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vidi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산 유색미의 Anthocyanin 색소 동정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from Korean Pigmented Rice)

  • 윤혜현;백영숙;김준범;한태룡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81-583
    • /
    • 1995
  • 한국산 유색미(수원 415호)로부터 안토시아닌 색소를 분석하였다. 1%HCl-methanol로 추출된 색소액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280 nm와 530 nm에서 최대흡광도를 보여 안토시아닌임을 확인 하였다. 분리된 색소를 산 분해하여 얻은 aglycon을 여러종류의 용매계로 전개시켜 $R_1$값을 비교하고, 흡광성질 및 $^1H-NMR$ 자료를 분석한 결과 aglycon은 cyanidin 및 malvidin으로 동정되었고, 결합당을 종이 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 monoglucose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국산 유색미(수원 415호)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cyanidin-3-glucoside 및 malvidin-3-glucoside로 추정된다.

  • PDF

머루(Vitis amurnesis Ruprecht) Anthocya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머루 Anthocyanin의 분리(分離) 및 정량(定量) -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 (Part 1)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

  • 황인경;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183-187
    • /
    • 1975
  • 우리나라 산간지방(山間地方)에 야생(野生)하는 머루 중(中)의 총(總) anthocyanin의 함량(含量)과 개별(個別) anthocyanin의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하였다. 머루로 부터 색소(色素)를 0.1% HCl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파장(波長) 538nm $({\lambda}max.)$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을 구(求)하였다. 추출액중(抽出液中)의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은 paper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하고 0.1% HCl methanol로 용출(溶出)하였다. 분리(分離)된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용액(溶液)을 各己의 흡수극대(吸收極大) 파장(波長)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조성비(組成比)를 구(求)하였다. 머루 중의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은 신선물(新鮮物)의 g 당(當) 3.95mg이였다.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은 다음과 같다. delphinidin-3-monoglucoside 12.5%, petunidin-3-monoglucoside 3.5%, cyanidin-3-monoglucoside 2.1%, delphinidin-3,5-diglucoside 10.1%, malvidin-3-monoglucoside 4.3%, petunidin-3,5-diglucoside 8.3%, cyanidin-3,5-diglucoside like 4.1%, malvidin-3,5-diglucoside 55.1%. 머루 중의 주(主) 색소(色素)는 malvidin-3,5-diglucoside이였다.

  • PDF

Ethyl Acetate와 Methanol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s of Blueberry)

  • 조영희;김수경;권다애;이홍진;최형균;어중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19-4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한 블루베리의 methanol과 ethyl acetate 추출 분획에 존재하는 대사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사체 profiling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LC-MS/MS에서 검출되는 대사체를 통계 처리한 결과, methanol 추출 분획에서는 5-O-feruloylquinic acid, malvidin hexoside, malvidin-3-arabinoside, petunidin-3-arabinoside, delphinidin hexoside, delphinidin, petunidin hex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계열의 화합물들이 존재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dimer, 6,8-di-C-arabinopyranosylluteolin, lute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전체 대사물질의 profiling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서 블루베리에 함유된 유용 성분의 스크리닝 등 향후 응용 연구에 유용한 기반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머루(Vitis amurensis Ruprecht) Anthocya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第 2 報)] 머루 Anthocyanin의 구조(構造) 확인(確認) -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 (Part 2)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

  • 황인경;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188-193
    • /
    • 1975
  • 우리나라의 산간지방(山間地方)에 야생(野生)하는 머루중(中)의 anthocyanin의 구조(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머루에서 0.5% HCl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얻은 색소(色素) 추출액(抽出液)을 Amberlite IRC-50 이온 교환수지관(交換樹脂管)을 통과(通過)시켜 정제(精製)하고,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개별색소(個別色素)를 분리(分離)하였다. 각(各) 개별색소(個別色素)에 대하여 부분(部分)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 결합당(結合糖)의 확인시험(確認試驗), aglycone의 alkali 분해(分解), paper chromatography에서 얻어진 $R_f$치(値), 가시부(可視部)에서의 흡수(吸收) spectra 측정(測定) 등에 의하여 구조(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확인(確認)된 머루중(中)의 7가지 색소(色素)는 delphinidin 3-monoglucoside, petunidin 3-monoglucoside, cyanidin 3-monoglucoside, delphinidin 3,5-diglucoside, malvidin 3-monoglucoside, petunidin 3,5-diglucoside 및 malvidin 3,5-diglucoside 이었으며 cyanidin 3,5-diglucoside로 추측되는 색소(色素) 4-b는 확인(確認)되지 못하였다.

