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EMG AND CEPHALOMETRIC STUDY ON CHANCES IN UPPER AIRWAY STRUCTURES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AND BODY POSTURE IN OSA PATIENTS)

  • 박영철;배응권;이정권;이종석;김태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7-561
    • /
    • 1998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 (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 (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OSA환자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개 최대 두께와 SPAS, MAS, VAL, H-H1, MP-H 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i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앙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생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 PDF

Mandibular orthopedic repositioning appliance(MORA)가 배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andibular Orthopedic Repositioning Appliance (MORA) on Back Muscle Strength)

  • 현기용;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0권1호
    • /
    • pp.113-124
    • /
    • 1985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mandibular orthopedic repositioning appliance (MORA) on body strength, the author measured back muscle strength with Digital Back Muscle DYNAMOMETER (TAKEI KIKI KOGYO Co., Tokyo, Japan) before MORA, 15 days after and 30 days after MORA in 12 men and then analysed them statistically. The subjects were weight-lifting athletes of Seoul Athletic High School without dysfunction of masticatory system. MORA was fabricated at 1.0-1.5rnm isotonically closed position (Myocentric Occlusion Position) from mandibular rest position (Myocentric Rest Position) using Myo-monitor (MyoTronics Research Inc., Seattle, Washington, USA) and-SVT C-II (Tokyo Shizaisha Inc., Tokyo,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back muscle strength before MORA was 150 kg, that of 15 days after MORA was 165 kg (4.43% increase than before), and that of 30 days was 175 kg (10.76% increase than befor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ack muscle strength before MORA, 15 days after and 30 days after MORA (P<0.01: repeated measures one-way ANOVA).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mandibular position for MORA fabrication, mandibular rest position after relaxation with Myo-monitor was 3.2mm lower, 1.0mm posterior, and 0.5 mm left from centric occlusion. And the mean of the amount of lateral deviation was 0.7 mm.

  • PDF

L-ARS를 이용한 Cl II div. 1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L-ARS(LIGATED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 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7-454
    • /
    • 1993
  •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 relationship was treated with L-ARS. L-ARS is fixed functional appliance that could be effective in children and adolescent patient who don't wear activa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Growth of Mandible was stimulated and overjet was decreased, therefore coupling of anterior teeth was established with L-ARS which is fixed functional appliance. 2) These changes were accomplished with Mandibular skeletal growth with no effect on the Maxilla. 3) L-ARS was especially effective on patient who deny to wear the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 PDF

Horseshoe Appliance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접근 (ORTHODONTIC MANAGE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HORSESHOE APPLIANCE)

  • 한지혜;백병주;양연미;서정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5-681
    • /
    • 2005
  • 성장기 아동의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는 많은 악기능 정형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발전되어 왔다. Horseshoe appliance는 Schwarz에 의해 소개된 장치로서 elastic의 견인력으로 장치의 free sliding 효과를 통해, 하악와와 과두의 관계를 재정립시켜, 악골 주위의 연조직이나 muscle matrix와 조화되는 새로운 위치에 하악골을 repositioning 시켜 악골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하악의 후하방 회전 효과를 극소화시켜 전안면고경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구외장치에 비해 환자의 협조도가 좋다. 저자들은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Horseshoe appliance를 사용한 결과 하악골에 대한 상대적인 상악골의 전방 성장과 교합평면의 반시계방향 회전, 상악 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악 전치의 설측 경사로, 3개월 내에 전치부 반대교합이 해소되는 효과를 얻었다.

  • PDF

외상에 의해 설측 변위된 하악 제1유구치의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치료 (REPOSITIONING OF A LINGUALLY DISPLACED MANDIBULAR FIRST PRIMARY MOLAR BY TRAUMA)

  • 이명성;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9-125
    • /
    • 2005
  • 유치열에서 가장 외상이 호발하는 부위는 상악 유중절치이며, 영구치열에서 치관부 파절이 많이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정출, 함입, 측방 변위, 탈구 등 지지조직에 한정된 손상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유구치는 외상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단일 치아 또는 다수 치아의 파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탈구 또는 변위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고 이러한 경우의 치료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다. 본 증례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외상으로 인해 하악 좌측 유측절치의 정출, 유견치의 탈구와 함께 제1유구치의 설측 변위가 발생하였는데, 계승 영구치의 맹출 시기와 환아의 협조도를 고려하여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하악 제1유구치의 재위치를 시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유구치의 외상으로 인한 변위 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악의 전방 이동이 상부기도의 용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dibular Anterior Repositioning on the Upper Airway Volume)

  • 최재갑;기우천;강덕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1호
    • /
    • pp.69-80
    • /
    • 1999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minimal cross-sectional areas and volumes of the pharynx in snoring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and to see if there is an increase in the minimal cross-sectional areas and volumes of the pharynx with advancement of the mandible. METHODS: The pharyngeal computed tomography and 3-dimensional reconstruction were used to measure the cross-sectional areas and volumes of the nasopharynx, oropharynx, and hypopharynx with the jaw in normal position and in protrusive position in 7 patients with snoring and 7 control subjects while they were awake. RESULTS: The oropharynx was revealed to have the most narrow site in the pharynx an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snorers to have a smaller nasopharyngeal and oropharyngeal cross-sectional area than normal subject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olumes of the nasopharynx and oropharynx between the two groups. With advancement of the jaw the minimal cross-sectional area of oropharyn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volume was also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 minimal cross-sectional areas and volumes of nasopharynx as well as hypopharynx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dvancement of the mandible. CONCLUSIONS: There was a tendency for snorers to have a smaller oropharynx than normal subjects and the oropharyngeal lumen was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the mandible in both snorers and normal sub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