > 액상발효돈분 > 무톱밥발효돈분 > 톱밥발효돈분의 순이었다(건물수량 : 화학 비료(100), 액상발효돈분(90.6), 무톱밥발효돈분(80.9), 톱밥발효돈분(76.8)). 2. 토양 유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화학비료 < 액상발효돈분 < 무톱밥발효돈분 < 톱밥발효돈분의 순이었다. 3. 가축분뇨의 처리형태나 시용수준에 따른 NO$_3$의 용탈은 시기적으로는 8월하순 9월초순에 가장 높았으며 N시용수준 400kg/ha 수준까지에서도 서로간에 차이는 매우 적었고 NO$_3$함량도 결코 25ppm을 초과하지 않았다.

척박지에서 퇴비와 무기질 비료가 옥수수 생장에 미치는 영향 (Organic Manure Compost and Inorganic Fertilizer Levels Affect Maize Growth in Barren Soils)

  • 김경희;김규원;이상용;이병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383-391
    • /
    • 2023
  • 본 연구는 척박한 토양에서 퇴비 함량이 옥수수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척박지에서 옥수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한 재배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1) 척박한 토양에 퇴비량이 많을수록 품종에 관계없이 옥수수가 양호하게 생장하였으나, 척박지에 퇴비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시험포장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초기생육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유기질 비료인 퇴비는 옥수수 성장을 위해 반드시 공급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 신황옥2호(조숙종/조생종)는 모든 퇴비 처리구(1,500, 1,000kg/10a)에서 64~65일로 가장 짧은 출사일을 보였으나, 퇴비 무처리구(퇴비 0 kg/10a)에서는 75일로 약 10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광평옥(중생종)과 다청옥(중만생종)은 모든 퇴비 처리구에서 72~78일로 신황옥2호 보다 출사기가 8~13일 정도 늦게 출현했다. 3) 퇴비 처리구(1,500, 1,000 kg/10a)에서는 퇴비량이 많을수록 종실중이 증가했고, 표준시비(1)에 비해 시비량이 감소하면 종실중도 감소했다. 반면, 퇴비 무처리구(0 kg/10a)에서는 퇴비 처리구(1,500, 1,000 kg/10a)에 비해 전반적으로 종실중이 감소했다. 4) 옥수수는 성장의 모든 측면에서 유기물(퇴비) 비료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척박하고 열악한 토양에서 옥수수를 재배하는 경우 안정적인 옥수수 수확량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1,000 kg/10a의 퇴비와 표준시비2/3 (화학비료)를 시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Persistence of Salmonella enteric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Soil, Liquid Manure Amended Soil, and Liquid Manure

  • Jung, Kyu-Seok;Kim, Min-Ha;Heu, Sung-Gi;Roh, Eun-Jung;Lee, Dong-Hwan;Lim, Jeong-A;Ryu, Jae-Gee;Kim, Kye-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2-436
    • /
    • 2014
  • While searching for healthier diets, people became more attentive to agricultural organic products. However, organic foods may be more susceptible to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because of the use of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liquid manure, potential sources of pathogenic bacteri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ersistence of Salmonella enteric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soil, liquid manure amended soil, and liquid manure. Loamy soil, liquid manure amended soil, and liquid manure were inoculated with S. enterica,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Samples were incubated in consistent moisture content at $25^{\circ}C$. Samples had been periodically collected during 120 days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S. enterica and E. coli O157:H7 survived over 120 days in loamy soil and over 60 days in liquid manure amended soil, respectively. L. monocytogenes decreased faster than other pathogens in soil. S. enterica,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survived for up to 5 days in liquid manure. S. enterica and E. coli O157:H7 in soil decreased by 2 to $2.5log\;CFU\;g^{-1}$ for 120 days. S. enterica and E. coli O157:H7 in liquid manure amended soil decreased slowly for 21 days. However, S. enterica,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sharply decreased after 21 days. S. enterica,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in soil increased by 0.5 to $1.0log\;CFU\;g^{-1}$ for 7 days. Foodborne pathogens in soil and liquid manure amended soil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무경운과 경운에서 콩 재배를 위한 녹비와 화학비료, 돈분액비의 생육특성 및 수량비교 (Compar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Green Manure,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for Soybean Cultivation in Conventional-Tillage and No-Tillage)

  • 유장환;정현진;정해룡;박형준;권수정;;오은지;김숙진;정근욱;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46-351
    • /
    • 2017
  • 본 연구는 무경운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비료종류와 시비 방법에 따라 콩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운과 무경운 처리구에서 풋거름, 돈분액비, 화학비료의 비료종류에 따라 콩의 생육이 각각 달랐다. 경운과 무경운 모두 화학비료처리구에서 콩의 생육이 높았으며, 경운유무에 따라서는 경운에서의 생육이 가장 높았다. 2. 엽색도 조사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증가하였는데 엽색도 함량이 최고에 달했을 때를 비교해보면 무경운-화학비료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경운-풋거름처리구에서 엽색도가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3. 콩 종실 1 g 및 0.5 g의 질소, 인, 칼륨의 성분량을 분석했을 때 인과 칼륨의 경우 경운과 무경운 모두 큰 차이를 두지 않고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질소는 이와 다르게 돈액비료처리구에서 질소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다. 4. 콩 종실의 수량조사에서는 생육조사와는 다르게 무경운-돈분액비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무경운-관행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낮았다. 무처리구를 제외하고 풋거름처리구의 경우 경운, 무경운 모두 생육양상이 저조함에 따라 콩의 수량도 낮았다.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토양투입에 따른 벼 수량 및 토양특성 (Effect of green manure barley and hairy vetch on soil characteristics and rice yield in paddy)

  • 조현숙;박우영;전원태;성기영;김충국;박태선;김재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703-70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Korea's typical soil, loamy soil, to figure out the effect of how barley green manure (B), hairy vetch (HV) and the mixed-planting hairy vetch with barley green manure (HV/B) affecting on the yield of rice, usage of nutrient and soil characteristics. Supplying amount of nitrogen from HV, HV/B and B were 172.8 kg $ha^{-1}$, 64.3 kg $ha^{-1}$ and 38.6 kg $ha^{-1}$, respectively. Hairy vetch had the highest plant height and SPAD of rice and next was hairy vetch/barley, chemical fertilizer (CF), none fertilizer (NF), and green manure barley. The amount of rice yield was 5.51 ton $ha^{-1}$ with HV, and 4.24 ton $ha^{-1}$ with HV/B.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howed lower pH and exchangeable cations (Ca and Mg) at B, HV and HV/B plot rather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CF) plot. Howev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porosity rate showed better tendency at the green manure crops than CF. Nitrogen nutrient balance was showed the most balanced at CF, otherwise field of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were required the appropriate nutrition management if future crops would be cultivated because nitrogen nutrient could be devastated or accumu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