  • PDF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L.) 품종별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 (Compositions and Contents Anthocyanins in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Varieties)

  • 이민기;김헌웅;이선혜;김영진;장환희;정현아;황유진;최정숙;김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4-190
    • /
    • 2016
  • BACKGROUND: Anthocyanins, potential health-promoting compounds, were major natural pigment in the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hocyanin glycosides in the blueberry varieties.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seventeen anthocyanins were identified from highbush blueberry using HPLC (representatives, 530 nm) and ESI-MS in positive ion mode. The individual anthocyanins are containing cyanidin, delphinidin, malvidin, peonidin, and petunidin moieties which are acylated with aliphatic acid (acetic acid) and conjugated with sugar moieties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Among them, delphinidin 3-O-galactoside (D3Ga), peonidin 3-O-glucoside (Pn3G) + malvidin 3-O-galactoside (M3Ga) were major compounds in varieties. Total anthocyanins were found the highest level in 'Elizabeth' (1,406.3 mg/100 g dry weight) which was 3-fold higher than 'Darrow' (465.7). Especially, D3Ga was presented the 32% of total anthocyanins followed by Pn3G + M3Ga (20%) in 'Elizabeth'.CONCLUSION: This result was showed as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al properties of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highbush blueberry.

포도파괴 Anthocyanin 색소의 분리 및 안전성 (Isolation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Peels)

  • 심기환;강갑석;최진상;서권일;문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9-286
    • /
    • 1994
  • Anthocyan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grape peels which were wasted much in Korea,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Isolated pigments from grape peels were 11 varieties such as 5 varieties of 3, 5-diglucoside (DG), 6 varieties of 3-monoglucoside (MG), and acylated pigment was 2 varieties of them. Malvidin was 4 varieties , petunidin , peonidin and delphinidin 2 varieties in each, and cyanidin 1 variety of 11 vareities. Malvidin -3, 5-diglucoside and peonidin -3, 5-diglucoside of anthocyanins were above 48% in total anthocyanins content of 114.99mg/g in dried skins. Breakdown of anthocyanins was higher become intimate neutral pH, but stable to stroage period for 7-days. Hyperchromic effects were showed when sugars were added in pigment extract of grape peels, the highest value was glucose and the next ordor was fructose and sucrose. Breakdown velosity of anthocyanins was higher when ascorbic acid was added, but its velocity was reduced in anaerobic state . Absorption degree by organic acid treatment was higher than control, and anthocyanins were stable to storage period for 7 days.

  • PDF

열처리 조건이 포도 주스내 anthocyanin 색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s and Times on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Juice)

  • 이승엽;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6-341
    • /
    • 2004
  • 본 실험은 포도주스의 가공 공정중 열처리 조건이 anthocyanin색소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서 anthocyanin 색소의 파괴가 최소화 되는 열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얻고자 실시하였다 Anthocyanin 색소 동정을 위한 분석결과 딸기의 주요 적색소는 pelargonidin-3-glucoside이며, 미국산 포도의 과피 및 주스의 주요 적색소는 delphinidin-3-glucoside와 cyanidin-3-glucoside이며, 유색미의 주요 적색소는 cyanidin-3-glucoside로 나타났다. 총 anthocyanin 함량 변화는 30초간 열처리한 처리구가 비열처리구에 비하여 100$^{\circ}C$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1분간 열처리한 처리구는 비열처리구에 비하여90$^{\circ}C$ 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며, l00$^{\circ}C$, 110$^{\circ}C$에서 각각 3.5$\%$, 9.3$\%$의 감소를 나타냈다. 열처리에 따른 anthocyanin 색소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1분간 열처리 하였을 경우 delphinidin-3-glucoside와 cyanidin-3-glucoside의 경우 90$^{\circ}C$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100$^{\circ}C$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Petunidin-3-glucoside와 malvidin-3-glucoside의 경우 100$^{\circ}C$까지 변화가 없었으며, 110$^{\circ}C$에서 3.5$\%$, 2.7$\%$로 비교적 열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간 열처리시 delphinidin-3-glucoside와 cyanidin-3-glucoside의 경우 90$^{\circ}C$까지 3.2$\%$, 5.3$\%$와 1.9$\%$, 4.3$\%$로 감소하였으나, 100$^{\circ}C$부터 12.4$\%$, 13.2$\%$와 9.1$\%$, 11.8$\%$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Petunidin-3-glucoside와 malvidin-3-glucoside의 경우 110$^{\circ}C$ 까지 4.8$\%$, 5.2$\%$의 감소를 나타내며 다른 anthocyanin 색소에 비하여 비교적 열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도주스 제조시 열처리 조건을 90$^{\circ}C$에서 1분간 살균하는 것이 anthocyanin 파괴를 최소화하여 고품질 포도 주스를 생산하는데 최적의 가공조건인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성(植物性) 색소(色素)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꽃잎 맨드라미(Amaranthus tricolor L.)의 Anthocyanin 색소(色素)의 분리(分離) 동정(同定)-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lant Pigments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 윤태헌;이상직;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4-202
    • /
    • 1978
  • In order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as an edible pig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nthocyanins. The anthocyanins present in leaves of Ganges Amaranth were extracted with 0.1% HCl in methanol. The extracted pigments were purified by organic solvent treatment and Amberlite CG-400 Type cation exchanger, and then separated into individual pigments by paper chromatography with n-butanol-formic acid-water(100:25:60, v/v) as a solvent system. The separated pigments were identified by their Rf values, sugar moieties, complete hydrolysis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in the visible and ultraviolet regions. The amounts of individual anthocyanin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Chromatograms of the Ganges Amaranth extract developed with BFW yielded three anthocyanin bands. The two of the anothocyanin ba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malv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1 and peon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in band 2. But the anthocyanin in band 3 was not identified due to extremly low concentration. 2. The amount of total anthocyanins was 101.57 mg/100g fresh weight of leaves in which 82.15 mg of mal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caffeic acid) and 27.20 mg of peonidin-3-glucoside(acylated with caffeic acid) were contained per 100g fresh weight. Maividin-3-glucoside acylated with the acid was, therefore, the most abundant pigment in the Ganges Amaranth.

  • PDF

Anthocyanins in 'Cabernet Gernischet' (Vitis vinifera L. cv.) Aged Red Wine and Their Color in Aqueous Solution Analyzed by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 Han, Fu-Liang;Jiang, Shou-Mei;He, Jian-Jun;Pan, Qiu-Hong;Duan, Chang-Qing;Zhang, Ming-Xi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24-731
    • /
    • 2009
  • Anthocyanins are considered one of the main color determinants in aged red wine. The anthocyanins in aged red wine made from 'Cabernet Gernischet' (Vitis vinifera L. cv.) grape were investig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nic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HPLC-ESI-MS) and their color presented in aqueous solution were evaluated using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37 anthocyanins identified in this wine, including 22 pyranoanthocyanins. The analysis of PLS indicated that different anthocyanins showed distinct color values: malvidin 3-O-(6-O-acetyl)-glucoside-4-vinylguaiacol (Mv3-acet-glu-vg) presented the highest color values, while malvidin 3-O-glucoside (Mv3-glu) showed least. Among the free non-acylated anthocyanins, peonidin 3-O-oglucoside (Pn3-glu) showed the highest color values; the coumarylated anthocyanins presented higher color values than their corresponding acetylated anthocyanins and parent anthocyanins; pyranoanthocyanins presented also higher color values than their original anthocyanins; the color of anthocyanins depended on their structure. This work will be helpful to reveal evolution in aged red wine.

질소 추비량이 유색 보리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Levels on Productivity, Feed Value, and Anthocyanin Content of Colored Barley)

  • 송태화;한옥규;박태일;김양길;김기종;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9-156
    • /
    • 2012
  • 이 연구는 기능성 사료용 보리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체 전체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겉보리인 '보안찰보리' 품종을 이용하여 전년에 구명된 안토시아닌의 축적을 높이기 위한 최적 추비 및 수확시기를 구명한데 (Song et al., 2011) 이어 최적 시비량과 생산성, 사료가치 및 부위별 축적정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질소 추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출수기가 지연되었고, 초장은 80% 증비구에서 가장 컸으며, 건물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생초수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부위별로 이삭 > 총체 > 잎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NDF와 ADF는 부위별로 잎 줄기 >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에서는 감소하였고, 총체와 이삭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TDN 함량은 이삭 > 총체 > 잎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는 증가하였고 (p<0.05), 총체와 이삭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부위별로 잎 줄기 >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 줄기와 총체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특히 cyanidin-3-glucoside (C3G), delphinidin (Del), malvidin-3-glucoside (M3G), malvidin (Mal)의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에 이용된 '보안찰보리'는 잎 줄기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가장 많고, 조사료 수량을 고려하면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조사료용 유색보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월동 후 생육재생기에 표준 추비량을 주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